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 인간됨이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부| 수치심을 모르는 교만한 사람들에 대하여 恥(부끄러울 치): 부끄러운 마음이 없는 자를 어찌 사람이라 부를 수 있겠는가? 驕(교만할 교): 높으면 높을수록 곤두박질치기도 쉽다 改(고칠 개): 그중 가장 큰 잘못은 잘못이 무엇인지조차 모른다는 것이다 諂(아첨할 첨): 듣기 좋은 말 속에는 언제나 함정이 있다 賢(어질 현): 베풀지 않는 자의 부유함은 결코 오래갈 수 없다 滿(가득찰 만): 그릇은 가득 차면 넘치고, 사람은 가득 차면 반드시 잃는다 錢(돈 전): 돈을 잘 다루면 의로움이 깊어지고 함부로 하면 사람이 멀어진다 弘(넓을 홍): 관대하지 않더라도 옹졸한 사람은 되지 않기를 利(이로울 리): ‘의로운 이익’과 ‘사사로운 이익’ 謙(겸손할 겸): 스스로를 낮추면 낮출수록 세상은 우러러본다 惑(미혹할 혹): 혹시나 하는 마음이 재앙을 불러온다 訥(말 더듬거릴 눌): 말만 앞세우고 행동이 그에 미치지 못함을 경계하라 禮(예절 예): 본성과 욕망을 거스를 때 인간은 더 인간다워진다 |2부| 배려심 없는 이기적인 사람들에 대하여 辱(욕보일 욕): 베풀며 모욕하는 것이 베풀지 않는 것만 못하다 嫌(혐오할 혐): 한자에 깊이 새겨져 있는 혐오와 차별의 감정 敵(원수 적): 인정사정 볼 것, 있다 傷(해칠 상): 남에게 상처를 주려면 자기 마음의 괴로움부터 겪어야 한다 仁(어질 인): 자기애는 사랑이 아닌 미움의 감정이다 恕(용서할 서):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은 남에게도 강요하지 말라 恩(은혜 은): 베풂에 보답을 바란다면 그것은 거래일 뿐이다 傾(기울 경): 기울어진 마음으로는 한쪽 세상밖에 볼 수 없다 潔(깨끗할 결): 더러움 속에서 깨끗함을 찾고 깨끗함 속에서 더러움을 가려내라 責(나무랄 책):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남을 나무랄 때는 똑똑해진다 和(화목할 화): 쌀 한 톨을 가지고도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려면 義(옳을 의): 이로움을 마주할 때는 의로움을 먼저 생각하라 惡(미워할 오): 움켜쥐려 할수록 쥘 수 있는 것은 줄어들 뿐이다 偏(치우칠 편): 사람 귀가 두 개인 이유 |3부| 고단한 삶 앞에 흔들리는 나 자신에 대하여 善(착할 선):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길 思(생각할 사): 마음 밭을 가꾸기 위한 아홉 가지 방법 明(밝을 명): 자기 눈으로 자기 눈썹을 볼 수는 없다 完(완전할 완): 완전함을 좇지 말고 불완전함을 긍정하라 益(더할 익): 모자람을 넉넉함이라 생각할 수 있는 여유 悔(뉘우칠 회):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疑(의심할 의): 내 발밑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칼인가, 화살인가, 의심하는 마음인가 靜(고요할 정): 혼탁하고 시끄러운 세상에서 고요하게 살아가는 법 望(바랄 망): 희망에 의지하지 않고, 절망에도 좌절하지 않으며 盛(성할 성): 가장 평안할 때 가장 큰 위태로움을 헤아리다 警(경계할 경): 실수도 결국 자기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서 나온 것이다 容(얼굴 용): 말로는 속이기 쉬워도 얼굴까지 속이기는 어렵다 安(편안할 안): 어떤 사람이 삶의 만족을 얻는가? 哭(울 곡): 몸과 마음에 쌓인 감정을 풀어내는 최상의 치료법 苦(괴로울 고): 쓴맛을 견뎌낸 뒤에 맛보는 단맛이 가장 달다 較(견줄 교): 빨리 달리는 말이 새처럼 날지 못함을 부러워하랴 勝(이길 승): 인생의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 한 수 智(지혜 지): 앎이 부족해도 마음에 밝음이 있다면 貧(가난할 빈): 자기 철학과 품격이 있다면 가난해도 불행하지 않다 |4부| 타인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에 대하여 寬(너그러울 관): 자기밖에 모르는 세상을 하나로 묶어주는 힘 染(물들 염): 어떤 물을 들이느냐에 따라 운명은 달라진다 孝(효도 효): 마음까지 모시지 않는다면 효를 다한 것이 아니다 寒(추울 한): 마음을 나눌 만한 진정한 벗을 가졌는가 忠(충성 충): 충성이란 맹목적 따름이 아닌 진실로 마음을 다하는 것 惕(두려워할 척): 사람의 마음 바뀜을 두려워하되 원망해서는 안 된다 聽(들을 청): 잘 듣는 것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信(믿을 신): 함부로 뱉은 말은 주워 담지 못하듯 한번 깨진 믿음은 회복하기 어렵다 樂(즐거울 락): ‘참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세 가지 조건 面(얼굴 면): 자존심을 세워야 할 때와 굽혀야 할 때는 언제인가 訓(가르칠 훈): 옛사람에게 배우는 가르침의 기술 終(마칠 종): 처음과 끝이 한결같기 어려운 열 가지 이유 猜(시기할 시): 다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