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한국의 독자 여러분께 들어가며 I. 일본사법의 시작 제1장 1889년 도쿄, 근대사법의 시작 1·메이지헌법의 사법제도 2·사쓰키회 3·도쿄공소원 분과회 4·익찬선거 무효판결 5·나카노 세이고 구속 6·도조 히데키의 훈시 제2장 GHQ와 최고재판소의 탄생 1·신헌법 등장 2·재판소법 제정 3·재판관임명자문위원회 4·최고재판소 출범 II. 일본 최고재판소를 말하다 제3장 새로운 최고재판소를 위한 논쟁 1·더 나은 일반법령위반심사를 위해 2·더 많은 위헌심사를 위해 3·재판관임명자문위원회 설치 4·조사관 5·재판관 국민심사 제4장 일본은 왜 헌법재판을 피하나 1·너무 적은 위헌판단 건수 2·최고재판소의 위헌심사 기준 3·헌법은 재판규범이다 4·소법정의 합헌판단을 우려함 제5장 최고재판소를 뒤집은 소수의견 1·사법권의 범위 2·민주적 정치과정 3·사상·표현의 자유 4·소수자 권리 5·개별적·구체적 구제 III. 일본사법의 미래 제6장 사법이 변해야 일본이 산다 1·작은 사법의 극복 2·바람직한 법조양성제도 3·재판원재판에 대한 기대 4·글로벌 시대의 사법 나오며 주 (부록) 일본국헌법 전문 추천사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