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해제 : 군주론과 제왕학의 성전, 《한비자》
권1
제1편 초견진[初見秦 : 처음 진왕을 만나다]
·창고와 곳간이 비어 있는 이유 ·패왕의 길을 놓친 세 가지 이유 ·망해야 하는 나라가 망하지 않게 된 이유 ·사방의 제후들이 조회하러 오지 않으면
제2편 존한[存韓 : 한나라를 보존하다]
·조나라를 내버려두고 한나라를 공격하려는 진나라 ·복이 되는 것과 화가 되는 것 ·후회해도 소용없는 이유 ·한비의 글에 대한 이사의 반박문 ·이사의 반박이 담긴 또다른 글
제3편 난언[難言 : 말하기의 어려움]
·어려운 것이 아니라 꺼리는 것이다 ·지혜로운 자의 설득이 실패한 경우
제4편 애신[愛臣 : 총애하는 신하]
·군주를 위험에 빠뜨리는 자 ·현명한 군주가 뜻하지 않은 일에 대비하는 법
제5편 주도[主道 : 군주의 도리]
·군주가 속내를 드러내지 말아야 하는 이유 ·군주를 위협하는 다섯 가지 장애물 ·철저한 성과주의의 방법
권2
제6편 유도[有度 :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법도가 있다]
·법을 받들어야 나라가 강해진다 ·법이라는 저울에 달아 사람을 구하라 ·공적인 법을 받들며 사적인 술수를 버려라 ·법은 신분이 귀한 자에게 아부하지 않는다
제7편 이병[二柄 : 두 개의 칼자루]
·호랑이가 개를 복종시킬 수 있는 이유 ·소후가 전관과 전의 모두에게 죄를 물은 이유 ·군주가 좋아하는 것을 버리고 싫어하는 것도 버려야 하는 이유
제8편 양각[揚? : 요강]
·군주는 고요하고 텅 비어야 신하를 일하게 만들 수 있다 ·군주와 신하가 조화롭게 사는 여섯 가지 방법 ·신하의 의견을 듣고 군주는 입을 다물어라 ·군주가 신 같은 권위를 잃으면 호랑이 같은 신하가 그 뒤를 노린다 ·늑대와 양을 같은 우리에 넣지 않는 이유
제9편 팔간[八姦 : 여덟 가지 간사한 음모와 수단]
·신하가 저지르는 간사한 행동과 그것을 막는 방법 ·나라를 망하게 하는 풍조들
권3
제10편 십과[十過 : 열 가지 잘못]
·패망하는 군주의 열 가지 잘못 ·작은 충성과 큰 충성의 차이 ·작은 이익과 큰 이익의 차이 ·초나라 영왕이 굶어 죽게 된 이유 ·음악만 좋아하여 자신을 망친 평공 ·탐욕스럽고 괴팍하여 몰락을 자초한 지백요 ·무희와 음악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은 융왕 ·유람을 즐기다 위태로워진 전성자 ·제환공이 죽어 시체도 거두어지지 못한 이유 ·외세의 힘을 빌리면 영토를 잃게 된다 ·숙첨의 시신은 내걸리고 이부기는 살아난 이유
권4
제11편 고분[孤憤 : 홀로 분격해 하다]
·술術에 능한 인사가 나라를 다스리게 하라 ·네 부류의 조력자들 ·나라가 편안히 존속되기를 바랄 수 없는 이유 ·조정과 관직에 유능한 인사와 깨끗한 관리가 남게 하려면 ·군주의 큰 실책, 신하의 큰 과실
제12편 세난[說難 : 유세의 어려움]
·일은 은밀하게 이루어야지 말이 새 나가면 실패한다
제13편 화씨[和氏 : 화씨 이야기]
·두 발이 잘리는 형벌을 당한 화씨 ·세상이 어지러워지고 패왕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
제14편 간겁시신[姦劫弑臣 : 간사한 계략으로 군주를 겁박하고 시해하는 신하]
·군주를 제멋대로 조종하는 신하의 방법 ·현명한 군주는 깊은 궁궐에서도 천하를 볼 수 있다 ·지혜로운 인사는 끝까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 ·애첩의 말에 현혹돼 정실부인을 죽인 춘신군 ·엄한 형벌로 다스려야 패왕이 될 수 있다 ·문둥이가 왕을 가엽게 여기는 이유
권5
제15편 망징[亡徵 : 멸망하는 징조]
·군주의 권세가 가볍고 신하의 권세가 무거우면 망한다
제16편 삼수[三守 : 군주가 지켜야 할 세 가지 원칙]
·군주가 지켜야 할 세 가지 ·군주는 세 가지 협박에 대비하라
제17편 비내[備內 : 내부를 방비하라]
·수레 만드는 일과 관 만드는 일도 이익 때문에 한다 ·군주의 권세를 빌려주면 위치가 바뀌게 된다
제18편 남면[南面 : 군주]
·군주는 신하의 진언과 침묵에 책임을 물어야 ·옛것을 바꾸기 어려운 이유는 익숙한 것이기 때문
제19편 식사[飾邪 : 사악함을 경계하라]
·점과 미신에 의존하면 나라가 망한다 ·산동 육국이 약해지고 멸망하게 된 이유 ·치워라, 그것은 술이구나 ·공적인 의리와 사적인 의리의 차이
권6
제20편 해로[解老 : 《노자》를 풀이하다]
·최상의 덕은 덕이 아니다 ·인 · 의 · 예 ·화씨의 구슬과 수후의 진주가 아름다운 이유 ·뿔이 하얀 검은 소 ·재앙은 복이 기대는 곳, 복은 화가 숨어 있는 곳 ·노자가 말하는 네 가지 ·백성을 다스리는 것과 하늘을 섬기라는 것의 의미 ·큰 나라를 다스릴 때에는 법을 자주 바꾸면 안 된다 ·도를 터득한 군주는 적이 없다 ·욕심보다 큰 재앙은 없다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인간 ·이치가 정해지면 일처리가 명쾌해진다 ·대도大道가 정도正道
권7
제21편 유로[喩老 : 《노자》를 비유하다]
·가죽이 아름다워 재앙을 초래하다 ·나라란 군주의 치중輜重 ·권세는 연못과 같다 ·작은 조짐을 조심하라 ·싹을 잘라야 후환이 없다 ·미세한 조짐을 관찰하라 ·치욕이란 것의 의미 ·가공하지 않은 옥돌을 바치려는 농부 ·책을 불사르고 춤을 추는 자 ·군주를 위해 상아로 잎사귀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