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Ⅰ. 최초의 미술 (선사 시대) 회화 - 암각화에 담은 고대인의 염원 도자 - 선사 토기의 기원과 확산 최초의 추상미술 : 신석기 시대 토기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의 여러 형식 도제술의 발달과 경질토기의 등장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고인돌 공예 - 섬세한 미감, 청동기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청동 잔무늬 거울 Ⅱ. 불교미술의 시작 (삼국 시대) 회화 - 죽은 자를 위한 벽화 영화로운 삶의 기록 : 4세기~5세기 초 불교와 풍속 장면 : 5세기 중엽~6세기 사신과 수목 : 6세기 말~7세기 전반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사신도 바다를 건너간 화가들 조각 - 불교의 전래와 초기 불상 고졸한 미, 불상의 등장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토우 미래의 화신, 미륵신앙의 반가사유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반가사유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석가의 본생과 일생 사방으로 열린 부처의 세계 : 사방불의 연원과 의미 도자 - 다양한 토기문화의 전개 원삼국 토기의 계승과 중국 도자의 영향 : 고구려와 백제 경질토기의 발달 : 신라와 가야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토기 기마인물형 굽 달린 잔 공예 - 무덤 속에서 발견된 화려한 금관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백제 금동 대향로 건축 - 사찰의 건립과 초기 가람 배치 1탑 3금당식 가람 배치와 팔각목탑 : 고구려 1탑 1금당식 가람 배치와 불교건축술의 일본 전파 : 백제 고구려와 백제 건축술의 전래 : 신라 석조 - 조적식 탑과 결구식 탑 목탑에서 석탑으로 신라 석탑의 발전 Ⅲ. 불교미술의 황금시대 (남북국 시대) 회화 - 영화로운 시대의 회화 서경에 전채서를 두다 불교회화 : 변상도와 승상 동북아시아를 통합한 발해의 회화 조각 - 불교조각의 황금기 신라 사방불 형식의 수용과 전개 무병장수를 염원하는 불상 : 약사불상 자비의 극치 : 밀교계의 변화관음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석굴암 불상군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본존불은 석가불인가 아미타불인가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십일면관음상 국제적 불상 양식의 등장과 유행 부처의 진신이자 법신불 : 비로자나불상 옛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불교조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재료에 따른 불상의 종류 도자 - 고대 토기문화의 절정 회청색 경질토기의 전성기 시유도기 : 연유와 회유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안압지 공예 - 불교의식 때 사용하는 법구 불전사물이란 무엇인가 건축 - 불교건축의 전성기 평지가람과 산지가람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불국사 석조 - 삼층석탑의 시원 남북국 시대 신라 석탑의 변화 과정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조탑경의 전래와 유행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사리장엄구 석조미술의 황금기 발해의 석조미술 Ⅳ. 우아한 귀족문화 (고려 시대) 회화 - 불교회화의 전성기 불교회화의 정수 : 현세와 내세의 안락을 기원하다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어제비장전 판화 일반 회화의 발달 초상화를 그려 봉안하다 문인화가의 등장 조각 - 변화된 불상의 모습 철조 불상의 일시적인 유행 ‘왕이 곧 부처’라는 사상에 따른 거불의 조성 단정하면서도 온화한 석조 보살상 궁정 취향의 화려한 라마계 금동 불상 도자 - 청자의 시대 고려청자의 탄생 : 월주요 청자와 초기 청자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고려청자의 가마터 분포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청자의 종류 청자문화 확산과 순청자의 절정 상감청자와 다양한 장식기법의 유행 청자의 쇠퇴와 간지명 상감청자 공예 - 불 보살에게 바치는 공양구 건축 - 귀족적이며 단아한 선종적 불교건축 사찰의 대형화와 산지가람의 증가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석조 - 지역적 특성을 띠는 석탑의 출현과 발전 지역적으로 분화된 탑파 양식 다양한 석조미술의 탄생 승탑 형태의 변화 Ⅴ. 풍요로운 문인문화의 정착 (조선 시대) 회화 - 종교를 벗어나 인간과 자연으로 조선 전반기 : 정치적 소용돌이와 회화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몽유도원도 감상법 인간과 어우러진 자연의 미학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소상팔경도 · 계회도 정신적 이상미를 추구한 초상화 천진난만함과 고상함이 담긴 영모화조화 조선 후반기 : 민족적 자아의식의 형성과 문예부흥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진경산수화가들 동시대의 삶을 화폭에 담다 : 풍속화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김홍도 · 신윤복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도석화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통신사행렬도 화조동물화의 세계 중서계층의 등장과 조선 말기 화단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김정희의 제자들 조각 - 억불숭유 정책 속의 불교조각 왕실과 비빈들이 후원한 불교조각 소조 불상과 목조 불상의 유행 입체적인 부처의 세계 : 목각탱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사대부 묘의 능묘조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조선 왕릉의 능묘조각 도자 -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고려 상감청자의 새로운 모습 : 분청사기 관요의 설치와 백자 제작 한국미술 들여다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