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 _ 열심히 사는 만큼 행복한 세상 1강 자본주의와 생태주의의 개념과 철학 자본주의를 다시 공부하는 이유 | 자본주의, 돈 놓고 돈 먹는 사회 |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 갈등과 협력 | 자본 vs. 생명 | 자본주의의 역사 | 인간중심주의와 자기 소외 | ‘내 주변’을 넘어서는 전지구적 생태주의 | 이분법적 사고와 철학 | 노예화와 식민화 | 전지구적 위기와 생태주의 | 원시시대와 통합의 사고 | 죽임의 경제를 넘어 생태민주주의로 2강 자본주의 산업화와 파괴성 체제의 치명적인 모순 | 돈벌이와 삶의 질의 관계 | 양적인 성장과 ‘삶의 질’의 후퇴 | 부채와 공정한 분배 3강 기후위기, 모순의 종합 유별난 사람들이 세상을 바꾼다 | 이미 도착한 기후위기 | 기후위기가 드러내는 불평등과 고통 | 지구온난화와 온실가스 | 대가속 시대, 무한 생산과 소비, 그리고 지구열탕화 | 기후위기와 ‘정의로운 전환’ 문제 | 보다 실천적인 대안을 위하여 4강 다양한 대안 이론들 닥쳐온 위기 | 이론들의 세 가지 흐름 | 이론가들 [토마 피케티 • 사이토 고헤이 • 안드레아스 말름 • 제이슨 히켈 • 제이슨 무어 • 브뤼노 라투르 • 앨리스 달 고보 • 마리아 미스 • 피에르 로장발롱 • 이졸데 카림 • 로빈 월 키머러 • 애나 칭 • 아네테 케넬 •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우리는 지구를 떠나지 않는다』 • 도나 해러웨이 • 로지 브라이도티] 5강― 지구를 떠나지 않고 살아가기 공감할 수 있는 원리 | ‘나부터’ 실천 ― 개인적 차원 | ‘나부터’ 실천 ― 사회적 차원 | ‘더불어’ 실천 ― 구조적 차원 | 마무리를 대신하여 보론― 남해안 갈사만 사례 하동 갈사만에 대하여 | 일본 제국주의와 자본의 가치증식 | 갈사만의 옛 지형 | 갈사만 산업화의 여정 | 갈사만 어르신들의 삶 ― 인터뷰 내용 중에서 | 현황 _ 오염의 지속 | 근본 대안 _ 돈벌이 경제를 넘어 자연경제의 회복으로 에필로그 _ 기후위기 시대, 행복의 조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