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프랑스어판 편집자 서문 1강. 1973년 11월 7일 정신요양원 공간과 규율적 질서 | 치료적 조작과 ‘도덕요법’ | 치유의 무대 | 『광기의 역사』와 관련해 이 강의가 행한 문제의 변환: (1) ‘표상’의 분석에서 ‘권력의 분석론’으로, (2) ‘폭력’에서 ‘권력의 미시물리학’으로, (3) ‘제도적 규칙성’에서 권력의 ‘조치’로 2강. 1973년 11월 14일 치유의 무대: 조지 3세, ‘주권의 거시물리학’에서 규율적 ‘권력의 미시물리학’으로 | 광인의 새로운 형상 | 치유의 무대에 대한 소백과사전 | 최면의 실천과 히스테리 | 정신분석학의 무대, 반정신의학의 무대 | 킹슬리 홀의 메리 번즈 | 광기의 취급과 진실의 계략: 조지프 메이슨 콕스 3강. 1973년 11월 21일 ‘규율권력’의 계보, ‘주권권력’: 주권권력과 규율권력에서의 주체-기능 | 규율권력의 형태: 군대, 경찰, 도제, 작업장, 학교 | ‘규범화 심급’으로서의 규율권력 | 규율권력의 테크놀로지와 ‘개인’의 구축 | 인간과학의 출현 4강. 1973년 11월 28일 규율장치 역사의 요소들: 중세의 수도사 공동체, 교육에 의한 청년층의 예속지배, 파라과이 예수회의 임무, 군대, 작업장, 노동자 거주촌 | 제러미 벤담의 『판옵티콘』 모델 내에서 이런 장치들을 형식화하기 | 가정제도와 심리학적인 것이라는 기능의 출현 5강. 1973년 12월 5일 정신요양원과 가정, 금치산에서 감시로, 정신요양원과 가정의 단절 | 정신요양원, 치유기계 | ‘신체에 관련된 기구’의 유형론 | 광인과 어린이 | 요양원 | 규율장치와 가정권력 6강. 1973년 12월 12일 정신의학에 의한 개입 목표로서의 어린이의 구성 | 정신요양원적·가족적 유토피아: 클레르몽-앙-와즈의 정신요양원 | 정신과 의사: 원시 정신의학적 실천에서의 현실과 진실의 ‘양의적 주인’으로부터 현실적인 것을 ‘강화하는 자’로 | 정신의학의 권력과 진실담론 | 히스테리 환자의 위장과 봉기에 관한 문제 | 정신분석학의 탄생이라는 문제 7강. 1973년 12월 19일 정신의학의 권력 | 프랑수아 뢰레의 치료법과 그 전략적 요소들: 1. 권력의 불균형화, 2. 언어의 재활용, 3. 욕구의 조정, 4. 진실의 언표 | 병의 쾌락 | 정신요양원 장치 8강. 1974년 1월 9일 정신의학의 권력과 ‘지도’의 실천 | 정신요양원에서의 ‘현실’의 작용 | 의학적으로 특징지어진 공간인 정신요양원과 그 의학적·행정적 지도의 문제 | 정신의학의 지식의 표식: ① 심문기술, ② 의료적 조치와 처벌 작용, ③ 임상적 제시 | 정신요양원에서의 ‘권력의 미시물리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