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와 햇볕

강유환 · Poem
128p
Where to buy
content
Rate
Comment
More

강유환 시인의 시집 『장미와 햇볕』이 시작시인선 0526번으로 출간되었다. 강유환 시인은 2000년 『시안』으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꽃, 흰빛 입들』, 『고삐 너머』가 있다. 그의 시는 해설을 쓴 김재홍 평론가의 말처럼, “유기체철학이 말하는 연속성의 사유와 닿아 있다. 자아와 타자를 구별하지 않는 일의적 생태학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둘을 기저에서 지탱하는 모성적 사유가 전편에 관류하고 있다” 이처럼 강유환 시집에는 중층적 사유와 복합적 상상력을 토대로 시적 세계가 입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곳의 시적 주체들은 서로 연결된 생태학적 세계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 구심점을 이루는 것은 바로 모성성이다. 이는 곧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고 하나로 통합하는 양태를 보이는 것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은 바로 어머니의 심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그의 모성적 사유가 시적 세계의 근거이자 뿌리로 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이번 시집 『장미와 햇볕』에서는 파편화된 세계의 대립 속에서도 생명과 사람살이를 따뜻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제1부 봄눈 사춘기 13 봄눈 14 혀 쇼 16 봄날 콘셉트18 오래 묵으면 19 그냥 1 20 칠월 22 왜 24 사사하다 25 가벼운 존재 26 공정 불공정 28 싱크홀 30 그냥 2 32 절로 저절로 33 방랑자들 34 제2부 나팔꽃 통신 봄꽃 성분 39 봄밤 40 어느 날 문득 41 둥근 혀가 떴습니다 42 손독 1 44 손독 2 46 위대한 공존 48 놀이 50 불치병 52 오른손 54 지네 한 척55 축생도 56 나팔꽃 통신 57 백오십구 60 제3부 아무르 호랑이 돌에게 65 헌 둥 만 둥 66 순은 모스 부호 68 구원 70 섀도복싱 72 아무르 호랑이74 옹당이 웅덩이 76 돌아오다 77 내림내림 78 리즈 시절에 80 먼 나라 81 한 바람 82 장미와 햇볕 84 발굽들 86 제4부 통 굴리는 해변 혀 주걱 89 작약을 읽는다 90 가을 공원 91 생짜 92 꽃이 본다 94 수렵기 95 비약적으로 96 즉문즉설처럼 98 줏대 없이 100 가을볕 101 꽃 심은 뒤 102 하관 104 오래된 속도105 세우다 106 통 굴리는 해변 108 해  설 김재홍 세상을 데우는 맑고 예민한 시심 111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