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부 창극 연구와 이면론 제1장 서론: 창극 연구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제2장 창극과 이면론 제2부 창극 장르 형성과 이면 의식 제3장 1900년대 창극 생성과 이면 제4장 1910년대 창극 형성기의 이면 제5장 1920년대 유성기 창극과 매체적 이면 제6장 1930년대 창극 정립의 문화적 배경과 매체적 이면 제7장 1940년대 창극과 이면 제8장 1950년대 여성국극과 젠더 제3부 창극 방식의 모색과 미적 감수성 제9장 판소리 중심의 현대적인 창극술 제10장 다양한 전통예술을 수용하는 창극술 제11장 관객을 향한 열린 연기 제12장 21세기 창극의 대중적 감수성 제13장 창극 장르의 저변 확대를 위한 변용과 실험 제14장 다양한 연출가들의 〈적벽가〉와 이면 제4부 창극의 동시대성과 이면 확장 제15장 해외 연출가의 문화 번역과 문화적 경계성 제16장 청소년 창극과 젠더 구현 제17장 창극 극작술의 고유함과 놀이적 특징 제18장 결론: 창극의 식민 의식 극복과 예술적 감수성 그리고 정치성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