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학의 세계

한국과학기술학회 and 12 others
42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0(10)
Rate
4.0
Average Rating
(10)
'STS collection'의 첫 번째 책. 현장에서 과학기술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이자 한국과학기술학회에 몸담고 있는 12명의 전문가들의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4년에 걸친 집필과 편집 과정을 통해 소개되는 이 책은 국내 집필진이 쓴 최초의 입문서로 이공계학생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시대를 살아가는 일반인들에게도 과학기술과 사회의 의미를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과학기술학이란 과학기술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접근을 통칭하는 용어이자 학문 분야로 과학기술에서 사회를 읽고, 사회에서 과학기술을 읽는 기획이다. 우리는 『과학기술학의 세계』를 통해 사회적 현상이나 쟁점을 접할 때 그 속에 있는 과학기술을 찾을 수 있고, 과학기술의 과거, 현재, 미래를 볼 때 그 속에 있는 사회를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의미와 재미를 맛볼 수 있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Rating Graph
Avg4.0(10)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책 읽기에 앞서 1장 과학기술학이란 무엇인가―송성수 2장 과학자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박희제 3장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에 관하여―홍성욱 4장 기술과 사회를 보는 시각―송성수 5장 인간과 사물의 동맹 맺기: 행위자-연결망 이론―김환석 6장 페미니즘으로 보는 과학과 기술―박진희 7장 대중의 과학이해: 일반인이 읽는 과학기술―김동광 8장 위험사회 속의 과학기술―강윤재 9장 과학기술과 시민참여―이영희 10장 과학기술자의 사회운동―김명진 11장 과학기술이 윤리를 만날 때―손화철 12장 과학기술학이 바라보는 공공정책―김은성 13장 기술혁신정책의 진화와 과제―송위진 참고문헌 찾아보기

Description

STS, 과학기술학이란 무엇인가 국내 최고의 연구자들이 만든 최초의 과학기술학 입문서 오늘날 과학기술은 인간의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핵심적인 요소로,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되고, 판단을 내리는 데 영향을 미치며, 주위를 에워싼 환경을 구성한다. 이처럼 현대의 인간사회에서 과학기술이 갖는 의미가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을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눈으로 탐구할 필요성이 커졌고, 이는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이라는 학문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홍성욱 교수가 기획하고 휴먼사이언스가 펴내는 STS collection의 첫 번째 책 『과학기술학의 세계』는 현장에서 과학기술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이자 한국과학기술학회에 몸담고 있는 12명의 전문가들의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4년에 걸친 집필과 편집 과정을 통해 소개되는 이 책은 국내 집필진이 쓴 최초의 입문서로 이공계학생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시대를 살아가는 일반인들에게도 과학기술과 사회의 의미를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과학기술학이란 과학기술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접근을 통칭하는 용어이자 학문 분야로 과학기술에서 사회를 읽고, 사회에서 과학기술을 읽는 기획이다. 우리는 『과학기술학의 세계』를 통해 사회적 현상이나 쟁점을 접할 때 그 속에 있는 과학기술을 찾을 수 있고, 과학기술의 과거, 현재, 미래를 볼 때 그 속에 있는 사회를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의미와 재미를 맛볼 수 있다. STS, 과학 기술을 통해 세상을 보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눈으로 탐구하는 과학기술학으로 현대사회의 새로운 통섭을 만난다 과학기술학(STS)은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시선으로 과학기술을 탐구한다. 현대 사회가 과학기술의 시대라고 불리듯이, 과학기술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많은 사회적 현상이나 담론을 충분히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과학기술학은 사회 속의 과학기술을 찾고, 과학기술 속의 사회를 찾고자 한다. 즉, 사회를 논의할 때에는 과학기술을, 과학기술을 논의할 때에는 사회를 필수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인문사회계와 이공계의 통섭(統攝, consilience)이 강조되고 있다. 과학기술학은 그 자체의 성격상 통섭하기의 전형을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세상을 바꾸는 전략적 장소가 중세 사회에서는 성당이었고, 근대 사회에서는 공장이었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실험실이 되고 있다.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과 사회의 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오늘날, 과학기술학은 모든 사람들이 알아야 할 핵심적인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제 과학기술학의 다채로운 세계를 12명의 국내 전문가의 시선을 통해 만나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