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권 사각지대 초단시간 노동자

조돈문 and 3 others
336p
Where to buy
Rate
3.8
Average Rating
(2)
초단시간 노동자들은 근로기준법 등의 보호 제외 규정들로 인해 합법적 차별처우를 받고 있다. 정규직은 물론 여타 비정규직 범주들보다 훨씬 더 열악한 고용·노동조건에 처해 있으리라는 점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이러한 초단시간 노동자들의 급격한 규모 팽창 추세 속에서도 체계적인 학술연구들은 극히 제한적으로 수행됐다. 이렇듯 초단시간 노동자들이 합법화된 차별처우 속에서 열악한 노동조건과 인권유린을 겪고 있음은 자명한데, 그 규모가 확대일로에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어떤 동기로 초단시간 노동을 사용하는지, 어떤 메커니즘으로 초단시간 노동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지, 어떤 인구학적 속성을 지닌 노동시장 집단들이 초단시간 노동을 수행하고 있는지, 초단시간 노동자들이 차별처우를 받는 초단시간 노동을 왜 선택하게 됐는지는 불분명하다. 『노동권 사각지대 초단시간 노동자』는 이러한 물음에 답변한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04 1장 들어가는 말 (조돈문 정흥준) 13 1. 초단시간 노동자 규모의 급팽창 14 2. 제한적 선행연구 15 3. 연구목적 및 과제 17 4. 연구방법 19 2장 한국의 초단시간 노동시장 분석 (김영미 문지선) 21 1. 들어가는 말 22 2. 초단시간 노동자의 인구학적 특성 25 3. 산업·직업·기업규모별 초단시간 노동 고용규모 추이 37 4. 초단시간 노동시장의 노동조건 44 5. 맺음말 55 3장 초단시간 노동의 국내 법·제도 실태 및 쟁점 (남우근) 67 1. 들어가는 말 68 2. 국내 초단시간 노동 관련법 규정 70 3. 초단시간 노동 관련 판례 78 4. 정부의 시간제 일자리 정책 평가 81 5. 초단시간 노동의 법·제도적 쟁점 87 4장 초단시간 노동 해외법제 검토 (김근주) 99 1. 우리나라의 입법적 특성 100 2. 국제기준의 초단시간 노동자 규율 102 3. 각 국가별 초단시간 노동자의 법적규율 115 4. 시사점 128 5장 초단시간 노동자 실태 설문조사 분석 (조돈문) 131 1. 들어가는 말 132 2. 자료 설명과 업종군 분류 : 4업종군의 노동시장 분절과 인구학적 특성 133 3. 초단시간 노동의 선택과 고용계약 실태 139 4. 초단시간 노동자의 노동조건 : 노동시간과 임금 151 5. 초단시간 노동자의 노동과정과 부당한 처우 경험 160 6. 초단시간 노동자 사회보험과 노동복지 170 7. 초단시간 노동자의 주관적 평가와 대응 179 8. 맺음말 184 6장 초단시간 노동자의 노동기본권 침해 사례조사 193 1. 초단시간 일자리의 노동·인권 실태 (정흥준) 194 2. 노인일자리 초단시간 노동 사례 (황선웅) 206 3. 방과후 코디네이터 초단시간 노동 사례 (정흥준) 223 4. 가사관리사 초단시간 노동 사례 (정흥준) 232 5. 편의점 초단시간 노동 사례 (최혜인) 247 6. 음식점 초단시간 노동 사례 (황선웅) 265 7. 프랜차이즈 외식업 초단시간 노동 사례 (남우근) 278 8. 커피전문점 초단시간 노동 사례 (노성철) 287 7장 초단시간 노동 실태와 정책대안 (조돈문) 301 1. 초단시간 노동 실태 302 2. 초단시간 일자리의 문제점과 정책대안 304 <참고문헌> 328 <색인> 332

Description

주당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노동자들은 초단시간 노동자로 불린다. 유급 주휴일과 연차유급휴가뿐만 아니라 퇴직금, 기간제 기간제한, 산재보험을 제외한 여타 사회보험 수혜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단시간 노동자 규모는 2002년과 2015년 사이 160%나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전일제 노동자 규모 증가율이 33%에 불과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시간 노동자 규모가 급팽창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단시간 노동자 가운데 일반단시간 노동자 규모는 137% 증가해 전체 단시간 노동자 증가율에 못 미쳤다. 반면 초단시간 노동자 규모 증가율은 214%를 기록해 전체 단시간 노동자 증가율을 크게 상회함으로써 전체 단시간 노동자 규모 팽창 추세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해 준다. 초단시간 노동자들은 근로기준법 등의 보호 제외 규정들로 인해 합법적 차별처우를 받고 있다. 정규직은 물론 여타 비정규직 범주들보다 훨씬 더 열악한 고용·노동조건에 처해 있으리라는 점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이러한 초단시간 노동자들의 급격한 규모 팽창 추세 속에서도 체계적인 학술연구들은 극히 제한적으로 수행됐다. 이렇듯 초단시간 노동자들이 합법화된 차별처우 속에서 열악한 노동조건과 인권유린을 겪고 있음은 자명한데, 그 규모가 확대일로에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어떤 동기로 초단시간 노동을 사용하는지, 어떤 메커니즘으로 초단시간 노동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지, 어떤 인구학적 속성을 지닌 노동시장 집단들이 초단시간 노동을 수행하고 있는지, 초단시간 노동자들이 차별처우를 받는 초단시간 노동을 왜 선택하게 됐는지는 불분명하다. 『노동권 사각지대 초단시간 노동자』는 이러한 물음에 답변한다. 『노동권 사각지대 초단시간 노동자』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축약할 수 있다. 첫째, 초단시간 노동자의 규모 및 실태 파악이다. 둘째, 초단시간 노동 관련 법·제도 검토다. 셋째, 초단시간 노동자들의 노동조건 및 인권상황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책은 국가인권위원회와 한국비정규노동센터가 공동으로 기획해 추진한 초단시간 비정규직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의 성과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문헌연구,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 등을 통해 진행했다.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는 구조화된 절차에 따랐다. 초단시간 노동자들의 포괄적인 노동실태 및 노동조건과 개인의 노동자성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조사하기 위해 초단시간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대면적 면접법과 자기기입식 방법을 혼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초단시간 노동자들의 절반 정도가 5인 미만 사업장에 분포해 있음을 감안해 한국비정규직노동단체네트워크와 공동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또한 설문조사 내용을 보완하고 계량적 분석으로 파악하기 힘든 구체적인 계약과정 및 노동과정을 추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심층면접 조사를 했다. 설문조사를 활용한 양적조사는 생산현장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초단시간 노동자의 노동조건과 작업과정은 물론 사용자의 부당하고 불공정한 조치들이 집행되고 노동인권이 유린되는 메커니즘을 포착하는 데 주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