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개정판 서문 _살아있는 한국의 신화, 과거에서 미래로 초판 서문 _우리 신화를 찾아서 제1부 신화, 그리고 신 첫째 거리 _신화의 원형, 창조 신화의 숨결 혼돈에서 세상이 열리고 하늘에서 인간이 내리다 │ 천지왕과 수명장자, 대별왕과 소별왕, 태초에 싸움이 있었다│ 사라진 창조 여신의 자취를 찾아서 둘째 거리 _신화, 존재와 운명의 서사 원천강의 오늘이, 존재의 문을 열다 │ 딸에서 여자로 어머니로 그리고 삼신으로, 당금애기의 운명 셋째 거리 _신이라고 하는 존재들 삼승할망 자리를 다툰 신의 딸과 인간의 딸 │ 대별상 어전또, 처녀 신 삼승 할망 앞에 무릎 꿇다 │ 무서운 질병의 신 명신손님의 두 얼굴 제2부 삶과 죽음, 삶 너머의 삶 넷째 거리 _어둠의 사자를 맞이하는 법 백년해골을 모신 사만이와 저승 삼차사 │ 몰인정했던 사마장자는 어떻게 죽음을 면했나 다섯째 거리 _저 너머 아득한 곳 또 다른 세상 망자의 저세상 가는 길, 무간지옥과 시왕 극락 사이 │ 신비의 꽃 세상 서천꽃밭을 찾아간 할락궁이 여섯째 거리 _이승과 저승, 그 사이의 인간 이승과 저승을 오고간 허웅애기 │ 매일 장상의 저승 궤에 재물이 가득한 이유 │ 저세상의 도랑선비, 이 세상의 청정각시 일곱째 거리 _바리, 이것이 신화다 바리공주, 버림받아 떠도는 넋들의 신 │ 죽음을 생명으로 바꾼 바리데기의 기나긴 여정 제3부 신화와 인생 여덟째 거리 _부모와 자식으로, 한 인간으로 산다는 것 무정한 아비 칠성님의 유정한 자식 칠형제 │ 막내딸 가믄장아기, 집을 떠나 홀로 서다 아홉째 거리 _욕망과 사랑 사이, 신화 속의 남과 여 일문관 바람웃도와 자매 여신 고산국 지산국 │ 자청비와 문도령, 자청비와 정수남, 그들의 파란만장한 이야기 열째 거리 _우리 신화의 주역은 여성이다 시험에 대처하는 황우양씨와 막막부인의 자세 │ 대책 없는 남편 궁상이의 달 같은 아내 명월각시 열한째 거리 _사내들의 서사, 영웅 신화의 숨결 염라왕을 잡으러 저승으로 간 용사 강림 │ 바다와 대륙을 평정한 거침없는 영웅 궤네깃또 열두째 거리 _백두와 한라의 영웅들 백두산 천지를 지켜낸 두 영웅 │ 해를 삼킨 흑룡과 삼태성 삼형제 │ 백두폭포에 깃든 저항의 기백 │ 백조애기와 금상, 신은 한라로 깃들다 │ 압제받는 이들의 신, 양이목사와 고대장 제4부 우리 곁의 신, 우리 안의 신 열셋째 거리 _신은 어디에도, 어둠 속에도 있다 땅귀 삼두구미, 또는 타나토스 │ 조왕신 여산부인과 측간신 노일저대 │ 소수자 도깨비신들의 초상 │ 불운의 신 지장, 그 또한 신이다 열넷째 거리 _신성은 어디서 어떻게 오는가 황토섬을 방황하던 안심국이 신이 된 내력 │ 광청아기의 슬픈 신성 │ 거북이와 남생이 형제의 금빛 발걸음 새로 여는 이야기 _우리 가는 길 신화가 되리 부록 _한국 민간 신화의 주요 신 참고한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