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약어 목록 서문 제사題辭: 애도의 작업 서론 데리다의 타자/다른 데리다 1) ‘데리다’를 탈신화화하기: 신화와 괴물에 대하여 (1) 케임브리지 사건 (2) 《뉴욕 리뷰 오브 북스》 사건 2) ‘해체’를 탈신화화하기 3) 타자성의 렌즈: 해체와 타자 1장 말과 사물: 현상학의 타자 1)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2) (글)쓰기: 놀라운 발상 (1) ‘신체에서 벗어나’: 왜 소크라테스는 쓰지 않았을까 (2) 후설의 기하학의 고고학 (3) 유클리드를 해체하기 ① 언어, 육화 그리고 객관성 ② 말씀이 육신이 되어: (글)쓰기와 육화 3) 우리 자신에 대해 말하기: 후설에 대한 비판 (1) 후설의 기호론 (2) 부재의 소리: 말하기와 초월성 ① ‘음성 중심주의’와 ‘현전의 형이상학’ ② 말, 사유 그리고 공동체: 의식의 기호학적 조건화 4) 말을 쓰기: 언어, 폭력 그리고 타자로서의 타자에 대하여 (1) 레비-스트로스: 자민족중심주의로서의 구조주의 (2) 루소: 필연적 대리보충으로서의 타자 (3) 원-(글)쓰기와 차이Differance: 왜 ‘텍스트 바깥은 없는가’? 2장 다른 문학, 문학으로서의 타자: 비판적 문학 이론 1) 철학의 타자: 예를 들어, 문학 (1) 여지 만들기: 문학 그리고 철학의 미래 (2) 문학의 비밀스러운 정치학 2) 변두리에서 온 우편엽서: 은유성을 위한 은유 (1) 은유의 환원 불가능성: 또는 왜 플라톤은 자신의 수레에서 절대 내리지 않는가? (2) 우편엽서: 은유를 수행하기 3) 타자에 대한 지시: 해석, 맥락 그리고 공동체 (1) 관계 그리고 해석의 윤리 (2) 해석을 위한 안전장치로서의 맥락과 공동체 3장 타자를 환영하기: 윤리학, 환대, 종교 1) 정의로서의 해체: 법적인 유령론 (1) 국경 개방: 망명과 이민 그리고 도피의 도시들 (2) 우리 자신을 (해로움에) 개방하기: 조건 없는 용서 (3) 유럽을 유럽의 타자에 개방하기 (4) 학계를 개방하기: 도래하는 대학 2) 환대로서의 종교: 초기-해체주의자로서의 레비나스와 키르케고르 (1) ‘타자와의 관계, 말하자면, 정의’: 레비나스 (2) 모든 타자는 전적 타자이다: 키르케고르의 아브라함 3) 해체의 정치학: 새로운 국제 노동자 연맹 그리고 도래하는 민주주의 (1) 마르크스의 정신을 불러내기 (2) 우리가 기다리는 것은 무엇인가?: 도래하는 계몽 4장 데리다의 타자: 타자들의 데리다 1) 타자들로 살다: 데리다 그리고 철학의 역사 (1) 플라톤 (2) 니체 (3) 하이데거 (4) 프로이트 (5) 다른 타자들 2) 타자들의 데리다: 해체에 대한 반응 (1) 미국의 수용: 예일학파 (2) 독일의 수용: 하버마스와 가다머 (3) 영미권의 반응: 분석철학 (4) ‘포스트모더니즘’이후: 이글턴, 지젝, 바디우 5장 저자, 주권 그리고 인터뷰에서의 자명한 것들: 데리다 ‘라이브’ 에필로그: 데리다 이후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