Description
2003년 『시와반시』에 「도원일기」외 4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시인통신’ 동인으로 활동 중인 이기선 시인의 첫 시집이다. 2009년 경기문화재단의 창작기금을 받은 시집이다. 이기선 시인의 이번 시집의 지층에는 기형도의 시집이 그러했듯 상처의 시간이 켜켜로 쌓여 있다. 그것은 ‘우는’ 어머니와 ‘대답 없는’ 아버지로 대표되는 가족사적 비극들이다. 이 시간들이 자신의 원체험으로 각인된 시인에게 그것은 화인火印 같은 것이어서, 시큰해지는 콧등을 찡그리지 않고서는 읽어낼 도리기 없다.
그의 노래는 억만 년 동안 계속된 파도의 움직임처럼, 모래밭을 가꾼다. 그 방식은 파도의 반복 운동과 같은 ‘토글 방식’이다. ‘하나의 스위치로 하여금 전원의 꺼짐과 켜짐,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는 방식’! 파도는 밀려옴과 밀려감이 하나다. 토글 방식도 마찬가지다. 오디오를 끌 때와 켤 때 모두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스위치를 누르면 ‘침묵덩어리’ 같았던 오디오에서 음악이 흘러나오고, 마술사의 모자 속 젖은 손수건에선 장미꽃이 만발하며, 깜깜하던 방안도 일순간 환해진다. 그 ‘눈부신 빛’은 바로 ‘어둠’ 속에 있었다. 음音은 침묵 속에 있었고, 유有는 무無 속에 있었으며, 광요光耀는 암흑暗黑 속에 있었던 것이다.
시인은 말한다. 꽃은 어디서 피는가? 바로 ‘시들었던 자리에서 자기를 다시 피워 올린다’. 파도는 어디서 오는가. 바로 자신이 밀려갔던 자리에 다시 밀려온다. 시는 어디서 태어나는가. 내 스스로 ‘내 아픈 곳을 눌러’본 자리에 돋아난다. 시인이 말하는 시 쓰기란 바로 ‘토글 방식’을 말하는 것! 하여, ‘슬퍼하는 나무는 행복하다’ 그가 그렇게 뼈아픈 진자운동으로 슬픔의 자리와 시의 자리를 오간다면, 죽는 날까지 그렇게 온몸으로 부딪히며 상처의 자리를 누른다면, 그는 아마도 우리의 마음밭에 오래도록 잊히지 않는 시인이 될 것이다. 그 슬픔으로 지은 첫 열매, 달고도 눈물겹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