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권. 가정과 국가
제1장 최고의 공동체인 국가
제2장 국가의 형성 과정
제3장 가정의 구성 요소들
제4장 노예의 본성과 역할
제5장 본성적으로 타고나는 노예
제6장 전쟁 포로를 노예로 삼는 관행에 대해
제7장 주인과 노예
제8장 본성적이고 필수적인 재산 획득 기술
제9장 본성적이지 않고 필수적이지 않은 재산 획득 기술인 상업
제10장 가정 관리 기술과 재산 획득 기술의 관계에 대한 결론
제11장 재산 획득 기술의 실제적 적용의 필요성
제12장 자녀들과 아내를 다스리는 기술
제13장 다스리는 자와 다스림을 받는 자의 미덕은 동일한가
제2권. 정치체제에 관한 일반적 개관
제1장 서론
제2장 국가는 단일체가 되어야 하는가
제3장 여자와 아이의 공유는 국가를 단일체로 만들 수 없다
제4장 여자와 아이를 공유할 때 초래되는 폐단들
제5장 소크라테스의 이상 국가를 비판하다
제6장 플라톤이 『법률』에서 제시한 정치체제에 대한 비판
제7장 팔레아스가 제안한 재산 균등화에 대한 비판
제8장 히포다모스가 구상한 국가 체제에 대한 비판
제9장 스파르타의 정치체제
제10장 크레타의 정치체제
제11장 카르타고의 정치체제
제12장 여러 입법자에 대한 총평
제3권. 정치체제의 종류
제1장 시민의 정의
제2장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부모가 시민이어야 하는가
제3장 국가의 동일성 문제
제4장 사람의 미덕과 시민의 미덕
제5장 시민 문제의 결론
제6장 개인과 공동체의 목적인 훌륭한 삶
제7장 정치체제의 종류
제8장 과두정과 민주정에 대한 재정의
제9장 민주정과 과두정의 정의 개념
제10장 국가의 최고 권력의 귀속 문제
제11장 다수의 대중이 국가의 최고 권력을 가져야 한다
제12장 국가와 정의
제13장 누가 다스리는 것이 정의로운가
제14장 왕정의 유형
제15장 왕정은 국익에 도움이 되는가
제16장 절대 왕정을 반대하는 자들의 논리
제17장 왕정이냐 귀족정이냐 혼합정이냐
제18장 결론
제4권. 현실의 다양한 정치체제
제1장 실현 가능한 정치체제와 법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
제2장 어떤 정치체제들을 살펴보아야 하는가
제3장 혼합정과 과두정과 민주정의 관계
제4장 민주정의 유형
제5장 과두정의 유형
제6장 변천 과정으로 본 민주정과 과두정의 유형
제7장 귀족정의 유형
제8장 혼합정은 무엇인가
제9장 혼합정의 구성
제10장 참주정의 유형
제11장 가장 훌륭한 정치체제는 무엇인가
제12장 국가의 정치체제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제13장 혼합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제14장 심의 부문
제15장 공직 부문
제16장 재판 부문
제5권. 정치체제의 변혁
제1장 분쟁과 변혁의 일반적인 원인인 불평등
제2장 분쟁의 구체적인 발단과 원인
제3장 각 원인별 구체적 사례들(1)
제4장 각 원인별 구체적 사례들(2)
제5장 민주정과 정치체제의 변혁
제6장 과두정과 정치체제의 변혁
제7장 귀족정과 정치체제의 변혁
제8장 민주정과 과두정을 파괴시키는 원인들
제9장 민주정과 과두정을 보존하는 원인들
제10장 참주정과 왕정이 파괴되는 원인들
제11장 군주정을 보존하는 원인들
제1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