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교와 헬레니즘

마르틴 헹엘 · Humanities
392p
Where to buy
content
Rate
2.5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서구문명과 기독교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그것의 기원은 통상적으로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 자체가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진 종교·문화사적 개념이기에 그 실체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독일의 저명한 신약성서학자이자 고대유대교 연구의 석학 마르틴 헹엘(Martin Hengel)은 이 거대한 종교·문화사적 기원에 대한 질문들을 이 방대한 저서에서 ‘유대교’와 ‘헬레니즘’이라는 키워드로 풀어낸다. 저자는 이 책에서 유대교의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세밀한 역사적 사건들과 결부시켜 해석하는데, 고대시대의 비문과 문헌, 구약성서의 정경(政經)과 외경(外經) 등 매우 전문적인 자료들을 통하여 분석한 후, 다시 유대교의 종교사상을 신학적으로 깊이 파고든다.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바로 서양고대사와 문화사를 통해서 유대교와 기독교 신학의 근간이 되는 토라와 지혜, 묵시사상을 해석해내는 데 있다. 현재 한국의 학계에서 이시기 팔레스타인의 사상을 이토록 전문적으로 고증해낸 연구서는 없었다. 이 책은 그를 가히 세계적인 석학의 자리로 이끌 만한 깊이를 보여주고 있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권 추천사 / 김세윤 7 옮긴이 머리말 15 제3판 머리말 29 제2판 머리말 37 제1판 머리말 39 서론 41 제1부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와 초기 헬레니즘 문명의 만남 제1장 팔레스타인의 역사적 틀: 프톨레마이오스와 셀레우코스 왕조의 전략적 요충지 55 제2장 그리스-헬레니즘적 군무(軍務)와 유대인 77 제3장 헬레니즘적 지배하 팔레스타인의 행정과 세금 97 1.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행정과 과세 조직 97 2.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행정과 유대 성전국가 113 3. 당시 유대인이 평가하는 국가권력 133 제4장 팔레스타인의 무역, 경제, 사회제도에 미친 헬레니즘의 영향 143 1. 헬레니즘 이전시대의 그리스 영향 143 2. 프톨레마이오스 통치영역의 경제적, 사회적 상황 153 3. 프톨레마이오스 통치하 팔레스타인의 경제적 발전 165 4.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에 준 영향 191 제5장 요약: 팔레스타인의 비종교적 세력으로서의 헬레니즘 문명 211 제2부 헬레니즘의 문화적 위력과 팔레스타인의 유대인에게 미친 영향 제1장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와 그리스어 221 1. 팔레스타인에서 그리스어의 확산 221 2. 그리스식 이름의 확산 230 제2장 그리스 교육과 교양교육, 팔레스타인 유대교 243 1. 헬레니즘과 교육의 영향력 243 2. 팔레스타인의 그리스 교육과 교양교육 및 유대교에 준 영향 258 보설(補說) 1. 유대교 학교의 발전에 대하여 279 제3장 팔레스타인의 그리스 문학과 철학 293 1. 비유대 팔레스타인과 페니키아에 준 헬레니즘의 정신적 영향 293 2. 그리스어로 기록된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문학 309 보설(補說) 2. 헬레니즘시대 유대·팔레스타인의 역사기술 344 제4장 요약: ‘헬레니즘적 유대교’로서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357 부 록 367 2권 제3부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와 헬레니즘적 시대정신의 만남과 대결 제1장 구약정경의 후기 히브리문학에서 나타난 이른바 그리스 영향 15 제2장 초기 헬레니즘시기 유대 문학의 발전 21 제3장 전도서와 유대 종교 위기의 시작 35 보설(補說) 3. ‘전도자’와 솔로몬 77 제4장 벤 시라와 예루살렘의 헬레니즘적 자유사상가의 대결 83 1. 벤 시라의 생애와 작품형식, 예루살렘의 정치·사회적 상황 83 2. 벤 시라와 헬레니즘적 자유사상가의 대결 100 제5장 유대·헬레니즘적 사고의 만남: 유대교의 지혜문학적 사변 139 1. 잠언 8:22f.와 욥기 28장의 인격화된 지혜 139 2. 지혜와 창조론의 결합 150 3. 벤 시라의 ‘지혜’ 153 4. 잠언 8:22-31의 그리스어 번역 165 5. 알렉산드리아의 첫 유대교 ‘철학자’ 아리스토불로스의 창조와 지혜사상 171 6. 바리새·랍비 유대교의 지혜와 토라 189 제6장 하시딤과 유대교 묵시사상의 첫 번째 절정 209 1. 헬레니즘적 개혁시기의 유대 당파(黨派) 하시딤 209 2. 유대교 묵시사상의 첫 절정 226 보설(補說) 4. ‘계시를 통한 고등지혜’: 후기고대 종교성의 특징 306 제7장 초기 에센주의 327 1. 초기 에센주의 신학 327 2. ‘의의 교사’와 헬레니즘적 개혁으로 일어난 위기 346 3. 에센파 교의의 새로운 발전과 이방적인 영향 357 보설(補說) 5. 태고시기에서 유래한 비밀교의 403 4. 에센파 공동체의 형태와 피타고라스주의의 영향에 관한 문제 408 제8장 요약: 헬레니즘에 대한 수용과 저항 사이의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421 부 록 439 3권 제4부 유대교의 ‘그리스적 해석’과 예루살렘의 그리스어사용 유대인의 개혁시도 제1장 최초의 그리스 증언들: ‘철학자’ 유대인 11 제2장 유대교의 하나님과 그리스적 신 관념의 동일화 29 제3장 예루살렘의 헬레니즘적 개혁시도와 실패 53 1. 토비아스와 오니아스 가문 53 보설(補說) 6. 요르단 동쪽의 히르카노스 67 2. 예루살렘의 헬레니즘적 개혁: 기원전 167년 초 아크라의 건립까지 80 3. 종교칙령과 안티오코스 4세, 유대의

Description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문명에서 발원하여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정벌로 형성된 동서양 문명복합체였다. 그런가하면 고대 이스라엘 종교적 전통에서 발원한 유대교는 이 시기 팔레스타인에서 헬레니즘에 대하여 저항과 동화의 과정을 통하여 ‘헬레니즘적 유대교’라는 형태로 틀을 잡아가고 있었다. 저자는 이것이 고대 기독교의 산실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19세기 이후 서구의 종교학과 성서신학의 드넓은 토양을 제공했던 종교사학파의 명제에 대한 결정적인 반론이다. 요컨대, 기독교는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의 혼합주의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기독교의 모태는 ‘헬레니즘적 유대교’요, 이 시기 유대교의 종파적 개혁운동의 결과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후, 그 후계자들인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와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왕국의 틈바구니 속에서 유대인들은 로마의 지원과 국내의 하시딤의 지원을 받아 마카베오 항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원전 143∼63년까지 팔레스타인에서 이른바 ‘유대성전국가’라는 독립된 왕국을 형성할 수 있었다. ‘세계화’된 헬레니즘에 의해 지중해 연안이 하나의 경제권과 문화권으로 통합되면서 당시 팔레스타인은 헬레니즘 제국들이 추진하는 ‘국가자본주의’에 깊이 편입되고 있었다. 군사와 경제가 혼합된 통치체제는 일상화된 착취체제를 만들어 놓았다. 거대한 국부(國富)의 유출사슬은 예루살렘 중심의 귀족 정치가들에게서 시작되어 가장 말단에 있는 세금관리들에 의해 완결되었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