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 태어나 놀이로 성장하는 개구(開口)쟁이 오은의 천진난만 말놀이 애드리브
맹랑한 동심과 명랑한 광기의 경계에서 말랑말랑한 시를 놀다
“비트겐슈타인의 마지막 연인이자 최초의 연인”(문학평론가 박상수) 오은의 첫 번째 시집이 출간되었다. 그는 이 시집을 통해 언어유희의 미학을 극단까지 몰고 간다. 그는 다국적 인물, 다양한 문화적 코드, 음악, 영화, 철학뿐만 아니라 과학, 수학까지 시 속에서 놀게 하는가 하면, 자본 문명 안에 존재하는 욕망의 허기들, “식충이들”을 신랄하게 꼬집는다. 그는 “모방을 모방하면서/ 모방을 모반”하고, “묻고 또 묻고/ 묻는다는 것에 대해 또 묻”는다. 언어적 혁명을 통해 사회적 부조리와 불평등에 저항하는 것이다. 단어들을 단순하게 사용하다가 그것들의 의미와 관계를 심화하고 새로운 언어적 상황을 만드는 오은의 작법은 독자로 하여금, 언어가 구성하는 사회적 조건과 가치들을 끊임없이 의심하고 질문하게끔 한다.
그의 말놀이 본능, 아무도 막을 수 없다
일단 재밌다. 만화나 소설이 아닌 시집인데 말이다. 오은은 그야말로 언어를, 시를 가지고 논다. 그의 말마따나 “말을 늘였다 줄였다 부풀렸다 쪼그라뜨렸다 스트레칭하는 모험”을 즐긴다. 오은은 고무줄 같은 시인이다. 그는 “스프링, 스프링” 봄처럼 튀어 오른다. 그의 탄성은 도무지 한계가 없다. 하지만 단순히 재밌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의 천진난만한 말놀이 애드리브에 쿡쿡 웃음을 터뜨리며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내 안에 숨겨진 “돼지들”을 발견하곤 섬뜩해지며 “뜨악해, 뜨악해, 산다는 게 뜨악해.” 하고 외치게 된다.
문학평론가 박상수의 말처럼 그의 시에는 “이주노동자와 아르누보, 긴급조치와 데리다가 공존”하고, “언어와 유희하며 현실과 관계 맺는다.” 그는 오은을 일컬어 “한국 시에서 ‘부드럽고 지적인 논리의 연쇄법’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분명 이 시인”이라고 평했다.
그의 시에는 음악처럼 무의식적인 감각과 리듬이 넘쳐 난다. 의미의 리듬과 구문의 리듬이 중첩되어 시 전체는 음악적인 긴장감을 얻는다. 이 시집의 서시 「스프링」에서 “스프링”, “텀블링”, “마블링” 등 음운상?의미상으로 연결된 단어들을 엮어 과도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한국의 획일적인 교육을 비판한다.
또한 「식충이들」은 ‘먹다’를 모티프로 하여 반복된다.
왕년에는 식은 죽 먹기로 1등을 먹었었는데, 어떤 일이든 척척 거저먹었었는데, 식욕은 왕성해지는데 먹어도 먹어도 떨어지는 게 없다니! 독하게 마음먹고 회사의 공금을 좀 먹어 볼까? 콩밥도 먹고 나이도 먹고 그러다 운 좋게 한 자리 해 먹으면 뇌물도 먹고 쓴소리에는 적당히 가는귀도 먹을 수 있을 것이다 그쯤 되면 직원들을 노예처럼 부려 먹고 배우자의 영혼도 야금야금 갉아먹을 테지(「식충이들」)
오은은 숫자가 구체화될수록 인간관계는 추상화되는 디지털 사회의 속성을 간파하여 인격보다는 수치화된 조건들을 더 중요시하는 디지털 방식의 인간관계를 명쾌하게 그려 낸다.
우리가 관심 있는 건 오로지 숫자뿐이다 (중략) 스프레드시트 위에 빽빽이 들어찬 숫자, 이것만이 우리를 안심시킨다 180-70이나 36-24-35 같은 수치만이 우리의 긴장을 극에 달하게 한다 우리가 침을 삼키며 숫자를 거꾸로 세는 동안, 엘리베이터는 정확히 한 단계씩 상승, 상승, 상승(「엘리베이터」)
「This Hoffmann」이나 「제인」, 「한스」와 같은 시편에서는 한국어를 낯설게 만들려는 시인의 노력이 드러난다. 그는 「제인」과 「한스」에서 영어/독어의 고유명사처럼 들리는 단어들이 한국어에 속할 수는 없는지 묻는다. 그는 어떤 문화의 요소를 전형적인 것으로 만들려는 우리의 고정관념에 맞선 채 한국어로 놀고 한국어로 이야기를 만든다.
「어떤 날들이 있는 시절 3」에서 시인은 잘 알려진 속담 두세 가지를 한 문장 안에 섞어서,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비유적 상황을 우스꽝스럽게 만든다. “어떤 날엔 얌전한 고양이가 스스로 방울을 달고 부뚜막에 오르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개밥 속 숨겨진 도토리를 찾으면 서당에 살지 않아도 풍월을 읊을 수 있었다”, “바늘을 훔쳐 담을 넘다가 소도둑이 된 구렁이만 만났다” 등의 시구를 통해 그는 새로운 비유를 만들어 내고 새로운 구문을 찾아서 언어를 낯설게 만드는 대신 익숙한 비유를 새롭게 사용해서 언어를 낯설게 만든다. 예를 들어 “반말을 하다가 걸리면 어김없이 목구멍에 끌려가 서 말의 구슬을 꿰는 벌을 받았다”라는 문장을 통해 “목구멍이 포도청”이라는 속담을 떠올리며 독자는 결국 “목구멍”에서 다양한 개념을 상상하게 된다.
또한 시인 김경주는 오은의 시 「섬」을 두고 “욕조에 관한 수많은 시 가운데 이 시가 유난히 곁을 차지하는 것은 어느 외로운 날, 욕조 속에서 자신의 비린 발을 꼬옥 오그리고 있는 시인을 상상하며 우리 역시 한 번은 자신의 곁을 지나갔던 ‘섬’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만히 들여다볼수록 비린 시”라며 추천했다.
이 첫 시집을 통해 그는 이미 “어떤 현상이나 경향”, “스타일이나 수수께끼”를 이루었다. 그의 말놀이 본능은 아무도 막을 수 없다. 그의 외침처럼 그는 이제 우리 시단의 “미래의 희망”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