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프랑스어판 편집자 서문 1강. 1970년 12월 9일 지식의 테마에서 진리의 테마로 이동하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철학사에서 지식에 대한 욕망이 생략되다 | 니체가 이 외부성을 복권하다 | 『형이상학』 A권에 대한 내적?외적 독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 이론은 희랍 비극의 위반적 지식, 소피스트적 지식, 플라톤적 상기를 배제한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호기심과 권력 의지: 지식의 두 형태학 2강. 1970년 12월 16일 인식과 진리의 함축 관계 해체를 분석하기 위하여 | 욕망, 진리, 인식이 하나의 이론적 구조를 이루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에서 진리가 점하는 모호한 우위. 스피노자, 칸트, 니체가 이 체계성을 뒤집으려 하다 | 쾨니히스베르크의 ‘늙은 중국인’에게서 해방되기, 하지만 스피노자를 죽이기 | 니체가 진리와 인식의 귀속 관계를 걷어내다 3강. 1971년 1월 6일 소피스트들: 그들의 등장과 배제 | 진리와의 관계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사. 철학 담론은 시학 담론과 지위가 같을 수 없다 |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세기 동안 통용될 철학의 역사적 존재 방식을 설정하다 | 소피스트들을 배제함으로써 가능해진 철학의 존재 | 소피스트라는 인물. 궤변이라는 기술 | 궤변술은 단어의 물질성을 변조한다 | 소피스트 배제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맡은 상이한 역할 4강. 1971년 1월 13일 궤변과 참된 담론 | 진술문의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 논리적 변조 대 궤변적 변조 | 언표의 물질성, 명제의 물질성. 레몽 루셀, 장-피에르 브리세, 루이 울프슨, 오늘의 소피스트들 | 플라톤은 소피스트라는 인물을 배제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궤변의 기술을 배제한다 | 궤변, 그리고 진술과 말하는 주체의 관계 5강. 1971년 1월 27일 희랍 사회에서 진리와 연결되는 기능을 맡는 담론. 사법 담론, 시학 담론 | 헬레니즘 문명의 문턱에 있는 후기 자료 검토 | 『일리아스』와의 대조: 호메로스의 준-사법 논쟁. 네 가지 대결 체계 | 재판관의 최고권과 야만적 최고권 | 호메로스적 판결 또는 유명한 ‘아킬레우스의 방패’ 장면 6강. 1971년 2월 3일 헤시오도스 | 호메로스와 사법 담론에서 진실 발언의 성격 규정 | 희랍의 시련 재판 의례와 그리스도교의 종교 재판 | 마조히즘에서 쾌락과 진실의 시련 | 뇌물 먹는 재판관-왕의 dikazein에 맞서 krinein을 예찬하는 헤시오도스 | 헤시오도스에서 Dikaion과 dik? | 희랍의 법 공간에서 krinein의 확대, 그리고 진실 단언의 새로운 유형 | 드라콘의 입법과 배상 | Dikaion과 세계 질서 7강. 1971년 2월 10일 dikazein과 krinein에 따른 진실 발언의 분배 | 공정한 질서의 요구로서 출현한 헤시오도스의 dikaion | 정의와 부정의의 게임에서 이웃의 역할 | 시련 재판의 진실에서 진리-지식으로 | 앗시리아와 히타이트의 지식이 가져온 것. 희랍에서 그 지식들의 변형 8강. 1971년 2월 17일 헤시오도스의 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