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타르, 왜 철학을 하는가?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169p
Where to buy

Author/Translator

Comment

5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왜 철학을 하는가? 1. 왜 욕망하는가? 2. 철학과 기원 3. 철학의 말에 대하여 4. 철학과 행동에 대하여 해제 / 리오타르에 대하여

Description

한 시대 안에서 그리고 그 시대 이후에 철학‘한다’는 것 - 리오타르의 『왜 철학하는가』에 바치는 한 줌의 글귀 이성근 / 철학,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지은이 “왜 철학하는가?”라는 굉장히 커다랗고 어려운 질문을 다루는 책이 나왔다. 우리가 거쳐 온 오랜 말의 역사에서 확고히 고정된 ‘왜’라는 의문사와 이 의문사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철학’이라는 무거운 말의 연결을 다루는 것은 너무도 어렵다. 더구나 한국어에서 육하‘원칙’이라는 단단한 이름으로 전해지는, 세상의 많은 말들 중에서 없어지지 않을 저 의문사에 대한 답은 예나 지금이나 어렵다. 더불어 저 의문과 함께 등장했을 ‘철학’ 역시 누구에게나 만족을 주는 쉽고 간단한 정리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질문에 대한 답을 이어가기 전에 먼저 개인적으로 잘못 이해되고 있다고 믿는 혹은 그마저도 잊혀가고 있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라는 고유명사에 대해 언급하고 싶다. 굳이 이유를 더하자면, 이 고유명사의 무게가 이 책에 대한 접근을 오도하거나, 잘못된 선입견을 주리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나의 책에 접근하는 데는 여러 방식이 있겠지만, 이 책이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에는 저 고유명사에 따른 어떤 선이해가 개입하지 않기를 감히 ‘욕망’한다. 덕분에 이 책에서 가장 감사했던 부분은 리오타르의 딸인 코린 에노도가 작성한 이 책의 성립과 논의의 진행에 대한 일종의 소개였다. 한 ‘철학자’에 대한 어림짐작을 확신으로 바꿔주었기 때문이다. 기록들과 전해지는 이야기들로만 어림짐작했던 이 ‘포스트모니즘의 사상가’는 ‘작은 이야기’에 매료된 채, ‘거대 담론’ 즉, 역사와 이데올로기를 무작정 내쳐버리는 이가 아니었다. 리오타르에게 우호적일 수밖에 없는 그녀의 위치를 이해하더라도, 에노도가 전달하는 리오타르의 모습은 상당히 큰 의미를 지닌다. 더구나 에노도가 그려내는 리오타르는 결코 자기 고유의 생각에만 매몰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철학한다’는 행동의 의미를 반추하게 한다. 시대와 함께 현상학, 정신분석학, 헤겔-마르크스로 이어지는 역사와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호흡하려는 이 자세, 이것이 결국 리오타르가 말하고 싶어하는 철학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이는 결코 ‘플라톤’ ‘칸트’ ‘후설’이라는 이름들을 역사로의 철학과 담론의 장에서 상대화하고 해소시켜버리는 자세가 아니다.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은 상대주의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이론의 ‘기원’으로 언급되는 이와는 어울리는 태도가 아닐 것이다. 길기는 했지만, 다행히 지금까지 리오타르와 그의 작업 방식에 대해 한 이야기는 이 책이 다루는 직접적인 주제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것 같다. 그가 직접 다루는 네 개 강의의 주제가 바로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들을 모두 포괄하기 때문이다. ‘욕망’ ‘역사 또는 기원’ ‘말’ ‘행동’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결코 이 네 말들의 그물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말을 덧붙이고 싶은 것은 바로 욕망 아래 움직일 수밖에 없는 철학한다는 것 또는 그로부터 나타나는 철학과 ‘행동’의 관계이다. 철학한다는 행위가 어떤 욕망의 산물임에는 십분 동의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운 것은 리오타르가 행동의 필요성을 욕망으로 이끌어내는 방식이 ‘결여’에 근거를 두는 ‘부정적’ 방식이라는 점이다. 라캉을 경유하여 욕망에 접근하는 이유이겠지만, 과연 우리는 욕망을 충만하게 긍정적으로 만들어낼 수는 없을지 다시 한번 돌아본다. 다행히 리오타르는 다시 전통적인 질문을 던지며 큰 그림 아래 답을 예비한다. “따라서 “이제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은 더는 꿈꾸지 않아도 되게끔 ? 나는 ‘철학을 하지 않아도 되게끔’이라고 하고 싶군요 ? 현실을 수정하고 삶을 바꿔야 한다는 뜻입니다.”(본문 130쪽) 그러므로 여기에 닿는 그의 마지막 반문 “어떻게 철학하지 않을 수 있느냐?”는 다른 답을 부른다. 이는 진정한 근대 이후의 사상가일 니체라면 “누가 철학하기를 바라는가?”라고 변주했을 질문을 경유하는 여전히 진행중인 질문이다. “우리는 지금 여기서 철학하고 있는가?” * 글을 쓴 이성근은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및 철학과, 동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저서로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공저) 등이 있다. * 출판사 북노마드는 책에 대한 깊이 있고 객관적인 소개를 위해 외부 전문가에게 서평을 의뢰했습니다. 북노마드는 책을 덮은 후의 느낌을 소중히 생각합니다.

Collections

9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WATCHA, Inc.
  • CEO, Taehoon Park
  • 343, Gangnam-daero,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 Corporate Registration Number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