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대사

이광수 · Novel
57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1(6)
Rate
3.1
Average Rating
(6)
한국문학을 권하다 시리즈 25권. 춘원 이광수가 수양동우회사건, 안창호의 죽음, 친일 등의 시련을 겪으면서 정신적 갈등이 심화되었던 1942년에 226회에 걸쳐 <매일신보>에 연재한 그의 마지막 장편 역사소설이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3.1(6)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춘원 닮은 나 _ 고정욱 <내가 왜 이 소설을 썼나> 제행무상 번뇌무진 파계 요석궁 용신당 방랑 재회 도량 이광수 연보

Description

“밤을 새워 춘원의 작품을 읽고 난 뒤 가슴이 설레어 잠도 잘 수 없었다.” _소설가 고정욱 파계승이었던 ‘원효’를 대중의 가슴에 남게 한 역작 불교적 소재를 문학으로 끌어안은 성스러운 사랑 이야기 <한국문학을 권하다 시리즈>는 누구나 제목 정도는 알고 있으나 대개는 읽지 않은, 위대한 한국문학을 즐겁게 소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즐겁고 친절한 전집’을 위해 총서 각 권에는 현재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10명의 작가들이 “내 생애 첫 한국문학”이라는 주제로 쓴 각 작품에 대한 인상기, 혹은 기성작가를 추억하며 쓴 오마주 작품을 어려운 해설 대신 수록하였고, 오래전에 절판되어 현재 단행본으로는 만날 수 없는 작품들까지도 발굴해 묶어 국내 한국문학 총서 중 최다 작품을 수록하였다. 한국문학을 권하다 《원효대사》에는 청소년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는 고정욱 작가가 쓴 춘원 이광수 작품을 처음 읽었을 때 느꼈던 감동과 재미를 담은 인상기가 실려 있다. 고정욱 작가는 고등학생 시절, 짝사랑 소녀를 멀리서 훔쳐보고 설레는 마음으로 집으로 돌아와 이팔청춘의 긴 밤에 춘원 이광수의 소설을 읽으며 다시 한 번 설렜다는 에피소드를 털어놓으며, 춘원 작품의 대중적 재미와 마력과도 같은 흡인력, 섬세한 인물묘사에 대해 작가로서 영감을 받았음을 이야기한다. 《원효대사》는 춘원 이광수가 수양동우회사건, 안창호의 죽음, 친일 등의 시련을 겪으면서 정신적 갈등이 심화되었던 1942년에 226회에 걸쳐 <매일신보>에 연재한 그의 마지막 장편 역사소설이다. 우리말과 우리글을 일체 쓸 수 없도록 한 암흑의 시기, 순우리말로 쓰인 작품으로 마지막까지 민족의 정신인 언어를 지키려 한 소설로도 평가받을 수 있다. 문학적 원숙기인 지천명의 나이에 쓴 이 작품은 신문 연재라는 불리한 점을 이기고 소설적 재미와 유려한 문체 둘 다를 잡은 것으로 평가되어 그의 수많은 역사소설 가운데서도 으뜸으로 꼽힌다. [출간 의의 및 특징] 1940년대는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일으키고 우리 민족의 적극적 협조를 끌어내려고 문인을 동원해 작품을 쓰도록 했던 시기이다. <동아일보>, <조선일보>가 강제로 폐간되고 우리말 신문으로는 유일하게 총독부 기관지가 된 <매일신보>만이 남아 있었다. 당시 허울 좋은 내선일체, 황국신민화운동에 날뛰던 일제는 우리 겨레가 적극적으로 협조하게 하려고 이광수에게 소설을 쓰게 했다. 이광수는 일제의 이 의도를 거꾸로 이용, 역사적 인물 원효를 통해 그의 초기 작품의 주제인 민족주의 사상을 담아 오히려 민족의 지도자상과 나아갈 길을 우회적으로 제시하는 작품을 썼다. 작품 앞에 <내가 왜 이 작품을 썼나>라는 글을 덧붙였는데 이를 보면 이광수와 원효, 조선 민족을 동일선상에 놓고 자신의 현재 심경을 드러내는 동시에 한민족의 정기를 불러일으키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애플북스의 〈한국문학을 권하다 시리즈〉는 그동안 전체 원고가 아닌 편집본으로 출간되었거나 잡지에만 소개되어 단행본으로 출간된 적 없는 작품들까지 최대한 모아 총서로 묶었다. 현재 발간된 한국문학 전집 중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수록한 전집이라 하겠다. 종이책은 물론 전자책으로도 함께 제작되어 각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대학교의 도서관은 물론 기업 자료실에도 꼭 필요한 책이다. [내용 소개] 《원효대사》는 크게 제행무상, 번뇌무진, 파계, 요석궁, 용신당, 방랑, 재회, 도량의 8장으로 나뉜다. 첫 장 제행무상에서는 승만마마(시호 진덕여왕)의 승하로 모든 것이 무상함을 깨닫는 것으로 시작된다. 시대적 배경은 신라가 아직 삼국을 통일하기 전으로 진덕여왕은 마지막 성골 출신 왕이다. 그 뒤를 이어 김춘추(무열왕)가 왕위에 올라 후에 통일신라시대를 연다. 요석공주와의 계속되는 인연, 부부의 연을 맺은 후 스스로 파계라고 단정 짓고 몸과 마음에 낀 때를 씻어내기 위해 수련하는 모습, 소성거사라 칭하고 떠돌며 사람들을 교화시키는 이야기, 한동안 거지 떼를 이끌고 도적의 무리도 감복시키며 큰 도량을 이루는 대단원까지를 연대기 순으로 그리고 있다. 화랑도와 고대사에 대한 해박한 역사 지식, 여러 경전을 오가며 해석해낸 심오한 불교관, 노장사상과 어우러져 그려낸 신라인들의 생활 모습, 민간에 전승되던 순수 우리말 유래의 연구까지 유려한 문장으로 단숨에 작품 속에 펼쳐진다. 독자들에게 한 치의 빈틈도 허용치 않으며 소설적 재미와 교훈을 모두 담아낸 이광수 최후의 역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