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문 두 번째 서문 1. 여자, 내 생을 담은 한 잔 물이 잠시 흔들렸을 뿐이다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_장석남의 시 〈옛 노트에서〉 ?쓰면 뱉고 달면 삼키는 거지 _함성호의 시 〈낙화유수〉 ?그대라는 대륙 _박정대의 시 〈사랑과 열병의 화학적 근원〉 ?모든 사랑은 남는 장사다 _이선영의 시 〈사랑하는 두 사람〉 ?사랑은 그렇게 왔다…… 갔다 _채호기의 시 〈사랑은〉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_메리 올리버의 시 〈기러기〉 ?그와 말하는 법을 잊어버렸다 _김광규의 시 〈조개의 깊이〉 ?이곳의 혼돈이 좋아요 _김선우의 시 〈뻘에 울다〉 ?내 생을 담은 한 잔 물이 잠시 흔들렸을 뿐이다 _정일근의 시 〈그 후〉 ?나는 오해될 것이다 _이장욱의 시 〈오해〉 ?오래 고통받는 사람은 알 것이다 _이성복의 시 〈오래 고통받는 사람은〉 ?살림만 미워했다 _이재무의 시 〈걸레질〉 ?꽃보다 집요한 냄새를 피우기까지 _김중식의 시 〈모과〉 ?생의 시기마다 필요한 옷이 있다 _신해욱의 시 〈끝나지 않는 것에 대한 생각〉 ?그림을 걸지 않는 미술관처럼 _김이듬의 시 〈겨울휴관〉 ?양껏 오래 살고 싶다 _심보선의 시 〈슬픔이 없는 십오 초〉 ?셀프 구원 2. 엄마, 내가 반 웃고 당신이 반 웃고 ?엄마와 수박 _강형철의 시 〈사랑을 위한 각서8 - 파김치〉 ?때로 엄마로 산다는 건 _백석의 시 〈바다〉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 _최금진의 시 〈아파트가 운다〉 ?내가 아프면 당신도 앓으셨던 엄마 _김경주의 시 〈주저흔〉 ?밥을 먹고 하늘을 보고 _허수경의 시 〈시〉 ?나이 든 남자가 혼자 밥 먹을 때 _황지우의 시 〈거룩한 식사〉 ?나의 쓸모없음을 사랑한다 _유하의 시 〈달의 몰락〉 ?눈물 속으로 들어가 봐 _김정란의 시 〈눈물의 방〉 ?꽃수레가 요란하다 _장석남의 시 〈그리운 시냇가〉 ?꽃수레의 명언노트 _김종삼의 시 〈북치는 소년〉 ?앵두와 물고기 _이오덕의 시 〈앵두〉 ?중학생 아들의 첫 시험 ?늦게 피는 꽃도 있다 _나희덕의 시 〈물소리를 듣다〉 ?아들에게 읽어 주고픈 글 _루쉰의 산문 〈아이들에게〉 ?구닥다리 모성관의 소유자 _김기택의 시 〈태아의 잠 1〉 ?다정함의 세계 _김행숙의 시 〈다정함의 세계〉 3. 작가, 사는 일은 가끔 외롭고 자주 괴롭고 문득 그립다 ?나쁜 짓이라도 하는 게 낫다 _최승자의 시 〈이제 가야만 한다〉 ?꽃 시절은 짧고 삶은 예상보다 오래다 _두보의 한시 〈곡강이수〉 ?세상에서 가장 질투하는 것, 당신의 첫 _김혜순의 시 〈첫〉 ?거대한 눈알나무 아가씨 _김민정의 시 〈나는야 폴짝〉 ?나는 푸른색 거짓말을 곧잘 한다 _허연의 시 〈나쁜 소년이 서 있다〉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_함민복의 시 〈긍정적인 밥〉 ?세상에는 무수한 아픔이 있다 _기형도의 시 〈기억할 만한 지나침〉 ?나의 가슴은 이유 없이 풍성하다 _김수영의 시 〈그 방을 생각하며〉 ?나는 가끔 도시에서 길을 잃는다 _김사인의 시 〈바짝 붙어서다〉 ?신앙촌 스타킹 _보들레르의 시 〈시체〉 ?사는 일은 가끔 외롭고 자주 괴롭고 문득 그립다 _권혁웅의 시 〈내게는 느티나무가 있다2 〉 ?자신을 너무 오래 들여다보지 말 것 _최영미의 시 〈행복론〉 ?제 몸에서 스스로 추수하는 사십 대 _고정희의 시 〈사십대〉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_윤동주의 시 〈병원〉 ?나는 나를 맡기고 산다 _고운기의 시 〈익숙해진다는 것〉 ?아름다운 언어에 익사당하고 싶다 _김언의 시 〈문학의 열네 가지 즐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