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치, 파란만장

Jang Da-hye · History/Novel
48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3(12)
0.5
3
5
Rate
3.3
Average Rating
(12)
Comment
More

장다혜 장편소설. 조선시대 한양을 거점으로 한 남사당패를 배경으로 ‘소리꾼을 갈망하는 줄꾼 이날치’의 여정을 신명나는 한바탕 놀이로 풀어낸다. 구수한 팔도 방언과 해학적인 광대놀음, 왁자지껄한 장터와 떠들썩한 나루터 전경, 들뜬 명절 분위기와 각종 전통놀이 등 이야기 골짜기 굽이굽이에 수놓아진 유쾌한 풍경들은 사당패의 흥취와 어우러져 조선 민초들의 삶을 고스란히 엿보게 한다. 그 위에 두루 녹여낸 판소리 다섯 마당과 다채로운 민요들은 조선의 흥과 멋을 곱씹게 하는 동시에, 소설에 맛깔난 추임새를 더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3(12)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Description

줄꾼으로 살 것인가, 소리꾼으로 죽을 것인가 조선 후기 판소리 명창 이날치, 국창 인생의 서막을 열다! 천공을 가로지르는 건, 그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대형 줄이었다. 보통 줄보다 딱 두 배 길고 덩달아 두 배 높아 까마득했다. 그토록 위험천만한 말랑줄을 탈 수 있는 광대는 조선 천지에 단 한 명, 이날치뿐이었다. 소설 『이날치, 파란만장』은 조선시대 한양을 거점으로 한 남사당패를 배경으로 ‘소리꾼을 갈망하는 줄꾼 이날치’의 여정을 신명나는 한바탕 놀이로 풀어낸다. 구수한 팔도 방언과 해학적인 광대놀음, 왁자지껄한 장터와 떠들썩한 나루터 전경, 들뜬 명절 분위기와 각종 전통놀이 등 이야기 골짜기 굽이굽이에 수놓아진 유쾌한 풍경들은 사당패의 흥취와 어우러져 조선 민초들의 삶을 고스란히 엿보게 한다. 그 위에 두루 녹여낸 판소리 다섯 마당과 다채로운 민요들은 조선의 흥과 멋을 곱씹게 하는 동시에, 소설에 맛깔난 추임새를 더한다. 날치가 촤르륵, 부채를 펼치자 그것을 신호로 풍물패의 연주가 시작되었다. 얼음을 타는 듯 조심스럽다 하여 줄타기를 어름이라 하던가. 어름사니의 걸음걸음이 과연 얼음판을 지치듯 가뿐히 미끄러져 나갔다. 날치는 활활 부채질을 하며 양반걸음으로 앞으로 쭉 나아갔다가, 얌전히 뒷짐을 지고 사붓사붓 뒷걸음질을 치다가, 또다시 도포 자락을 펄렁이며 곧장 앞뒤로 왔다리 갔다리를 반복하였다. 그러곤 껑뚱껑뚱 줄 위를 날 듯 뛰다가, 양반다리를 한 채 공중부양을 하듯 튀어 오르기까지 하였다. 쥘부채를 모아 쥐고 가랑이 사이로 줄을 타고 앉았다 일어나기는 기본이고, 휘리릭 재주넘기는 덤이요, 몸을 뒤채며 눈을 찡끗대는 건 끼 부리기였다. (p. 38) 소리꾼을 꿈꾸는 줄꾼, 이날치의 파란만장 오디세이! “줄을 작파할 것이다.” 비밀을 털어놓은 이도, 듣는 이도 놀랐다. “곧 면천첩을 사고 금강산에 칩거 중인 송방울을 찾아갈 거다. 내 기어코 소리꾼이 될 것이야. 함께 가자.” 조선 후기, 전라도 담양. 김진사 댁 씨종인 아홉 살 계동은 역병에 휩쓸려 아비와 생이별을 하고 남사당인 화정패에 들어간다. 곧 화정패의 우두머리가 노름밑천을 대기 위해 계동을 팔아버리지만 그런 와중에도 계동은 “꼭 소리꾼이 되라” 했던 아비의 유언을 되새기며 소리를 배울 생각뿐이다. 그리고 십여 년 후, 훤칠한 도포 차림에 아찔한 인물치레를 뽐내며 줄 위에서 신묘한 재주를 선뵈는 최고의 줄꾼 이날치. 구용천에게 팔려갔던 계동이 2년 만에 다시 화정패로 돌아왔던 것이다. 그가 줄을 걸었다 하면 사람들이 구름떼처럼 모여들고, 여인들이 가슴앓이하며 볼을 붉히지만 정작 날치는 줄을 작파하고 소리판에 들어갈 날만을 학수고대하고 있다. 미천한 신분으로 임금을 알현하는 방법은 소리꾼이 되는 것뿐이었기에. 돈을 모아 반드시 면천하고, 금강산에 은둔한 명창 송방울을 찾아가 그의 제자가 되리라! 꼭 소리꾼이 되어 임금 앞에 고해야 할 것이 있다! 어전에 나아가겠단 다짐은, 삶을 등지고픈 자신을 억지로 다잡기 위해 붙잡고 늘어진 망상일 따름이었다. 송선생의 말마따나, 구용천에게서 명예만 뺏으면 그뿐이 아니던가? 그의 악행을 목 터지게 소리치다가 속 시원히 죽는 것도 나쁘진 않을 성싶었다. 날치는 마음을 굳게 먹었다. 그리고 피를 토하여 속을 게워내는 심정으로 붓을 휘둘렀다. 필사적이었다. 선지가 급하게 채워졌다. 눈알에 성성한 핏발이 일었다. 무서운 몰입이었다. 천인들도 완창을 들을 수 있도록 짧게 만든, 일각짜리 사설이었다. 몇 번의 해가 뜨고 또다시 몇 번의 달이 기울었다. 드디어 빼곡하게 찬 서책 앞에 제목이 박혔다. 아무개전. (p. 378) [리디북스] 1위를 기록한 『탄금』에 이은 장다혜 작가의 두 번째 조선 서스펜스 풍물 드라마 현재 TV 드라마 제작 중인 『탄금』의 장다혜 작가가 첫 소설을 펴낸 지 2년 만에 조선 후기 광대이자 판소리 명창 ‘이날치’를 소환하는 두 번째 이야기로 찾아왔다. 『이날치, 파란만장』은 실제로 특히 「춘향가」와 「심청가」를 잘 불렀던 <서편제>의 제일 명창, 이날치(李捺治, 1820 ~ 1892. 본명 이경숙)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소설적 긴장감으로 생동감 넘치게 그려냈다. 날아다니는 물고기인 날치처럼 날쌔게 줄을 잘 탄다 하여 ‘날치’라는 예명이 붙었고 조선 후기 8명창 중 한 명이라는 사실 이외 남아 있는 다른 기록들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줄꾼과 소리꾼으로서 이날치의 탁월한 면모를 고리 삼아 작가는 소설 속에 실존 인물이면서 상상이 가미된 새로운 역사적 인물을 탄생시켰다. 전통적인 판소리에 현대적인 팝 스타일을 적절하게 조화시킨 국내 팝 밴드인 ‘이날치’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덩달아 조선 명창 이날치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는데, 소설 속에서는 「춘향가」, 「심청가」를 비롯하여 「적벽가」, 「수궁가」,「사랑가」 등 판소리 한마당을 절절한 스토리와 함께 감상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아무개전> 완창 대목에서는 짜릿한 반전의 결말을 맛볼 수 있다. 도성이 텅 비었다. 광통교에도, 운종가에도, 용산나루에도, 송파시장에도 행객이 없었다. 일 년 내내 점포를 여는 갖바치, 수철장, 갓일장이, 옹기장이도 금일만은 점포 문을 걸어 잠갔다. 도성 문지기들은 하릴없이 하품만 쩍쩍 해대었다. 그 많은 사람이 다 어디 갔나 했더니, 다들 강가에 우뚝 솟은 취화루 앞에 장사진을 치고 있었다. 주변 모래사장은 이미 발 디딜 틈 없이 복작대었다. 일각짜리 소리 『아무개전』을 듣기 위해서였다. 바람마저 얼어붙은 동절의 복판이었건만 이 대단한 기회를 놓칠세라 지팡이 짚은 노인부터 코흘리개 아이들, 쓰개치마를 뒤집어쓴 여인들까지 모두 취화루로 모여들었다. 해코지를 당할까봐 좀처럼 우마골에서 벗어나지 않는 백정들과 무당밭에 모여 사는 무녀들, 저자를 주름잡는 무뢰배며, 시주받으러 떠도는 걸립승까지 죄다 거동하였으니 사람이 사람을 구경하는 진풍경마저 벌어졌다. (p. 443) 팝 밴드 '이날치' 보컬 안이호, 소설 『이날치』를 추천하다! "하늘 위를 날던 줄광대는 슬며시 땅으로 내려와 이야기를 건네는 소리광대가 되었다" 하늘 위를 날던 줄광대는 슬며시 땅으로 내려와 이야기를 건네는 소리광대가 되었다. 그리고 급기야 사람들의 웃음을 타고 세상을 넘어 스스로 이야기가 되었다. 이 소설은 명창 이날치의 삶을 파헤친 역사물이 아니다. 기쁘면 노래하고 슬프면 곡을 하는 당연함을 꿈꾸고 결국 이루어낸, 그를 위한 찬가이다. 냉혹한 세상은 줄광대 이날치에게서 웃음을 빼앗고 눈물을 갈취하였으나 소리꾼의 갈증에 허덕이던 그는 끝내 삶을 내던져 부서지며 소리쳤으니 그야말로 ‘파란만장’을 살아내었다 할 수 있겠다. 소리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삶’을 살았던 명창 이날치를 ‘이야기 자체’로 존재하게끔 만들었다는 점에서, 그 어떤 자료도 설명해주지 못한 인간 이날치의 모습을 눈앞에 그려 보여주는 것만 같다. - 안이호(소리꾼, 팝 밴드 ‘이날치’ 보컬) 핏빛의 원한과 회심의 복수, 못다 이룬 연정 그러나 …… 소설 『이날치, 파란만장』에는 줄타기와 판소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신분의 귀천에 따른 군림과 복종 그리고 온갖 비리가 비루한 삶을 더욱 비참하게 물들이는가 하면, 그로 인한 끔찍한 장면들이 등골을 오싹하게 할 만큼 정교하게 묘사된다. 한편, 소복을 입은 눈먼 곡비와 연모하는 여인을 끝내 취할 수도, 버릴 수도 없었던 의빈 채상록의 연정 그리고 백연과 이날치의 구슬프고 애달픈 사랑의 말로가 가슴을 적신다. 날치는 달 밝은 밤 마당에 매어놓은 줄 위에서 홀로 연습을 하던 중 용두재 뒷골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