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비나무의 노래

마틴 슐레스케 and other · Essay
23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0(19)
Rate
4.0
Average Rating
(19)
독일의 바이올린 장인 마틴 슐레스케가 작업장에서 길어 올린 365개의 맑은 생각과 세계적인 사진작가 도나타 벤더스가 찍은 52장의 인상적인 사진이 만나 한 권의 아름다운 명상 책을 빚어냈다. 마틴 슐레스케는 자기 일을 소명으로 여기고 사랑하는 사람이다. 그는 고지대에서 비바람을 이기고 단단하게 자란 가문비나무를 찾아 나서는 일부터, 어렵게 찾은 '노래하는 나무'를 깎고 다듬고 칠해 바이올린으로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인생을 성찰한다. 그는 모든 인간이 저마다의 울림을 지닌 악기라고 거듭 강조한다. 더러 악기의 음이 흐트러질 수 있지만, 그렇다고 그 악기가 완전히 가치를 잃는 것은 아니다. 악기를 조율하면 다시 아름다운 소리가 나지 않는가. 사람도 마찬가지다. 악기처럼 내면을 잘 조율한 사람은 겸손하면서도 당당하며, 진실로 사랑할 줄 안다. 또한 형태가 완벽한 바이올린이 꼭 좋은 울림을 내는 것이 아니듯, 매사에 완벽하고 비난할 것 없는 삶에 반드시 아름다운 울림이 깃드는 것도 아니다. 울림은 자기 삶에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 때 생긴다. 저자는 지금 우리가 있어야 할 자리가 어디이며, 살아가는 동안 추구하고 싶은 소중한 가치가 무엇인지 묻고 또 묻는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4.0(19)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4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005 ·가문비나무의 지혜 … 013 ·노래하는 나무를 찾아서 … 017 ·체념과 실망 … 021 ·거룩한 나무 … 025 ·정신의 광합성 … 029 ·조화로운 대립 … 033 ·일정한 흐름 그리고 파격 … 037 ·사랑받는 사람의 자신감 … 041 ·중용과 대립 … 045 ·공간을 여는 울림 … 049 ·은혜와 일 … 053 ·내버려 둠과 형상화 … 057 ·때로는 방해받으며 … 061 ·당신은 사랑받는 사람 … 066 ·진리와 자비 … 071 ·노예가 아니라 봉사자로 … 075 ·삶에 입맞춤하며 … 079 ·장인의 지혜 … 083 ·나무를 존중하며 … 087 ·창조와 작도 … 091 ·직선에는 하느님이 없습니다 … 095 ·울림 있는 삶으로 … 099 ·부단한 연습 … 103 ·우리는 신의 악기입니다 … 107 ·소명의 삶으로 … 112 ·형태와 울림 … 117 ·작곡가와 연주자 … 121 ·사랑과 수난 … 125 ·자동 피아노 … 129 ·잡초와 알곡 … 133 ·조율된 악기 … 137 ·정련 … 141 ·사랑의 줄에 매여 … 145 ·샤콘 … 149 ·창조적인 불안 … 153 ·의심과의 대화 … 157 ·울타리를 넘어 … 161 ·은혜의 선물 … 166 ·역설 속의 진리 … 171 ·고통의 한가운데 … 175 ·진리에 금 긋기 … 179 ·숨어 있던 곳을 떠나 … 183 ·좋은 혼합법의 비밀 … 187 ·에너지를 내주며 … 191 ·하늘과의 상호 작용 … 195 ·치유에 이르는 자기 망각 … 199 ·참회의 장소 … 203 ·소망 … 208 ·교향곡 … 213 ·신학자와 예술가 … 217 ·삶의 원칙 … 221 ·삶에 제동 걸기 … 225 ·옮긴이의 말 … 230

Description

바이올린 장인이 작업장에서 길어 올린 365개의 맑은 생각!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풍성한 통찰이 잔잔한 울림으로 다가온다. 독일의 바이올린 장인 마틴 슐레스케가 작업장에서 길어 올린 365개의 맑은 생각과 세계적인 사진작가 도나타 벤더스가 찍은 52장의 인상적인 사진이 만나 한 권의 아름다운 명상 책을 빚어냈다. 마틴 슐레스케의 바이올린 제작 과정은 그 자체로서 예술이자, 소명이며, 인생의 비유다. 여기에 바이올린 탄생 과정의 아름다운 순간을 포착한 사진들이 저자의 깊이 있는 문장들과 어우러져 독자의 가슴에 잔잔한 울림으로 와 닿는다. “우리의 울림은 기계처럼 완벽하지는 않지만, 생명이 숨 쉰다. 악기는 결코 자기 가치를 잃지 않는다.” 마틴 슐레스케는 자기 일을 소명으로 여기고 사랑하는 사람이다. 그는 고지대에서 비바람을 이기고 단단하게 자란 가문비나무를 찾아 나서는 일부터, 어렵게 찾은 ‘노래하는 나무’를 깎고 다듬고 칠해 바이올린으로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인생을 성찰한다. 그는 모든 인간이 저마다의 울림을 지닌 악기라고 거듭 강조한다. 더러 악기의 음이 흐트러질 수 있지만, 그렇다고 그 악기가 완전히 가치를 잃는 것은 아니다. 악기를 조율하면 다시 아름다운 소리가 나지 않는가. 사람도 마찬가지다. 악기처럼 내면을 잘 조율한 사람은 겸손하면서도 당당하며, 진실로 사랑할 줄 안다. 또한 형태가 완벽한 바이올린이 꼭 좋은 울림을 내는 것이 아니듯, 매사에 완벽하고 비난할 것 없는 삶에 반드시 아름다운 울림이 깃드는 것도 아니다. 울림은 자기 삶에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 때 생긴다. 저자는 지금 우리가 있어야 할 자리가 어디이며, 살아가는 동안 추구하고 싶은 소중한 가치가 무엇인지 묻고 또 묻는다. 그 물음에 답하듯 일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깨어 있다 보면 우리 삶은 특별한 의미가 담긴 ‘카이로스’의 순간들로 채워질 것이다. “나중에 돌아볼 때 삶을 가치 있게 하는 것은 우리가 보낸 세월의 양이 아니라, 얼마나 충만한 시간을 보냈느냐 하는 것이다.” 《가문비나무의 노래》는 아름다운 울림을 지닌 삶을 살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하루하루 마음을 조율할 수 있도록 지혜와 영감을 주는 고마운 책이다. 또, 살면서 부딪히는 뜻밖의 어려움 앞에서 길을 잃었을 때, 마음을 다잡고 다시 나아갈 수 있도록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등대 같은 책이다. 이 책에 담긴 하루하루의 생각은 읽는 이로 하여금 소명을 의식하며 매 순간 충만한 삶을 살도록 고무한다. 그의 생각은 기독교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실용적이고 윤리적이며,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풍성한 통찰은 기독교 신자가 아닌 사람도 고요히 자기 삶을 들여다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