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4 서 문 철학은 자기 인식의 길이다·11 제1논문 선과 악, 좋음과 나쁨·17 1. 역사적 고찰 비판·17 2. 심리학적 모순: 기억과 망각·21 3. 어원학·24 4. 성직자와 전사계급의 대립·28 5. 노예의 반란·31 6. 선과 악: 적극적인 것과 반동적인 것·35 7. 문화는 야수를 길들이기 위한 것·37 8. 독수리와 양·38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49 1. 약속을 허용하는 동물: 정치학의 기술·49 2. 주권적 개인과 양심·51 3. 죄의식과 양심의 가책: 형벌, 고문, 죄책감·54 4. 채권·채무관계: 계약·56 5. 정의와 처벌: 자기 지양·61 6. 공정함, 정의, 법·66 7. 형벌의 목적은 합목적이지 않고 우연적이다·71 8. 내면화로서의 양심의 가책·76 9. 조상에 대한 채무 의식·79 10. 신에 대한 채무감: 죄의식의 발전·80 11. 운명과 고통과 죄의식: 그리스인 vs 그리스도교·84 제3논문 금욕주의적 이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87 1. 금욕주의 이상: 성직자의 권력 지배 도구다·87 2. 순결 지키기: 자기 자신 부정·88 3. 관능에 대한 무관심: 칸트 vs 스탕탈·88 4. 결혼에 대하여·91 5. 금욕주의는 삶의 부정이 아니라 삶의 긍정이다·92 6. 금욕주의 이상 세 가지: 청빈, 겸손, 순결·93 7. 오만과 과학기술·97 8. 금욕주의의 문제·99 9. 금욕주의의 자기모순·101 10. 해석학의 문제: 관점주의·103 11. 심리학적, 생리학적인 모순: 삶의 긍정이면서 부정이다·105 12. 치료가 아니라 질병의 확산이다·112 13. 금욕주의는 정신착란이다·120 14. 주인본능과 노예본능·123 15. 금욕주의 해석학: 하나의 이상의 절대화, 특권화·127 16. 현대과학과 금욕주의·128 17. 자유정신: “진리는 없다. 모든 것이 허용된다”·129 18. 예술 대 과학: 삶의 긍정, 삶의 부정·134 19. 생명의 법칙: 자기 극복과 자기 지양·137 20. 해석학의 의미 문제·138 작품설명·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