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엮은이의 말 01 서론 - 트라우마의 귀환, 전진성 1부 제도화된 기억 02 미국 교과서의 1,2차 대전과 베트남전쟁 기억 만들기, 강선주 03 프랑스 역사교과서의 1,2차 대전과 식민지 전쟁의 기억과 전수, 이재원 04 기념의 왕국 프랑스의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알제리전쟁의 기억만들기, 알랭 들리생 05 일본의 러일전쟁 100주년 기념과 네오내셔널리즘, 박진한 06 독일과 일본의 2차 대전 기억문화, 최호근 07 '극장국가'로서 제1공화국과 기념의 균열, 이화진 2부 트라우마의 공간 08 9·11 기념공간의 탈역사화와 미국이 예외주의 신화, 박진빈 09 '야스쿠니'와 '히로시마', 다카하시 히데토시 10 상품화된 기억 : 전후 일본의 전쟁기억과 영화 <로렐라이>, 한정선 11 상실된 전쟁의 기억 : 월경의 트라우마와 조선인들의 만주 탈출 1945-1950, 마이클 김 12 한국전쟁 기념의 주변인들 : 한국전쟁 반공포로, 이동헌 13 학살과 내전, 공간적 재현과 담론적 재현의 간극 : 거창사건추모공원의 공간 분석, 김백영·김민환 3부 재현의 가능성 14 우울에서 애도로 : 안젤름 키퍼의 미술 작품에 나타나는 역사적 트라우마, 전진성 15 프랑스 방데 퓌뒤푸 : 국가기억 대 민간기억의 갈등과 대안적 기억문화, 민유기 16 전쟁-서사와 기억-서사 : 조은의《침묵으로 지은 집》, 이승원 17 전쟁상흔의 사회적 치유를 위한 시선의 전환과 공간의 변화 : 한국에서의 전쟁기념물을 중심으로, 정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