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 첫 번째, 북한은 과연 붕괴할 것인가 ? 북한 붕괴라는 도그마 ? 민중봉기와 쿠데타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 압박과 인내 모두 답이 아니다 ? 북한은 자본주의화되고 있나 두 번째, 미치광이 혼자 북한을 지배한다는 착각 ? ‘포악한 독재자’라는 프레임 ? 김정은의 목표는 덩샤오핑 ? 북한은 1인 독재국가인가 ? 장성택 처형의 의미 세 번째, 선군정치는 군부독재와 같은 말이 아니다 ? 북한의 심장, 주체사상 ? 주체사상을 떠받치는 네 기둥 ? 김일성과 기독교 그리고 통일교 ? 선군정치는 군부독재의 이데올로기인가 ? 북한식 성과 평가는 그 기준이 다르다 네 번째, 북한 인권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 ? 인권 뒤에 숨은 인권 정치 ? 탈북자 증언, 어디까지 믿을 것인가 ? 정치적인, 너무나 정치적인 ? 탈북자 북송반대, 과연 인도주의적인가 다섯 번째, 북한은 외국인 억류로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 ? 2009년과 2016년, 두 외국인 억류 사건의 차이 ? 북한이 요구하는 것은 돈이 아니다 여섯 번째, 대북 지원이 핵 개발을 도왔나 ? 대북 지원 내역 뜯어보기 ? ‘퍼 주기’의 실체 일곱 번째, 중국과 북한, 혈맹과 밀당 사이 ? 피를 나눈 혁명 동지 ? 북핵 중국 책임론의 허상 ? 북·중 경제협력의 두 얼굴 ? 미묘한 긴장, ‘고대사’의 정치 여덟 번째, 진보와 보수를 넘어서 보는 남북관계 ? 남북 대화의 시작, 7.4 남북 공동성명 ? 노태우, 화해와 협력의 기틀을 마련하다 ? 무대책의 대북정책, 김영삼 ? 햇볕정책의 역사적 의의 ? 10년의 성과가 무너지다 ? 남북관계 개선을 위하여 아홉 번째, 북한 비핵화는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 미국 대북정책의 중심, 북핵 ? 미국의 실수 ? 오바마의 대책 없는 ‘전략적 인내’ ? 북한이 핵에 목을 매는 이유 ? 트럼프 시대의 북핵 전망 ? 어렵다, 그러나 길은 있다 열 번째, 분단의 비극, 안보의 함정 ? 안보 접근법과 평화 접근법 ? 또 하나의 흑막, 군산복합체 ? 이산가족 문제는 조심스럽게 열한 번째, 통일은 곧 손해라는 생각에 관하여 ? 남북 협력의 경제 모델, 개성공단 ? 개성의 중요성 그리고 가능성 ? 뉴 프런티어, 나선특별시 ? 북한의 경제적 편익, 지하자원 열두 번째, 남북이 하나가 되는 길은 저 멀리에 있지 않다 ? 동질성 추구보다는 이질성의 포용을 ? 비공식 대화를 활용한다면 ? 남북의 공통점과 차이점 ? 남과 북이 함께 만드는 통일헌법 맺음말 에필로그 : 만주에서 미국까지, 다시 평양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