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2장 석조전 건립의 시대적 배경 1.대한제국과 고종의 황성 만들기 2.외국인 총세무사의 활동 3.총세무사 존 맥레비 브라운 4.건축가 존 레지널드 하딩 5.한국에서 존 레지널드 하딩의 활동 제3장 석조전의 건립 1.하딩의 석조전 도면 2.석조전 목제 모형 3.새로운 궁전 계획 4.석조전 최초 설계도 5.석조전 건축 공사 6.석조전 준공 7.중화전 건축 공사 8.황제의 궁,석조전 1910년 제4장 석조전의 건축양식 1.유럽의 신고전주의 2.신고전주의의 한국 유입 3.건축적요소 4.가구와조명 5.석조전 정원:헨리 윌리엄 데이비드슨 6.한국의 전통 정원 7.유럽의 정원 8.석조전 정원의 변화 9.석조전 정원의 의의 제5장 석조전의 변화 1.왕세자 가족의 어숙소 2.일본미술전시관 3.이왕가미술관 4.1945년 해방 이후 5.국립박물관 6.궁중유물전시관 7.선조전 내부 철거와 복원공사 제6장 결론: 건축문화유산 복원으로서의 석조전 1.건축문화유산의 복원과 보호 2.대한제국기 석조전 복원 3.보호를 위한 보수,보수에 의한 손상 4.석조전 정원의 보존인가,중화전 행각의 복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