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추천사 머리말-온라인은 한국 컨슈머 시장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1장 쿠팡 기업가치 100조 원의 논리 쿠팡, 한국 온라인 유통 절대적 1위 사업자로 인정 대형마트 인수 가능성은 제한적 11번가나 티몬의 밸류에이션도 올라갈까? 매출 14조 원에도 적자인 기업의 가치 쿠팡의 기업가치는 100조 원이 넘을 수도 있다 아마존 학습 효과: PER 100배의 기억 PER 100배 밸류에이션이 어떻게 가능한가? 고성장 온라인 유통 기업의 중·장기 영업 레버리지 밸류에이션 격차의 정당성 온라인 유통은 영업이익률이 중요하지 않다 2장 온라인 유통 시장 특징 제대로 알기 온라인화는 ASP의 하락이다 다나와가 용팔이를 무너뜨리다 유통은 최소한 ‘안방은 지키는 비즈니스’였다 진입장벽 하락과 마진 구조의 변화 마진에 대한 가정이 깨지다 소비의 국경선이 소멸되다 3장 소비 밸류체인과 경제주체들은 누구인가? 가계 - 유통 - 브랜드 - OEM /ODM 가계의 소비 패턴 변화에 주목하라 C: 예산, 가계 구매력 P: 가격, 인플레이션 Q: 재화의 양과 종류, 소비 패턴 온라인 유통 확대의 최대 수혜자 유통 업체 P와 Q가 모두 하락하다 홈쇼핑: 최고의 마케팅 채널 물건값보다 TV 홈쇼핑 수수료가 많다? 그래도 홈쇼핑을 계속 찾는 이유 편의점: 수요- 공급 불균형의 반복 최저임금 덜 오르자 편의점 다시 늘었다? 4장 온라인화가 소비 밸류체인에 끼친 영향 1 : 가전 양판~대형마트 카테고리 표준화가 많이 된 순서로 침투 가전 양판: 온·오프라인의 딜레마 민간 소비 이상의 성장 가능 가장 먼저, 강하게 침투할 수 있는 카테고리 가전 양판 업체의 한계와 고민 케이스 스터디: 베스트바이 vs. 롯데하이마트 베스트바이: 아마존의 위협에서 살아남다 롯데하이마트: 구조적 한계 극복 중 백화점: 온라인화로 이중고 백화점에서 브랜드로 헤게모니 이동 한국에서 백화점이 건재한 이유 중간 유통 업체: 비즈니스 모델에 근본적인 위협 대형마트: 식품 시장, 마지막 오프라인의 보루 온라인 유통이 사업이 되기 위한 조건 식품 온라인 사업 환경 개선 외형만 커진 식품 온라인 시장과 유통 업체들 케이스 스터디: 월마트 vs. 이마트 월마트: 오프라인 경쟁력으로 온라인까지 1위를 하다 이마트: 사업 확장에도 실적이 부진했던 이유 롯데마트와 홈플러스는 문 닫는데 이마트는 신규 오픈하는 이유 물류 인프라의 역할: 2016년의 기억 오프라인 인프라의 가치 부각 5장 온라인화가 소비 밸류체인에 끼친 영향 2 : 온라인 유통 온라인 유통 시장의 재편 온라인 유통 사업에 대한 고민 2018년 이후 온라인 시장에 일어난 변화 온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