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까만 기와》는 《빨간 기와》의 속편으로 우리나라에 소개된 차오원쉬엔의 대표작이다. 《빨간 기와》와 《까만 기와》는 책따세와 학교도서관저널의 추천 도서로 선정되며 문학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중국 국가 도서상, 베이징 도서 최우수상, 베이징 문학 예술상 등 30여 개의 상을 휩쓸며 차오원쉬엔을 중국의 국민 작가 반열에 올려놓은 작품이다. 《까만 기와》는 빨간 기와라 불리는 중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이 각기 다른 삶의 길을 찾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까만 기와(고등학교)에 입학한 아이들도, 입학하지 못한 아이들도 문화 대혁명이라는 혼란스러운 시대에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한다. 정신적으로 성숙해진 아이들은 사랑에도 삶에도 좀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설사 원하지 않았던 길을 가게 될지라도 아이들은 그 자리에서 최선의 방법을 찾아 자신의 인생을 책임지기 위해 노력한다. 그런 점에서 《까만 기와》는 중학교를 졸업하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길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우리의 청소년들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이다. 삶의 방향을 스스로 찾으려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의 청소년들은 지금 서 있는 ‘현재’,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미래’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가능할 것이다. 곁에 있어 위로가 되는 따뜻한 이야기 《까만 기와》 속 세상은 혼란스럽고 때로는 절망스럽다. 까만 기와 입학생 명단에 들지 못해 냉혹한 현실 세계로 내쳐진 류한린, 6년 동안 짝사랑하는 여학생에게 말 한마디 건네지 못해 자괴감에 빠지는 린빙, 할아버지가 죽고 갈 곳을 잃은 마수이칭, 갑작스런 화재로 집이 불타 버려 길바닥에 나앉게 된 자오이량……. 하지만 이들의 세상은 바닥으로 추락하는 그 순간에도 외롭지 않다. 따스하게 흐르는 인간애 덕분이다. 그들 곁에는 진심으로 걱정하고 도와주는 친구가 있고, 함께 울어 주는 이웃이 있다. 이들이 어우러져, 인생은 힘들지만 살아 볼 만한 가치가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되새기게 한다. 풍부한 감성으로 둘러싸인 차오원쉬엔의 세상을 보고 있으면, 입가에 슬그머니 미소가 떠오르기도 하고, 눈시울이 뜨거워지기도 하면서 오래도록 진한 여운을 남긴다.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의 본성과 마주하다 《까만 기와》는 연작 소설의 형식으로 총 9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각각의 이야기는 하나의 단편으로 충분히 완결성을 갖추고 있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차례로 읽다 보면 인물들의 다양한 면모를 만날 수 있다. 「운명의 장난」에서 ‘행동파’로 모든 일에 앞장섰던 마수이칭이 「청춘의 덫」에서는 사랑 앞에 우유부단한 태도를 보이고, 「소문의 두 얼굴」에서 학교의 명성을 드높이기 위해 애쓰는 왕치한 교장 선생님이 「진실의 벽」에서 비열한 음모로 교장 자리를 빼앗은 야심가로 비쳐진다. 또한 한 작품 안에서도 인물들의 다면성을 드러내며 입체적으로 그려진다. 「운명의 장난」에서 마을의 최고 지도자였던 진장 두창밍이 쫓기는 신세가 되고, 「진실의 벽」에서는 어릴 때 길가에 버려졌던 고아 소년 왕루안이 까만 기와의 교장 선생님이 되고, 「소년과 어른 사이」에서는 부잣집 아들이었던 자오이량이 도둑으로 몰려 잡혀가기도 한다. 차오원쉬엔은 행동과 말투, 옷차림과 눈빛, 심지어 사고방식까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인물의 모습을 치밀하면서도 섬세하게 담아냈다. 이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사람의 모습을 이해하고 그들을 통해 ‘선’과 ‘악’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인간의 본성을 깨닫는다면, 이 책을 읽는 청소년들은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이 더 넓고 깊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