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말
제1장 민족사회학: 정의, 주제, 방법론
제1절 고전적 사회학에 대한 개요
사회학의 기본 개념: 일반 개념 및 특정 개념|사회계층과 사회집단|극장의 은유|사회에서 파생된 인간
제2절 ‘민족’ 개념의 소개
‘민족’ 및 동의어들의 어원론|민족의 정의|열린 공동체로서 민족|민족성의 정의|러시아 학계에서 민족 이론: 레프 구밀레프의 민족형성론|율리안 블라디미로비치 브롬리의 민족 이론|해외의 민족사회학|민족과 인종|민족과 국민|민족과 사회|코이논으로서 민족|민족의 전체형태성
제3절 개념으로서의 민족과 현상으로서의 민족
민족사회학의 주제와 대상|우리가 거부해야 할 민족사회학의 정의|현상으로서의 민족과 현상학적 방법|민족의 사례 : 현대 체첸|민족사회학의 주요 규칙 : 민족의 다원성과 그 분류|민족과 생활세계|민족 공간의 사례: 레즈긴족
제2장 민족사회학의 근본 개념, 도구, 방법
제1절 민족사회학의 기본 개념(사회의 유형)
민족사회학의 개념과 용어|동의어의 문제|민족사회학의 기본적인 용어와 개념의 구조|정체성과 정체성 확인|민족 정체성 확인: 도 카모(Do Kamo)|민족의 내부 구조: 가족,혈통, 일족|민족과 혈통-정체성: 쌍둥이 신화|민족사회학적 범주로서 나로드|나로드는 민족의 첫 번째 파생물이다|나로드의 세 가지 창조 형태: 국가, 종교, 문명|민족과 나로드 관계의 가역성|나로드노스트는 민족사회학의 범주가 아니다|국민 : 민족의 두 번째 파생물|국민과 가역성|국민자격은 민족사회학적 범주가 아니다|민족사회학적 개념으로서 시민사회|시민사회의 가역성|시민사회의 절정으로서 범지구사회|탈사회와 탈근대성의 사회학
제2절 민족사회학의 도구적 개념
스테레오타입?민족 스테레오타입|태도 : 민족의 태도|동화|민족 보전|문화변용|통합|복잡한 사회에 민족사회학적 방법의 적용 가능성
제3장 민족사회학 방법론의 이론적 패러다임
제1절 근원주의
민족 현상을 해석하는 기본적 방법|근원주의 접근법의 핵심|다양한 형태의 근원주의|생물사회적 접근법|진화론: 허버트 스펜서|인종이론|인종주의|인간 게놈 연구의 인종주의적 측면|인종 및 생물학적 접근법에 대한 비판|문화 근원주의
제2절 구성주의
고전적 구성주의: 어네스트 겔너, 베네딕트 앤더슨, 에릭 홉스봄|구성주의 적정성과 한계|앤서니 스미스의 민족상징주의
제3절 도구주의
도구주의의 출현|전략으로서 민족|도구적 영속론|상황적 영속론|도구주의 접근법 등장의 역사적 맥락|도구주의의 적절성과 한계|도구주의와 나로드의 사회학|결론
제4장 다른 나라의 민족사회학
제1절 독일의 민족사회학, 문화 서클, 민족심리학
‘민족사회학’이라는 용어|요하네스 고트프리트 헤르더: 신의 뜻으로서 나로드|요하네스 고틀리프 피히테|요한 야코프 바흐오펜|아돌프 바스티안: 원질사고와 나로드 사고|프리드리히 라첼: 인류지리학과 민족학|로베르트 그래브너: 민족학의 방법|빌헬름 슈미트: 원시유일신론|레오 프로베니우스: 텔루리즘, 흐토니즘, 파이데우마|루트비히 굼플로비치: 민족의 투쟁|프란츠 오펜하이머: 민족 갈등의 결과로 나타난 국가|알렉산더 뤼스토프: 근본 유형으로서 유목민과 농민|막스 베버: 민족의 정의|페르디난트 퇴니스: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베르너 좀바르트: 영웅과 상인|모리츠 라자루스: 나로드 정신|빌헬름 분트: 나로드 심리학|알프레드 피어칸트: 민족현상학|지그문트 프로이트: 원시 질서에서 부친 살해|칼 구스타프 융: 집단 무의식|리하르트 투른발트: 민족사회학 지식의 체계화|자연 나로드의 ‘삶의 이미지’: 민족의 유형론|단순한 사회의 가족과 경제|서로 다른 형태의 차별화된 사회에서 국가, 문화, 권리|투른발트 연구의 민족사회학적 중요성|빌헬름 뮐만: 민족, 나로드, 민족중심주의|게오르크 엘베르트: 민족 갈등과 ‘폭력의 시장’
제2절 미국의 민족사회학, 문화인류학, 종교사, 민족방법론
용어 설명|루이스 모건 : 고대 사회|윌리엄 섬너 : 민속과 관습|윌리엄 토머스: 발달된 문화를 가진 문명사회의 민족지학|프란츠 보아스: 문화인류학의 창시자|앨프리드 크로버 : 문화적 패턴과 초유기체|로버트 로이: 역사적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