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금 쌍담

강신주 and other · Humanities
27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38)
0.5
3.5
5
Rate
3.5
Average Rating
(38)
Comment
More

철학자 강신주와 영화 비평가 이상용이 <씨네샹떼>에 이어 한 번 더 뭉쳤다. 두 사람은 금기가 우리의 생각과 입을 틀어막고, 말 잘 듣는 노예로 길들이고 있다고 지적하며 보다 강력한 충격 요법을 권한다. 금기에 주눅이 든 상태로는 자기 자신에겐 물론, 한 사회의 주체적인 구성원으로서도 당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비상경보를 울려 대는 우리 사회를 위해, 그곳의 주인이자 변화의 주체인 명랑 시민들을 위해 나온 책이다. 영화는 오늘날 사람들이 가장 친숙하게 접하는 대중 매체다. 그 때문에 영화만큼 검열과 사회적 금기에 민감한 매체도 없다. 권력 집단이 줄곧 금기시해 온 네 편의 영화를 공개 상영함으로써 우리의 억압된 욕망을 두드리고 금기가 지닌 허위를 드러내 보이고자 했다. 이제껏 권력과 사회가 거부해 온 영화들은, 우리가 애써 외면한 진실들을 가장 강력하게 까발려 줄 것이다. 진짜 성숙은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시작된다. 우리는 금기가 둘러친 벽과 마주한 순간부터, 자신의 인생과 이 사회를 전혀 새로운 관점에 보게 된다. 진짜 성숙은 그동안 우리를 길들여 온 권력자의 가르침과 금지를 뿌리침으로써, 즉 자기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나쁜 사람'이 됨으로써 가능하다. 진정으로 성숙한 사람, 즉 우리 사회를 보다 나은 미래로 이끌 명랑한 민주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민얼굴을 똑똑히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한다. 이 어려운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생존 교양'에 귀를 기울여 보자.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Rating Graph
Avg 3.5(38)
0.5
3.5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4

Table of Contents

INTRO 영화는 재발명되어야 한다 TRACK 1 전체적으로 그런 기운이 느껴지는 섹스 「감각의 제국」, 오시마 나기사 TRACK 2 비정상적 영혼의 정상화를 위한 폭력 「시계태엽 오렌지」, 스탠리 큐브릭 TRACK 3 배신하지 않는 동물의 왕국을 꿈꾸는 정치 「살로, 소돔의 120일」,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TRACK 4 온 우주가 나서서 도와주길 바라는 종교 「비리디아나」, 루이스 부뉴엘 OUTRO 시험해 보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Description

금기의 노예로 살 것인가, 인생의 주인이 될 것인가? 진짜 성숙은 ‘나쁜 사람’이 되는 것이다! ■ 섹스·폭력·정치·종교…… 검열 아래 숨죽이고 있던 네 편의 영화를 통해 우리의 욕망을 통제하며 길들이는 금기들과 당당히 마주 서다 『30금 쌍담』은 이제껏 우리가 경험해 온 상담과 다르다! 최근 각박한 현실, 소통 부재의 상황 속에서 갖가지 상담, 카운슬링 프로그램이 성행하고 있다. 그런데 가만 살펴보면 문제의 핵심에 다가서지 못하고 겉도는 질문들, 전부 어디에선가 들어 봤음 직한 대답만이 들려올 뿐이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가, 왜 모두 꾹꾹 참고 침묵을 지키고 있는가? 이 문제에 응답하고자 인간의 밑바닥까지 내려가 보는 철야 상담으로 유명한 철학자 강신주와 영화 비평계의 ‘매의 눈’으로 통하는 이상용이 『씨네샹떼』에 이어 한 번 더 뭉쳤다. 마침내 두 사람은 금기가 우리의 생각과 입을 틀어막고, 말 잘 듣는 노예로 길들이고 있다고 지적하며 보다 강력한 ‘충격 요법’을 권한다. 금기에 주눅이 든 상태로는 자기 자신에겐 물론, 한 사회의 주체적인 구성원으로서도 당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비상경보를 울려 대는 우리 사회를 위해, 그곳의 주인이자 변화의 주체인 명랑 시민들을 위해 『30금 쌍담』이 세상에 나온 것이다. 한데 왜 하필 두 사람은 우리의 삶을 옥죄는 금기와 맞닥뜨리는 자리에서 영화를 꺼내 든 걸까? 영화는 오늘날 사람들이 가장 친숙하게 접하는 대중 매체다. ‘영화 관객 1000만 명 시대’, 즉 수천 만 명의 사람들을 한자리에서 웃기고 울릴 수 있는 게 바로 영화인 것이다. 그 때문에 영화만큼 검열과 사회적 금기에 민감한 매체도 없다. 실제로 영화는 지난 한 세기 동안 파시즘을 선동하기도, 혁명을 불러오기도 했다. 따라서 두 사람은 이처럼 위력적인 영화, 그중에서도 권력 집단이 줄곧 금기시해 온 네 편의 작품을 공개 상영함으로써 우리의 억압된 욕망을 두드리고 금기가 지닌 허위를 드러내 보이고자 했다. 이제껏 권력과 사회가 거부해 온 영화들은, 우리가 애써 외면한 진실들을 가장 강력하게 까발려 줄 것이다. 진짜 성숙은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시작된다. 우리는 이들 영화가, 그리고 이 책이 단순히 ‘교양’이나 ‘입문’ 수준에서 읽히기를 바라지 않는다. 우리는 이 책이 삶을 재발명하고, 섹스를 재발명하고 사유를 재발명하게 하는 ‘본격적인 재발명 도구’가 되기를 원한다. 『30금 쌍담』이 다룬 강렬한 영화들이, 정신을 번쩍 뜨이게 하는 언어를 만나 안온한 삶을 후려치는 거센 망치가 되기를 소망한다.―이상용 ■ 당신은 착한 아이가 아니다, 부조리한 사회에 저항하고 권력을 고발하라! 금기와 직면해 본 사람만이 진짜 어른이 될 수 있다 처음 ‘악명 높은’ 영화들을 보고 잠시 우물쭈물하던 사람들이, 두 선생의 ‘도발적인’ 강연을 듣고 나자 하나둘 자신들의 문제를 스스럼없이 쏟아 내기 시작했다. 우리는 금기가 둘러친 벽과 마주한 순간부터, 자신의 인생과 이 사회를 전혀 새로운 관점에 보게 된다. 「감각의 제국」을 보며 적나라한 성애 묘사에 헉 하고 놀라던 사람들이 어느새 자기 욕망을 되돌아봤고, 「시계태엽 오렌지」를 보고 난 뒤엔 국가 권력 앞에서 무기력해지는 악인의 모습을 지켜보며 정의와 폭력에 대해 갑론을박을 벌이기도 했다. 또 「살로, 소돔의 120일」을 가득 채운 기괴한 성행위와 고문 장면을 보고 나서는 파시즘에 대한 분노를, 「비리디아나」가 끝난 뒤에는 종교적 구원이 지닌 한계와 허망함을 줄줄이 토로했다. 저마다 ‘나만 이상한 거면 어쩌지? 입을 다물자, 모른 척하자, 이제껏 배워 온 대로 침묵하자!’라고 생각하며 잠자코 있던 사람들이, 부조리한 현실과 자기 내면이 뿌리내린 허위적인 금기를 낱낱이 고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도전 혹은 도발을 통해 우리는 금기를, 기성세대의 꼰대 짓을, 국가 권력의 폭압과 수수방관을 넘어설 수 있다. 결국 ‘진짜 성숙’은 그동안 우리를 길들여 온 권력자의 가르침과 금지를 뿌리침으로써, 즉 자기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나쁜 사람’이 됨으로써 가능하다. 이것이 바로 메르스를 뚫고 심야(새벽 4시까지!)에 열린 「30금 시네마」, 그리고 그 강연 내용을 책으로 엮은 『30금 쌍담』의 최종 목표다. 우리는 누구나 만 20세가 되면 성인된다고 여긴다. 또 30세 즈음이면 사회의 기둥으로서 주체적 시민되리라 믿고 있다. 하지만 단지 나이를 먹었다고, 출세했다고 해서 ‘성숙’한 건 아니다. 진정으로 성숙한 사람, 즉 우리 사회를 보다 나은 미래로 이끌 명랑한 민주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민얼굴을 똑똑히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한다. 조금 늦었더라도(30대 이상이라도 상관없다.), 다소 이르더라도(20대면 뭐 어떤가?) 『30금 쌍담』이 들려주는 어려운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생존 교양’에 귀를 기울여 보자. 나를 위해, 너를 위해, 우리 모두를 위해서 말이다. 우리는 『30금 쌍담』을 통해 착한 사람을 나쁘게 만들고 싶었다. 타인들이 나쁘다고 했을 때에만, 우리의 행동은 타자의 이익이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한 행동이 된다. 그래야 우리는 타인의 평가가 아닌 진정한 자기 평가에 따라 행동하게 될 테다. 자신의 삶에 진짜 좋은 건지 나쁜 것인지, 혹은 자신에게 유쾌한지 불쾌한 일인지를 알려면, 우리는 어떤 규칙이나 금기에 연연하지 말고 직접 도전하고 행동해야만 한다.―강신주 ■ 『30금 쌍담』을 뜨겁게 달군 질문들 계속 섹스를 해도 허무감을 느낀다면 그 관계를 정리해야 할까요? 사랑에 국한되지 않더라도, 여러 관계에서 끊임없이 허무감을 느낀다면 그런 관계들을 그만두는 게 옳을까요? ‘예전 같지 않다, 별로다.’ 하는 느낌인 거죠? 뭔 관계를 정리해요, 관계가 이미 끝난 건데요. (……) 종종 관계가 끝났음에도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을 때가 있죠? 그럴 때 우리는 추억에 젖듯 섹스를 하게 돼요. 그러니까 다른 관계는 전부 무너져 버리고, 오직 섹스만 남은 셈입니다. 따라서 허무할 수밖에 없어요. 이제 이야기를 주고받는 관계, 함께 여행을 다니는 관계, 맛있는 음식을 나눠 먹는 관계…… 이런 모든 것들이 붕괴됐으니까요. 섹스를 마치고 나서도 함께하고 싶은 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니, 관계 후에 허무만 남는 겁니다. 그러니 또, 자꾸 섹스를 시도하게 될 테죠. 그래도 허무한 관계가 지속된다면 먼저 얘기하세요, ‘헤어지자.’라고요. 지지부진하고 괴로우면, 서로를 갉아먹을 뿐이에요. 지금까지의 좋은 추억도 저주하게 될 겁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인간의 선의지에 대해 이야기하는데요, 진짜 그런 게 존재하기는 하나요? 악과 또 다른 악이 있을 뿐이죠. 이것은 곧 선과 악, 모두 다 없음을 의미하는 게 아닐까요? 그렇다면 과연 선과 악은 무엇일까요? 선은 영원한 선이고 악은 영원한 악이라고 보는 시선이 있어요. 그런데 니체는 『선악의 저편』이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했어요. “나에게 선(good)과 악(evil)은 없다. 단지 좋은 것(good)과 나쁜 것(bad)만 있다.”라고요. 나한테 어떤지가 중요해요. 독을 써서 죽는 사람이 있고 치료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근원적인 선과 악은 존재하지 않아요. 존재한다면 선생님, 아버지, 체제, 사회가 주장하는 선악일 뿐이죠. 따라서 우리에겐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을 따름입니다. 이걸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끊임없이 뭐가 맞는지 물어보죠. 그러다가는 평생 남의 명령만 받다가 죽는 거예요. 가난한 상황 탓에 삶이 점점 더 불리해지는 듯합니다. 애초에 돈이 많았다면 편법 따윈 생각하지도 않았을 텐데, 저처럼 없는 사람에게까지 벌금을 먹이다니! 변호사를 구해 억울함을 풀 수도 없고, 막막한 형편입니다. 돈이 없을수록 돈을 더 많이 써야 하는 이런 사회! 정말 약자에게는 강하고, 강자에겐 약한 사회가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