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그리스도교 신앙, 그리스도교 텍스트를 바라보는 대가들의 시선. ‘비아 시선들’ 세 번째 책. 20세기를 대표하는 개신교 신학자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가 바라본 조직신학의 필요성과 주요 문제들 “그리스도교적 체험과 그리스도교 공동체에는 신학이 필요합니다. 모든 진리 주장에 대한 검증은 바로 이 성찰의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지요. 예수가 선포하는 하느님이 유일하고도 참된 하느님이며 그분이 예수를 진정 죽음에서 일으켰다는 그리스도교 교회의 선포는 신학적 성찰을, 즉 그 진리 주장을 검토하고 확증하는 과정을 수반합니다. 신학이 이 과제를 제대로 감당한다면, 교회의 가르침은 그 참됨을 설득력 있게 전함으로써 설교자를 격려하고 모든 그리스도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한 양심을 다지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 본문 中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는 칼 바르트, 루돌프 불트만, 폴 틸리히를 잇는, 20세기 마지막 신학의 대가로 꼽힌다. 이 책은 그가 자신의 대표작인 『조직신학』 3부작을 집필하는 와중에 미국 웨스턴 신학교에서 한 강연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다. 여기서 그는 자신이 쓰고 있는 『조직신학』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며 그 덕분에 이 책은 현대 조직신학의 문제의식과 내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작이자 방대한 판넨베르크 사상, 특히 『조직신학』의 핵심을 엿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총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판넨베르크는 조직신학의 필요성과 신론, 창조론, 그리스도론을 오늘날의 맥락에서 어떻게 진술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그에 따르면 조직신학은 다른 무엇보다 조직신학은 다른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교가 전하는 진리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그러한 면에서 현대 사상, 과학과 대화를 나눌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과거 그리스도교 전통, 교리에 담긴 메시지를 존중하면서도 이를 현대라는 지평에 걸맞게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판넨베르크가 제시한 방법은 체계이며 여기서 그는 고전적인 교리들, 즉 신론, 창조론, 그리스도론, 삼위일체론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고 맞물리면서 체계적 일관성을 지니게 되는지를 간명하게 설명한다. 본문 뒤에는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가 현대 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볼 수 있게 해주는 글을 실어놓아 본문에 대한 좀 더 입체적인 독해가 가능하게 했다. 칼 바르트, 루돌프 불프만, 폴 틸리히와 같은 20세기 초 거대한 신학의 거인들 이후 이들의 작업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20세기 마지막 대가의 ‘신학적 사유’의 깊이를 맛볼 수 있는 얇고도 단단한 저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