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말
들어가며
1 문제
2 현대 중국 지성사의 배경
3 기본적 방법론에 관한 고려
4 논점의 개관
5 방법론상 남아 있는 논점들
1장 의존성 및 중국 가족주의의 인문주의 이론
2장 탕쥔이의 유학적 자아 완성의 개념
1 서론
2 중국 문화와 서양 문화
3 경험의 해석
4 도덕적 자율
5 감정적이고 격렬한 자아 주장
6 개인주의 문제
7 자율과 권위
3장 신유학의 곤경 의식
1 방법론적 고찰
2 전체 목표: ‘살아 있는 것(活物)’
3 목표 1: 전체적인 도덕적 정화
4 목표 2: 인식의 절대적인 명료성
5 목표 3: 일관성, 주재(control), 부동심
6 목표 4: 연계
7 목표 5: 우주적·정치적 역량
8 목표 6: 기쁨과 사회적 일체성
9 목표와 주어진 세계
10 주어진 것으로서의 선한 우주의 기운
11 자연적으로 주어진 마음의 양상들
12 주희와 주어진 마음의 양태들
13 왕양명과 마음의 주어진 양태들
14 주어진 악의 기운
15 주어진 것으로의 인간의 개입 의지
16 주어진 의지로서의 우주
17 주희와 왕양명
18 형이상과 형이하의 관계에 대한 주희와 왕양명의 주장
19 정신 수양에 대한 주희와 왕양명의 주장
20 연계에 대한 주희의 주장
21 연계에 대한 왕양명의 주장
22 실천과 정치 행위의 범위에서 주희와 왕양명
23 신유가의 곤경 의식
24 청대 초기의 신유학
4장 신유학과 후기 제국 시대의 정치 문화
1 문화와 부패
2 내외 압력의 수렴
3 오리(汚吏)에 대한 비난과 처벌
4 내면적 압력: 행정적·철학적·심리적 증거
5 자율과 카리스마
6 삼각 개념으로서의 권위
7 위장된 역할로서의 군주
8 관료의 항의
9 관료의 사기(士氣, 사의 기개)
10 관료의 실천과 보편주의
11 보편주의와 황제의 권력
12 권위, 온건한 현실주의, 그리고 급진주의
5장 점증하는 낙관주의와 서구화 시대에서 상호 의존의 사회정신
1 서구화
2 과거의 관성
3 변화의 모호성
4 상호 의존의 사회정신
5 잡힐 듯 말 듯한 내재성
6 금지된 변화의 추진력
7 합리주의와 절대주의
8 상호 의존과 권위
9 실패의 공포
10 현대에서의 상호 의존
11 전통을 변화시키려는 전통적 추진력
12 신낙관주의와 과학 기술
13 신낙관주의와 급진적인 정치적 재편성
14 신낙관주의와 이념적 진보
15 이념과 중화주의, 그리고 민족주의
16 신낙관주의와 문화적 절망의 문제
17 신낙관주의와 현대 중국 철학의 의제
18 결론: 마오쩌둥의 업적과 상호 의존의 사회정신
주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