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추천의 글 1. 공동성의 건축 ■ 공동성을 생각한다 ■ 시간과 땅속의 공동성 ■ 건축은 근원을 아는 자의 큰 기술 ■ 인간 모두에게 속하는 바를 묻는 건축 ■ 건축이 되기 ‘이전’의 건축 ■ 내-공동-성의 깨달음 ■ 폐허는 거슬러 올라가는 여정 ■ ‘나의 건축가’ 속의 건축 ■ 건축하고자 하는 이들의 건축 ■ 질투와 우연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소 ■ 공동성을 일으키는 현재의 과거 ■ 한 칸 방의 공간적 원상 2. 오늘의 건축을 생각하는 눈 ■ 건축은 여전히 ‘건축’인가? ■ 거주가 불가능한 도시의 주거 ■ 놀이의 건축 ■ ‘풍경’은 뒤로 물러서는 것 ■ 재생은 건축의 근본이 새로 자라게 하는 것 ■ 유목형 사회의 도시한옥 ■ 주택의 미래, 미래의 주택 3. 의심해야 할 건축의 논점들 ■ “저는 어렸을 때부터 건축을 사랑했거든요.” ■ 배제하는 건축 ■ ‘인문학적 건축’을 의심한다 ■ 건축의 과대망상증 ■ 건축하는 이들이 피해야 할 말, ‘비움’과 ‘침묵’과 ‘미학’ ■ ‘건축이 삶을 만든다’고 믿는 두 건축의 한계 ■ 건축의 자연, 한국 건축의 자연 4. 우리는 근대건축을 어떻게 물었는가? ■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 : 근대의 정신주의자 ■ 아돌프 로스의 묘를 찾아간 이유 ■ 한국 현대건축의 전통적 표현과 그 파생 개념 비판 ■ 주한 프랑스 대사관 : ‘근대’의 갈등을 잃은 한국 현대건축의 기점 ■ 규방의 건축을 벗어나기 위해 ■ 4.3 그룹을 곁에서 생각하며 ■ 공간그룹의 미래와 김수근 5. 건축의 공공성은 사회를 위한 것 ■ 한국 건축에서 공공을 말하다 ■ 건축제도와 건축의 공공성 ■ 왜 문화에 근거한 건축정책이 필요한가? ■ 건축설계산업의 방향 ■ 표류하는 건축설계 대가, 이대로 수수방관 할 수 있는가? ■ 좋은 공공건축물을 만드는 조건 6. 건축가가 자기 자리를 얻으려면 ■ 건축의 경계 바깥에서 가능한 모든 것 ■ 집안 식구가 바로 자기 원수다 ■ ‘만드는 자’와 ‘그리는 자’ ■ 건축가의 성명표시권 ■ 건축가의 자리를 없애는 사회 ■ 건축 단체의 통합은 사건이 아닌 의무 ■ 건축과 저널리즘, 또는 건축저널의 힘 ■ 건축하는 사람들의 숙제 7. 건축교육은 건축의 미래 ■ 건축이론은 따라가지 않기 위한 것 ■ “학부 5년제 문제 있다”는 주장의 문제 ■ 그들은 왜 건축가가 되고자 하는가? ■ 건축학과 지망생에게 해 준 말 속의 건축 현실 ■ 건축은 사람을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