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수천 년 전에도 경제는 꿈틀대었다 : 신화 및 설화 속 경제 단군, 경제를 고민하다 - 단군신화와 경제문제 신도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 - 오딘의 눈과 기회비용 죽어서 지하세계에 간 인간은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 - 오르페우스의 지하세계 여행과 매몰비용 헤라클레스는 외양간 청소를 계속해야 할까? - 헤라클레스와 비교우위 그는 왜 99일째 밤에 기다림을 포기했을까? - 병사 이야기와 한계적 의사결정 역사는 화폐를 따라 움직였다 : 역사 속 경제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수요와 공급표의 진실 - 맨체스터 상인의 수요ㆍ공급표 함무라비 법전에 담긴 4,000년 전의 가격통제 - 함무라비 법전과 가격통제 글로벌 금융위기의 근본원인은 따로 있었다 - 아편전쟁과 글로벌 불균형 18세기 영국에도 저축은행사태가 있었다 - 남해거품사건과 뱅크런 이직의 연속이었던 아인슈타인의 인생 - 아인슈타인과 마찰적 실업 엔론사태와 프랑스혁명에는 공통점이 있다 - 프랑스혁명과 분식회계 기적을 만드는 방법 혹은 신기루 - 한국사 속 빈민구제제도와 마이크로크레딧 공유지의 비극에 대처한 조선인의 지혜 - 조선 후기 송계와 공유지의 비극 화폐의 등장은 인류 역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 화폐와 인류 역사 고대의 모든 왕들은 화폐 발행권에 관심이 많았다 - 고대 왕들과 화폐 발행 누가 시장경제시스템을 최초로 구축하였는가? - 로마인과 시장경제 완전계산의 비극적인 결말 - 러시아 역사를 통해 살펴본 사회주의 계획경제 책 속의 인물들은 경제적으로 움직였다 : 문학 속 경제 카멜롯 왕국의 수상이 된 19세기 양키 - 《아서왕과 양키》와 실질GDP의 이해 로테를 만날수록 깊어지는 베르테르의 고뇌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과 시간비일관성 내쉬균형을 벗어난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결단 - 《몽테크리스토 백작》과 내쉬균형 의뢰인에 따라 달라지는 홈즈의 사례금 요구액 - 셜록 홈즈와 가격차별 마법부를 통한 롤링의 현실 풍자 -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과 포획이론 부드러운 권유가 세상을 바꾼다 - 《레미제라블》과 넛지 변호사 공급규제가 후생손실을 키운다 - 이광수의 《흙》과 변호사 공급규제 GDP, 이게 최선입니까?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GDP의 한계 소년의 눈으로 바라본 독일의 경제 - 《좀머씨 이야기》와 라인강의 기적 역사까지 바꾸는 초인플레이션의 위력 - 《검은 오벨리스크》와 초인플레이션 8년의 세월이 지나고도 변하지 않은 것은? - 《지금, 만나러 갑니다》와 일본 디플레이션 제국을 혼란에 빠뜨린 악마의 제안 - 《파우스트》와 태환제도 미국통화제도의 변천을 나타낸 도로시의 모험 - 《오즈의 위대한 마법사》와 금본위제도 세금이라는 키워드로 해석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와 감세 논쟁 20세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유토피아 소설 - 《뒤를 돌아보면서》와 복지국가의 등장 예술이 태동할 때 경제가 있었다 : 예술 속 경제 공연표가 항상 남아돌거나 모자라는 이유 - 공연장의 초과공급과 초과수요 문화예술품의 가치는 어떻게 측정하는가? - 외규장각과 가격탄력성 가격이 올라가도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 - <아일랜드 기근>과 기펜재 미술관에서 그림을 모두 전시하지 않는 이유 - 미술관과 이윤극대화의 원리 세계적인 명화들은 과시적 소비품이었다 - 명화와 과시적 소비 왜 푸치티의 오페라는 언제나 볼 수 있는 걸까? - 정부가 지원하는 문화예술의 양면성 공공예술품을 왜 정부가 만들어야 하는가? - 에펠탑을 정부가 건축하고 관리하는 이유 음악의 태동으로 살펴본 인센티브의 위력 - 음악의 태동과 인센티브 포스터는 편승효과와 스놉효과를 노리기 위한 수단이었다 - 포스터의 등장으로 살펴본 편승효과와 스놉효과 우리는 제한된 세계에 살고 있다 - <크리스티나의 세계>와 제한된 합리성 라틴아메리카가 앵글로아메리카에 비해 뒤처진 원인은? - 디에고 리베라의 벽화와 제도경제학 철학적인 인간과 경제학적인 인간 : 문화 및 철학 속 경제 한국에도 일찍이 경제학이 있었다 - 다산 정약용과 한국의 경제관 신의 뜻에 따른 이슬람 채권 - 이슬람 율법과 수쿠크 만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