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올해로 9회째를 맞은 2008년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수상작 김애란의〈칼자국〉을 비롯해 자선작(〈큐티클〉)과 문학적 자전(〈여름의 풍경〉), 전년도 수상자인 박민규의〈낮잠〉, 소설가 김중혁과 쌍둥이 언니의〈내가 만난 김애란〉, 추천우수작으로는 김도연의〈북대〉, 김윤영의〈내게 아주 특별한 연인 3〉, 백가흠의〈그런, 근원〉, 손홍규의〈푸른 괄호〉, 정미경의〈타인의 삶〉, 한창훈의〈삼도노인회 제주여행기〉 등이 수록돼 있다. 김애란 - 한국문단의 미래를 이끌 2000년대 대표 작가 김애란은 일상을 꿰뚫는 민첩성, 기발한 상상력, 탄력 있는 문체로 한국문학의 새로운 도약을 알려온 젊은 소설가다. 2002년 등단하여 2005년 역대 최연소(스물다섯)로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하며 많은 화제를 모았고 2005년 ‘현장비평가가 뽑은 올해의 좋은 소설’에 선정되는 등 평단의 비상한 주목을 받아온 그녀가, 이번에는〈칼자국〉으로 제9회 이효석문학상까지 거머쥐었다. 김애란은 이 작품에서 ‘딸이 말하는 어머니 이야기’라는 너무나 흔한 이야기를 독특한 감각과 표현으로 전혀 새로운 차원에 펼쳐놓고 있다. 이 작품을 빛나게 하는 작가 특유의 예리함, 신랄함, 명랑함, 상처가 될 법한 일을 상처로 구성하지 않는 독특한 발상법은, 김애란이 왜 한국문단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작가로 거론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김애란의〈칼자국〉은 평생 칼을 갈고 칼을 써서 먹고 살았던 어머니를 통해서 삶을 긍정하고자 하는 즐거운 의지를 그려낸 작품이다. ‘칼국수를 만드는 어머니’와 ‘사과껍질을 한 줄로 깎는 딸’의 상징적인 대비를 통해서, 여성적인 삶과 칼의 상징성 사이의 관계를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칼자국〉의 어머니는 험난한 삶 앞에 맨몸으로 서 있으면서도, 결코 약하거나 울지 않는다. 언제든 잔혹한 증오의 도구로 돌변할 수 있는 칼을 손에 들고도, 그녀의 서러움과 아픔은 망설임 없이, 부엌이란 변환의 장소에서 고된 노동으로 바뀌고, 음식이 되어 다른 몸으로 스민다. 세계의 이 본질적 순환의 동선 위에 늠름하고 당당하게 부각된 김애란의 ‘어머니’는 생명의 원천적 고리의 한 중심에 서 있다. 몸으로 깊이 스민 음식에서 유추해낸 ‘칼자국’은 그것 자체만으로도 이 세계의 무자비하고도 우스꽝스러운 다의성을 일거에 엿보게 하는 멀티적 상상력이며, 감수성이다. “어머니는 좋은 어미다. 어머니는 좋은 여자다. 어머니는 좋은 칼이다. 어머니는 좋은 말(言)이다”로 대변되는 김애란의〈칼자국〉은 좋은 소설이다. 그리고 ‘어머니’와 ‘어미’를 구분할 줄 아는 김애란은 좋은 작가다. 젊은 듯 젊지 않은 이 작가를 통해 금속성과 모성이 결합되면서 칼자국마저 따뜻해지고 부드러워진다. 우리 소설의 미래를 본다! 등단 15년 이하의 작가를 대상으로 하는 이효석문학상은 매년 탁월한 작품을 발표한 젊은 작가들을 발굴해냄으로써 현대 소설의 흐름을 이끌고 있다. 이번에 추천 우수작에 오른 작품들은 작가들의 개성을 잘 드러내면서도 우리 소설의 미래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궁벽한 지방 도시를 배경으로 남자들의 서글픈 욕정을 드러내고 상품화한 섹스의 범람 속에서 순정의 장면을 포착하는 김도연의〈북대〉, 감각적인 구어체 표현과 대화, 매끄러운 구성이 돋보이는 김윤영의〈내게 아주 특별한 연인 3〉, 어머니의 상실을 거스를 수 없는 운명으로 수락하는, 또는 자기 존재의 ‘근원’으로 이해하는 남자의 이야기인 백가흠의〈그런 근원〉, 상처나 슬픔을 모두 자신만의 푸른 괄호 속에 넣어버린 한 촌부(村婦)의 이야기인〈푸른 괄호〉, 타인의 삶에 대해 어느 정도나 알고 있는지, 어느 정도나 개입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는 정미경의〈타인의 삶〉, 전통적 세계에 대한 체험적 관찰에서 우러나오는 작가 특유의 유머가 빛나는 한창훈의〈삼도노인회 제주여행기〉 등이 추천 우수작으로 실려 있다. 추천 우수작가 김도연 | 북대 1966년 강원도 평창에서 태어나 강원대 불문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강원일보 신춘문예, 2000년 제1회 중앙신인문학상에 당선하여 등단했다. 저서로 소설집<0시의 부에노스아이레스>, <십오야월> , 장편소설<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 산문집<눈 이야기> 가 있다. 김윤영 | 내게 아주 특별한 연인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사회생활학과와 성균관대 대학원 사학과를 졸업했다. 1998년 제1회 창비신인소설상에〈비밀의 화원〉이 당선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소설집<루이뷔똥>, <타잔>, 평전 이 있다. 백가흠 | 그런, 근원 1974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나 명지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200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광어〉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으로<귀뚜라미가 온다>, <조대리의 트렁크> 가 있다. 손홍규 | 푸른 괄호 1975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동국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2001년<작가세계>,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4년 대산창작기금을 받았다. 저서로 소설집<사람의 신화>, <봉섭이 가라사대>, 장편소설<귀신의 시대>, <청년의사 장기려> 가 있다. 정미경 | 타인의 삶 1960년 마산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폭설〉이, 2001년 세계의 문학 소설 부문에〈비소 여인〉이 당선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02년 오늘의 작가상, 2006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소설집<나의 피투성이 연인>, <내 아들의 연인>, <발칸의 장미를 내게 주었네>, 장편소설<장밋빛 인생>, <이상한 슬픔의 원더랜드> 가 있다. 한창훈 | 삼도노인회 제주여행기 1963년 전남 여수에서 태어나 한남대 지역개발학과를 졸업했다. 1992년 대전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98년<홍합>, 으로 제3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소설집<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가던 새 본다>, <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 <청춘가를 불러요> , 장편소설<홍합>, , <열여섯의 섬>, 산문소설<바다도 가끔은 섬의 그림자를 들여다본다>, 동화집<검은섬의 전설> 이 있다. * 수상소감 안아볼 무렵 -김애란 오래전, 나보다 젊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입 맞추던 밤을 떠올린다. 가로등 하나 없이 컴컴한 밤. 비가 오고 천둥번개가 쳤다는 그 밤. 구불구불한 길들이 널린, 30여 년 전 시골 마을의 진짜 고요, 진짜 어둠을 그려본다. 어머니는 아버지의 얼굴이, 아버지는 어머니의 얼굴이 보이지 않았다 한다. 하지만 서로가 거기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어, 오래 부둥켜안고 있었더랬다. 어두워서 할 수 있는 일 중, 가장 바람직한 일을 한 것. 소문과 이목으로부터 자신들을 지켜주는 어둠에 안도해, 비 맞으며 내내 그러고 있었더랬다. 하지만, 일어나야 할 일과 일어나지 않을 일은 누구도 알 수 없는지라, 마침 염전에 ‘물 잡으러(빗물을 빼러)’ 가던 동네 아저씨가 다급히 그 앞을 지나고 있었고……. 결국 길 한가운데에서 두 사람과 쿵 부딪히고 말았다 한다. 그 역시 사방을 분간할 수 없고, 거기 누군가가 있으리라 예상하지 못한 까닭이었다. 아저씨는 귀신이라도 만난 듯 놀라 자빠지며 외쳐댔단다. 어눌한 충청도 말투로 연신 “누구여? 누구여?”라고. 그런 뒤 장님처럼 허둥대며 달아났다고. 어머니는 목소리만 듣고도 그 아저씨가 누군지 알았지만, 그 자리에 한참을 꼼짝 않고 서 있었다 한다. 자신들은 본디 사람이 아니라 어둠이었다는 듯. 곁에 있는 사내와 바싹 숨죽인 채. 그 후로 그 아저씨를 볼 때마다 겸연쩍은 마음이 들었지만, 한 번도 얘기한 적은 없었노라고. 나는 이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