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전혜린은 ‘흑역사’인가 1 전혜린이라는 예외적 존재 2 한국을 탈출하려는 꿈 3 전근대 한국의 세계시민 4 전혜린은 ‘창작’하지 못했는가 5 수필이라는 퍼포먼스 6 신의주, 부산, 그리고 슈바빙 7 번역가 전혜린 8 “절대로 평범해져서는 안 된다” 9 신여성에서 여학생까지, 소녀의 탄생 10 ‘소녀 감성’의 폄하 11 여류 작가 수난사 12 “불란서 시집을 읽는 고운 손” 13 전혜린, 그리고 읽고 쓰는 여자들 후기 참고문헌 전혜린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