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국과 영광

조르조 아감벤
608p
Where to buy
Rate
3.0
Average Rating
(5)
What's Up 시리즈. 최근 한국 내의 사드 배치나 필리핀과의 영해 분쟁을 보면 현대 중국은 전혀 '현대적으로' 보이지 않고 저 옛날의 천자적 조공 국가인 것처럼 보인다는 말은 과장만은 아닐 것이다. 아감벤에 따르면 독보적인 '근대적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 '정치'에 대해서도 이와 똑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즉 아감벤이 보론에서 쓰고 있는 대로 '근대' 또한 '근대'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오이코노미아'를 축으로 한 신학적 패러다임의 지배하에 있다는 것이다. 아감벤의 눈으로 보면 여론 조사, 전당 대회, '지도자' 선출 등은 고대 폴리스의 토론적 민주주의 정치와는 전혀 무관한 미디어 스팩터클 정치며, 목적 또한 인민 '자치' 지배와는 무관한 통치와 지배의 영구화임을 쉽게 간파할 수 있을 것이다. 서구 3,000년 역사를 종횡무진하면서 신학과 철학, 정치학, 경제학을 새로운 틀에 위치시키고 새로운 맥락을 부여하는 아감벤의 논의는 단지 '호모 사케르'라는 틀을 넘어 서구 사상과 사회 전체를 새롭게 조망할 수 있는 흥미진진한 논의 틀을 제공해준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What's up 총서를 발행하며 5? 옮긴이 서문: 아감벤 사유의 전환과 우리 11 서문 25 01 두 개의 패러다임 31 02 ‘오이코노미아’의 신비 65 03 존재와 행동 137 04 왕국과 통치 167 05 섭리기계 243 06 천사론과 관료제 307 07 권력과 영광 353 08 영광의 고고학 407 보론: 근대인들의 오이코노미아 529 옮긴이 후기 : ‘동시대인’의 조건, 표시의 이론 그리고 ‘벌거벗은 임금님’ 590

Description

이제 정치에 대한 ‘시사평론’이나 SNS가 아니라 근원적 되물음이 필요할 때다. ‘진○’, ‘비○’ 등 왜 한국의 정치(언어)는 ‘왕국과 영광’적일까? 왜 권력은 ‘영광’과, 통치는 ‘미디어’와 한 쌍을 이룰까? 고대의 신학적 패러다임이 근대 정치의 패러다임이라고! 현대 정치는 결코 ‘현대적’이었던 적이 결코 없다! 서구 3,000년의 철학, 신학, 정치학, 경제학에 대한 논쟁적 해석을 통해 ‘권력의 고고학’을 혁신시킨 아감벤 사유의 결정적 전환을 대표하는 저서! 왜 현대 민주주의의 3권 분립은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연상시키고, 현대의 관료제는 중세의 ‘천사학’을 떠올리도록 만드는가? 왜 현대 정치는 ‘인민의 자치’가 아니라 좌우를 막론하고 ‘사물과 인간’에 대한 지배(지도자)와 통치(신자유주의)로 귀결되었을까? 왜 현대 정치는 ‘대의’, 즉 media라는 형태를 넘어서지 못할까? 푸코의 지식-권력의 고고학을 넘어 권력을 고고학적으로 탐구해온 아감벤이 유럽의 두 탄생지, 즉 그리스 사상과 기독교의 탄생 지점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진단하는 현대 민주주의의 병폐와 불가능성/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진단! 12여 년에 걸친 아감벤의 권력의 고고학 탐구의 중간 결산! 호모 사케르, 즉 벌거벗은 생명과 주권 권력이라는 패러다임이 새로운 질문으로 전환되다. 즉 서구 세계에서 왜 권력은 오이코노미아라는 형태를 띠게 되었을까? 그리고 왜 이 형태는 나치즘과 독재 국가를 넘어 현대의 ‘미디어 정치’와 ‘스펙터클 사회’에서 여전히 힘을 잃고 있지 않을까? 한국 정치의 본질 또한 ‘미디어’와 ‘스펙터클’로 또는 만능적인 또는 무능한 천사적 관료제로 정교한 또는 어설픈 통치와 지배를 은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삼위일체 논쟁부터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을 거쳐 미디어재벌=정치인 베를루스코니 또는 도널드 트럼프까지 이어지는 장대한 권력의 계보학. 1995년에 <호모 사케르>와 함께 시작된 권력에 대한 아감벤의 고고학적 탐구는 본서와 함께 결정적 전환을 맞고 있다. 즉 제목부터 부제에 이르기까지 이전의 ‘주권 권력’이나 ‘벌거벗은 생명(호모 사케르)’ 등의 개념은 거의 전면에 나서지 않고 ‘오이코노미아’, ‘통치’, ‘신학’, ‘계보학’ 등의 전혀 낯선 개념들이 ‘왕국과 영광’이라는 제목을 둘러싸고 있다. 특히 현대의 여러 이론적 논의와 관련해 아무래도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는 것은 ‘오이코노미아’와 ‘신학’이라는 개념일 것이다. ‘통치’와 ‘계보학’은 푸코 등의 연구를 통해 우리에게 제법 익숙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금방 이 책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는데, 본인이 서문에서 밝히는 대로 이 책은 푸코의 ‘계보학’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그것이 더 이상 폭넓게 펼쳐지지 못한 이유에 대한 해명인 동시에 전해 새로운, 즉 ‘오이코노미아’와 ‘신학’을 통한 전혀 새로운 계보학적 권력 탐구인 것이다. 즉 푸코가 ‘담론-권력의 고고학’을 통해 근대의 근대다움을 찾아내려고 한다면 아감벤은 근대, 특히 근대 ‘정치’가 신학적 패러다임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히려고 한다. 현대에서는 그저 ‘경제학’이라는 의미로만 쓰이는 ‘오이코노미아’란 말과 ‘신학’이라는 개념이 본서에서의 논의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을 이로 미루어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 그것이 이 책이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시리즈 중 가장 두껍지만 동시에 가장 흥미진진하고 쉽게 읽히도록 만들어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이 ‘계보학’이라고 해서 고대 철학과 신학에 대한 ‘한가로운’ 논의에 그치는 것은 아니다. 아감벤의 눈은 현대 정치의 ‘민주주의적’ 작동의 불가능성에, 그것의 뿌리를 탐색하는 데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현대 정치는 신문과 TV 등 미디어의 매개(media) 없이는 작동하지 않으며, 특히 9?11 테러와 함께 진면목이 드러난 대로 ‘사물과 사람’에 대한 지배와 통치를 속내로 하고 있다. 즉 아감벤은 현대 정치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 계보학적 탐구에 나서는 것인데, 그의 이러한 탐구는 정치=‘민주주의’, ‘경제, 즉 오이코노미아’는 ‘성장’이라는 패러다임에 갇혀온 한국 사회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서도 유용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철학과 신학의 합종연횡이 근대(정치)를 탄생시키다 최근 한국 내의 사드 배치나 필리핀과의 영해 분쟁을 보면 현대 중국은 전혀 ‘현대적으로’ 보이지 않고 저 옛날의 천자적 조공 국가인 것처럼 보인다는 말은 과장만은 아닐 것이다. 아감벤의 본서에 따르면 독보적인 ‘근대적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 ‘정치’에 대해서도 이와 똑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즉 아감벤이 보론에서 쓰고 있는 대로 ‘근대’ 또한 ‘근대’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오이코노미아/를 축으로 한 신학적 패러다임의 지배하에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대 경제학을 지휘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손’이거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 같은 ‘성령적 존재’ 또는 ‘천사들’인 데서 이를 함축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근대를 여는 철학적 논쟁이 ‘법칙과 기적’이었던 것 그리고 슈미트가 현대 정치를 들어 신학적 개념이 세속화된 것이라고 주장한 것 또한 우리 시대의 정치와 관련해 여러모로 시사적이다. 따라서 서구 3,000년 역사를 종횡무진하면서 신학과 철학, 정치학, 경제학을 새로운 틀에 위치시키고 새로운 맥락을 부여하는 아감벤의 논의는 단지 ‘호모 사케르’라는 틀을 넘어 서구 사상과 사회 전체를 새롭게 조망할 수 있는 흥미진진한 논의 틀을 제공해준다. 예를 들어 ‘오이코노미아/폴리스’라는 2중 구조로 짜여져 있던 그리스의 기본 구조가 ‘오이코노미아’를 중심으로 한 신학적 3항식으로 바뀌면서 서구 사회에서 동시에 어떤 정치적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성찰하는 아감벤의 혜안은 현대 정치에 대한 성찰로 곧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0세기의 나치즘과 같은 ‘왕국과 영광’의 정치는 예외적 별종이 아니라 서구 정치의 신학적 패러다임에 내재적인 것으로 21세기의 ‘안보 국가’의 등장과 함께 얼마든지 재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아감벤의 눈으로 보면 여론 조사, 전당 대회, ‘지도자’ 선출 등은 고대 폴리스의 토론적 민주주의 정치와는 전혀 무관한 미디어 스팩터클 정치며, 목적 또한 인민 ‘자치’ 지배와는 무관한 통치와 지배의 영구화임을 쉽게 간파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강남역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둘러싼 여러 논쟁이 잘 보여주듯이 현대 사회는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거의 모든 사건이 ‘정치화되고’ ‘미디어화된다.’ 아마 이를 두고 많은 사람이 ‘민주주의의 활성화’, ‘미디어의 정치화’ 등의 진단을 내리지만 아감벤의 논의는 이를 반대로 볼 수도 있음도 알려준다. 즉 그것이 바로 신자유주의의 통치 방식이자 진짜 민주주의를 ‘오이코노미아적’으로 착취하는 방법일 수 있음을.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