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하나의 이름으로 환원할 수 없는 ‘무한텍스트로서의 5·18’ 40년이 흘러도 여전히 ‘오늘’인 오월 광주의 의미를 묻다 2020년 ‘5·18’ 40주기를 맞아 『무한텍스트로서의 5·18』이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그간 5·18과 관련해 제출된 유의미한 비평·연구 논문 열네 편을 모으고, 새로운 시각과 성찰을 담은 신고 다섯 편을 추가하여 한데 묶었다. 이 책은 “5·18에 대해 아직 발설되지 않은 진실의 영역을 성찰하려는 한국 사회의 지적인 노력들”을 담아내고자 했으며,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이자 어떤 의미화-제도화에 대해서도 ‘저항’하는 “무한텍스트로서의 5·18”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5·18을 사회과학·인문학적으로 성찰한 글뿐 아니라 이를 다룬 문학작품 및 영화 비평도 함께 묶어, 인문사회과학과 문학이 교호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5·18 논의 자리에서 필수적으로 다뤄지는 최정운(정치학), 김상봉(철학)의 글과 함께, 기억을 둘러싼 감당할 수 없는 ‘부끄러움’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는 정문영(역사학), 이영진(인류학)의 글을 묶어 5·18을 둘러싼 그간의 주요 성취를 수록하였다. 2부에서는 ‘국가주의’를 넘어서는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5·18의 현재적 의미를 묻는 박준상(철학), 김항(인류학), 한보희(비교문학)의 글뿐 아니라 ‘민중-남성’ 주체의 대표성에 의문을 던지며 그간 외면되어온 항쟁 주체들을 복원하려 노력한 김영희(국문학), 이광호(문학평론)의 글이 담겼다. 3부는 5·18을 주제로 한 문학·영화 텍스트에 대한 실제 비평을 모았으며, 4부에서는 올해로 타계 30주기를 맞는 비평가 김현의 사유와 비평이 5·18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분석하는 글을 수록했다. 이 책은 여전히 열린 텍스트로서의 ‘5·18’이 끊임없는 인문학적 성찰과 복원의 노력을 통해 끝내 가 닿을 미래에 함께할 독자 당신을 기다린다. ■ 저자 소개 최정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을 거쳐 미국 시카고대학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지식국가론』 『오월의 사회과학』 『한국인의 탄생』 『한국인의 발견』 등이, 주요 논문으로 「푸코의 눈: 현상학 비판과 고고학의 출발」 「권력의 반지: 권력담론으로서의 바그너의 반지 오페라」 「국제정치에 있어서 문화의 의미」 「새로운 부르주아의 탄생: 로빈슨 크루소의 고독의 근대사상적 의미」 등이 있다. 김상봉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독일 마인츠대학 철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리스도신학대 종교철학과 교수를 지냈으나 해직되었고, 그 후 민예총 문예아카데미 교장으로 일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 『자기 의식과 존재사유: 칸트철학과 근대적 주체성의 존재론』 『호모 에티쿠스: 윤리적 인간의 탄생』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 김상봉 철학이야기』 『학벌사회: 사회적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도덕교육의 파시즘: 노예도덕을 넘어서』 『서로주체성의 이념: 철학의 혁신을 위한 서론』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 철학, 자본주의를 뒤집다』 『철학의 헌정: 5·18을 생각함』 『네가 나라다』 『만남의 철학』(공저) 등이 있다. 정문영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1과 조사팀장. 서울대학교에서 인류학을, 코넬대학교에서 역사학을 공부했다. 5·18기념재단 연구실장,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임연구원 등으로 일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 『너와 나의 5·18: 다시 읽는 5·18교과서』(공저), 『이미지 테크놀로지 생명정치』(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언어의 성사』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문제적’ 복종: 밀라이로부터 광주로 도래시켜야 할 어떤 지성사」 「5·18광주민중항쟁 시기 ‘광주폭격계획’ 의혹과 미국인의 광주 소개」 「침묵의 고고학, 혹은 ‘유언비어’에 관하여」 「광주 ‘오월행사’의 사회적 기원」 등이 있다. 이영진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연구소 인문한국 연구교수로 일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 『죽음과 내셔널리즘: 전후 일본의 특공 위령과 애도의 정치학』 『애도의 정치학: 근현대 동아시아의 죽음과 기억』(공저),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파국과 분노: 3·11 이후 일본 사회의 脫원전 집회를 중심으로」 「위험한 기억들: 중첩되는 연루를 이야기하기」 「지역적 상상력과 영웅 만들기: 가고시마의 ‘사이고 전설(西鄕傳說) 형성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박준상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 프랑스 파리 8대학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떨림과 열림: 몸?음악?언어에 대한 시론』 『빈 중심: 예술과 타자에 대하여』 『바깥에서: 모리스 블랑쇼와 ‘그 누구’인가의 목소리』 『암점』 등이, 옮긴 책으로 『밝힐 수 없는 공동체, 마주한 공동체』 『기다림 망각』 『무위의 공동체』 『카오스의 글쓰기』 등이 있다. 김항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부교수.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및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말하는 입과 먹는 입』 『제국일본의 사상』 『종말론 사무소』, 옮긴 책으로 『근대초극론』 『예외상태』 『정치신학』 『세계를 아는 힘』 『중국의 체온』 등이 있다. 한보희 인문학 강사.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비교문학 협동과정 박사학위를 수료했다. 연세대학교, 카이스트, 다중지성의 정원 등에서 미학과 비평이론을 강의했다. 지은 책으로 『인문학의 최전선』(공저), 옮긴 책으로 『전체주의가 어쨌다구?』가 있다. 김영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연세대학교 젠더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연행주체란 누구인가?』 『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 『한국 구전서사의 부친살해』 『밀양을 듣다』 『송전탑 뽑아줄티 소나무야 자라거라』 『구전이야기의 현장』(공저), 『숲골마을의 구전문화』(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구술서사와 여성혐오」 「밀양 탈송전탑/탈핵 운동 주체로서의 ‘여성’」 「표현의 갈망과 청취의 윤리: 여성 구술의 사회적 역능」 등이 있다. 이광호 문학평론가, 문학과지성사 대표.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위반의 시학』 『환멸의 신화』 『소설은 탈주를 꿈꾼다』 『미적 근대성과 한국문학사』 『움직이는 부재』 『이토록 사소한 정치성』 『익명의 사랑』 『도시인의 탄생』 『시선의 문학사』 등의 비평서와, 『사랑의 미래』 『지나치게 산문적인 거리』 『너는 우연한 고양이』 등의 산문집이 있다. 황현산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비평가이자 번역가로서 활동하였으며, 한국번역비평학회 초대 회장 및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밤이 선생이다』 『잘 표현된 불행』 『말과 시간의 깊이』 『아폴리네르?《알코올》의 시 세계』 『얼굴 없는 희망』 『밤이 선생이다』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등이, 옮긴 책으로 『파리의 우울』 『알코올』 『초현실주의 선언』 『라모의 조카』 『시집』 『프랑스 19세기 문학』(공역) 『프랑스 19세기 시』(공역) 등이 있다. 2018년 지병으로 타계했다. 김형중 문학평론가,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남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