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춘과 페미니즘, 새로운 담론을 위하여

이성숙 · Social Science
14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1(16)
0.5
4
5
Rate
3.1
Average Rating
(16)
Comment
More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이 책은 서구 페미니스트 매매춘 반대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여성 성의 규제와 매춘 여성의 억압의 역사를 고찰함으로써 매매춘을 둘러싼 해묵은 질문에 답을 준비한다. 저자는 공창제가 서구에서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매매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된 시도들 가운데 가장 위험한 발상이자 정책임을 주장한다. 또한 매매춘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므로 추방되어야 한다는 기존의 페미니스트 담론이 얼마나 편협한 것인가를 고찰한다. 이 책은 중요한 것은 공창제 도입의 여부가 아니라, 매매춘에 대한 우리의 위선적이고 적대적인 태도와 생각이 먼저 바뀌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Rating Graph
Avg 3.1(16)
0.5
4
5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 매매춘이 어때서? 1. 전속 매춘과 프리랜스 매춘의 차이 2. 매춘 여성의 정치력은 가능한가 제2장 조세핀 버틀러와 매춘 여성 1. 매매춘과 도덕성 2. 온정주의 매춘 제3장 매매춘은 자본주의의 결과인가 원인인가 1. 자본주의 체제를 넘어선 매매춘 2. 매매춘의 근대성과 공창제 3. 강요된, 제한된 매춘의 역사 제4장 매매춘은 남녀 불평등의 상징인가 1. 매매춘의 정치 제5장 매매춘은 낭만적 사랑의 원죄인가 1. 친밀한 섹스 2. 로맨틱한 섹스 3. 경건한 섹스 제6장 페미니스트는 매매춘이 필요 없는 사회를 꿈꾼다 1. 매매춘, 추방이 가능한가 2. 매매춘이 사라진 사회는? 맺는 말 - 새로운 매매춘 담론을 찾아서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Collections

2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