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말고는 뛰지 말자

김용택 · Essay
160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5)
Comment
More

열두 시인의 열두 달 릴레이. 2024년 매월 매일 하나의 이름으로, 365가지 서로 다른 이야기로 꼭 채워온 시의적절 시리즈 2025년 3월의 주인공은 김용택 시인이다. 1월이 가고 2월이 가고 이제 우리 나이 일흔여덟 살의 3월로 돌아온 김용택. 전북 임실의 진메마을에서 나고 자라 지금도 그곳에 살며 섬진강을 걷는 그다. 시인은 꽃들을 따라다니며 작은 생명들 곁에 엎드려 시를 쓴다. 죽은 가지는 부러뜨리고 마른 풀은 쓰러뜨리는 차고 힘찬 바람이 부는 3월. 잡목 숲 실가지들의 색깔이 달라지고 딱따구리들이 나무 쪼는 소리가 많아지는 봄. 그것은 나무껍질이나 썩은 나무 속에 벌레들의 움직임이 달라졌다는 뜻이다(「새들」). ‘헌옷을 벗고 내 몸에 맞는 새 옷을 입은 듯 삶이 홀가분해진’(「무채색」) 기분으로 ‘실가지 끝에 맺혀 추운 겨울을 지내온 꽃눈과 잎눈’(「새」)이 기지개를 켜는 봄. 키도 작고 꽃은 더 작은 냉이에게 다가가 무릎 꿇고 한쪽 얼굴을 땅에 대고 ‘우리 마을의 예쁜 것’(「우리 마을에 예쁜 것들은 다 나한테 들킨다」)을 발견하는 시인에게서 천진한 연두를 본다. 동시와 시가 도합 11편, 아포리즘 4편, 나머지는 일기로 구성했다. 김용택의 일기는 어깨에 힘을 주지 않은 자연으로 그 자체가 시이거나 아포리즘이다. 일기와 시의 구분이 없는 시인의 일상이어서 귀하다. 이러하니 시의적절이랄까.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작가의 말 핵심의 전율 7 3월 1일 일기 한봄 13 3월 2일 일기 팥 15 3월 3일 일기 삼짇날 19 3월 4일 일기 새 23 3월 5일 일기 무채색 27 3월 6일 동시 학교 31 3월 7일 아포리즘 봄 물소리처럼 가난하게 서보자 33 3월 8일 일기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피아노 41 3월 9일 일기 기분 좋은 맛을 우려내준 슬픔 45 3월 10일 일기 새들 49 3월 11일 동시 아무렇지 않게 55 3월 12일 일기 첫발 59 3월 13일 동시 물고기 살려! 63 3월 14일 시 사랑에 대하여 65 3월 15일 아포리즘 시인에게 죽은 것은 하나도 없다 69 3월 16일 일기 이게 맞는지 모르겠다 79 3월 17일 동시 우리 마을에 예쁜 것들은 다 나한테 들킨다 83 3월 18일 일기 할머니가 꽃을 혼낸 날 87 3월 19일 동시 까치 눈이 캄캄해요 97 3월 20일 일기 춘분 101 3월 21일 시 시와 제목 사이 105 3월 22일 아포리즘 그러나 사람보다 큰 책은 없다 109 3월 23일 시 사랑 말고는 뛰지 말자 117 3월 24일 동시 이슬과 별 121 3월 25일 일기 모든 자연은 지금 자라고 있다 125 3월 26일 일기 이 작은 집이 나의 시다 133 3월 27일 시 그때 137 3월 28일 일기 걱정이야 141 3월 29일 아포리즘 나는 저 앞산을 끝내 모르리라 145 3월 30일 동시 미안해요 155 3월 31일 일기 돌이 돌의 얼굴을 찾았을 때 157

Description

● 편집자의 책소개 2025년 난다의 시의적절, 그 세번째 이야기! 시인 김용택이 매일매일 그러모은 3월의, 3월에 의한, 3월을 위한 단 한 권의 읽을거리 열두 시인의 열두 달 릴레이. 2024년 매월 매일 하나의 이름으로, 365가지 서로 다른 이야기로 꼭 채워온 시의적절 시리즈 2025년 3월의 주인공은 김용택 시인이다. 1월이 가고 2월이 가고 이제 우리 나이 일흔여덟 살의 3월로 돌아온 김용택. 전북 임실의 진메마을에서 나고 자라 지금도 그곳에 살며 섬진강을 걷는 그다. 시인은 꽃들을 따라다니며 작은 생명들 곁에 엎드려 시를 쓴다. 죽은 가지는 부러뜨리고 마른 풀은 쓰러뜨리는 차고 힘찬 바람이 부는 3월. 잡목 숲 실가지들의 색깔이 달라지고 딱따구리들이 나무 쪼는 소리가 많아지는 봄. 그것은 나무껍질이나 썩은 나무 속에 벌레들의 움직임이 달라졌다는 뜻이다(「새들」). ‘헌옷을 벗고 내 몸에 맞는 새 옷을 입은 듯 삶이 홀가분해진’(「무채색」) 기분으로 ‘실가지 끝에 맺혀 추운 겨울을 지내온 꽃눈과 잎눈’(「새」)이 기지개를 켜는 봄. 키도 작고 꽃은 더 작은 냉이에게 다가가 무릎 꿇고 한쪽 얼굴을 땅에 대고 ‘우리 마을의 예쁜 것’(「우리 마을에 예쁜 것들은 다 나한테 들킨다」)을 발견하는 시인에게서 천진한 연두를 본다. 동시와 시가 도합 11편, 아포리즘 4편, 나머지는 일기로 구성했다. 김용택의 일기는 어깨에 힘을 주지 않은 자연으로 그 자체가 시이거나 아포리즘이다. 일기와 시의 구분이 없는 시인의 일상이어서 귀하다. 이러하니 시의적절이랄까. 노동은 몸을 써서 하는 일, 허리와 팔과 다리를 무리하고 가혹하게 쓰는 일이다. 옛날 어른들이 내 몸이 쇠였다면 진즉 다 닳아져버렸을 것이라는 말을 많이 했다. 쇠보다 더 강한 것이 사람의 몸뚱이다(「이게 맞는지 모르겠다」). 오랫동안 농사를 지으며 평생을 자연 에서 사신 시인의 어머니는 다닥다닥 달린 콩을 따면서 말씀하셨다. 콩 한 개를 심어 이렇게 콩이 다닥다닥 열렸는데도 사람들이 이렇게 못산다고 아우성이라고. 자연과 내가 한몸이고 하나의 핏줄로 이어졌음을 자각하면 그것이 상생임을 시인은 알고 있다(「나는 저 앞산을 끝내 모르리라」). 아무리 좋은 집을 지어도 그 집에 사는 사람들의 마음에 세상을 사랑하는 ‘마음의 집’이 없으면 무슨 소용일까(「그러나 사람보다 큰 책은 없다」). ‘가난과 약함과 슬픔에 한없이 고개 숙여지고 약해지는 나를 본 날’ ‘마음과 마음이 닿아 사랑을 불러내고 사랑이 닿아 눈물이 오고 눈물이 기쁨이 된다’(「기분 좋은 맛을 우려내준 슬픔」). 그에게 시는 반짝이지 않고 지긋한 것. 너무 깊고 깊은 데 있어 손은 닿지 않고 영혼만이 길어올 수 있다(「시인에게 죽은 것은 하나도 없다」). 자기처럼 보이지 않는 작은 비가 와야 받아드는 이끼꽃. 자기 힘으로 들고 있을 수 있을 만한 크기와 무게를 받아 달고 있는 모습을 보며 자연은 휘어지지 않을 고통의 특이점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배운다(「할머니가 꽃을 혼낸 날」). ‘얼마나 작은 일로 우리는 생사를 건 씨름을 하는가’(「첫발」) ‘겨울날 아침 펑펑 내리는 눈송이만큼 중요하지도 않는 것으로 싸우고 죽는 우리’(「봄 물소리처럼 가난하게 서보자」)에게 이 한 권의 봄은 선연한 슬픔으로 아름답다. 환히 웃으며 경쾌히 뛰어가는 모습을 담은 표지 사진은 장우철 작가의 <할아버지 산소 가는 길, 논산>(2015)이다. “문학을 왜 하는가? 살아야지. 죽어도 괜찮다는 하루를 나는 그냥 살 뿐이다. 내게 문학은 최고의 삶을 사는 일이다.”(153쪽) 바람에 대해서 아침 바람과 저녁 바람과 때늦은 봄바람의 꽃샘추위에 대해서 몰려다니는 여름 구름에 대해서 햇살에 대해서 비와 눈과 서리와 이슬에 대해서 느티나무 단풍과 팽나무 새싹과 앵두나무 우물가에 앵두 같은 입술에 대해서 봄맞이, 냉이, 광대살이, 씀바귀, 개불알꽃들에 대해서 가을 노란 산국에 대해서 산수국꽃에 앉은 부전나비에 대해서 우리가 생각하고 말하고 기억하고 그 꽃들이 피고 지는 날에 대해서 그 유일무이했던 날들에 대해서 그런 것들로 사랑을 예감하고 사랑을 나누던 풀밭에 바람을 잡고 이별을 통보하고 앉아 울고 금이 간 두 손을 잡고 울고 사랑은 가고 그 사랑에 대하여 ─「사랑에 대하여」 전문 ◎ ‘시의적절’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시詩의 적절함으로 시의적절時宜適切하게! 제철 음식 대신 제철 책 한 권 난다의 ‘시의적절’ 시리즈는 2025년에도 계속됩니다. 열두 명의 시인이 릴레이로 써나가는 열두 권의 책. 매일 한 편, 매달 한 권, 1년 365가지의 이야기. 시인에게 여름은 어떤 뜨거움이고 겨울은 어떤 기꺼움일까요. 시인은 1월 1일을 어찌 다루고 시의 12월 31일은 어떻게 다를까요. 하루도 빠짐없이, 맞춤하여 틀림없이, 매일매일을 시로 써가는 시인들의 일상을 엿봅니다. 시인들에게 저마다 꼭이고 딱인 ‘달’을 하나씩 맡아 자유로이 시 안팎을 놀아달라 부탁했습니다. 하루에 한 편의 글, 그러해서 달마다 서른 편이거나 서른한 편의 글이 쓰였습니다. (달력이 그러해서, 스물여덟 편 담긴 2월이 있기는 합니다.) 무엇보다 물론, 새로 쓴 시를 책의 기둥 삼았습니다. 더불어 시가 된 생각, 시로 만난 하루, 시를 향한 연서와 시와의 악전고투로 곁을 둘렀습니다. 요컨대 시집이면서 산문집이기도 합니다. 아무려나 분명한 것 하나, 시인에게 시 없는 하루는 없더라는 거지요. 한 편 한 편 당연 길지 않은 분량이니 1일부터 31일까지, 하루에 한 편씩 가벼이 읽으면 딱이겠다 합니다. 열두 달 따라 읽으면 매일의 시가 책장 가득하겠습니다. 한 해가 시로 빼곡하겠습니다. 일력을 뜯듯 다이어리를 넘기듯 하루씩 읽어 흐르다보면 우리의 시계가 우리의 사계(四季)가 되어 있을 테지요. 그러니 언제 읽어도 좋은 책, 따라 읽으면 더 좋을 책! 제철 음식만 있나, 제철 책도 있지, 그런 마음으로 시작한 기획입니다. 그 이름들 보노라면 달과 시인의 궁합 참으로 적절하다, 때(時)와 시(詩)의 만남 참말로 적절하다, 고개 끄덕이시라 믿습니다. 1월 1일의 일기가, 5월 5일의 시가, 12월 25일의 메모가 아침이면 문 두드리고 밤이면 머리맡 지킬 예정입니다. 그리 보면 이 글들 다 한 통의 편지 아니려나 합니다. 매일매일 시가 보낸 편지 한 통, 내용은 분명 사랑일 테지요. [ 2025 시의적절 라인업 ] 1월 정끝별 / 2월 임경섭 / 3월 김용택 / 4월 이훤 / 5월 박세미 / 6월 이우성 7월 박지일 / 8월 백은선 / 9월 유계영 / 10월 김연덕 / 11월 오병량 / 12월 고선경 * 사정상 필자가 바뀔 수도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 2025년 시의적절의 표지는 글과 사진을 다루는 작가 장우철과 함께합니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