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

서명숙
38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3(11)
Rate
3.3
Average Rating
(11)
놀멍 쉬멍(놀며 쉬며) 걷는 길, 꼬닥꼬닥(느릿느릿 천천히) 걷는 길 '제주올레길'. 대한민국에 '올레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장본인, 걷는 길 내는 여자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이 전하는 제주올레를 만드는 사람들 이야기, 제주올레를 사랑한 올레꾼들 이야기, 날마다 올레스럽게 진화 중인 제주올레 이야기들을 담은 책이다. 서명숙의 첫 번째 제주올레 책 <놀멍 쉬멍 걸으멍 제주 걷기 여행>에서는 산티아고 길에서 고향 제주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평화로운 걷는 길을 만들리라는 꿈을 품게 되면서 제주올레길을 한 코스 한 코스 개척해가는 열정과 제주올레 초창기 개척 과정이 펼쳐졌다면, 이 책에서는 그녀의 '올레 스피릿'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들려준다. 제주다움을 보여주는 자연친화적인 길을 낸다는 '올레 스피릿'은 올레길 주변 마을 주민들의 인식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도로 확포장 공사가 숙원사업이고 아스팔트길이 최고인 줄 알던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잊힌 옛길을 복원하고 자연친화적인 길을 새롭게 제안하면서 제주올레길은 오늘도 올레스럽게 진화 중이다. 책에는 관계를 다시 되찾고, 서로 마음을 연 제주올레길의 올레꾼 이야기, 몸과 마음이 아픈 이들이 걸으면서 치유를 받는 치유의 올레길 이야기, 한비야 월드비전 긴급구호 팀장, 조정래 작가, 우리 시대의 스승 리영희 선생과 여성학의 대모 이이효재 선생 등이 제주올레와 인연을 맺은 이야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Rating Graph
Avg3.3(11)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장 당신과 함께 걷기에 이 길이 더 아름다워 특전사, 하늘에서 떨어지다 올레 마스코트 ‘간세’ 탄생기 대포동의 무서운 네 여자 킹 왕 짱 친절맨 그 여자, 순심이 ‘왕뚜껑’ 탐사대장 동급최강 천하무적 7인의 올레 탐사대 2장 육지것, 제주올레를 하영 사랑햄수다 황홀한 중독, 올레병 사랑을 다시 만나다 가족, 그 따뜻하고도 징그러운 이름 바람의 섬을 사랑한 바람의 딸 한비야 내 인생의 두 스승 제주에 마음을 뺏긴 작가 조정래 여자들은 왜 올레를 찾는가 3장 올레답게, 올레스럽게, 올레 스피릿! 서귀포 시내를 어슬렁거리는 즐거움 손빨래 명상의 즐거움 올레 백 배 즐기는 법 올레꾼의 외갓집, 할망숙소 올레꾼이라면 한 번은, ‘클린 올레’ 올레 공화국에서는 ‘올레 패스포트’로 올래? 올래! 서귀포 올레시장 토목공화국에서 ‘길쟁이’로 살아간다는 것 4장 늦어도 괜찮다고 기다려주는 길, 아픈 상처를 보듬어주는 길 놀쉬멍의 지존, 펭귄 원정대 죽으려고 왔는데, 살래요 살고 싶어졌어요 보듬고 쓰다듬고 다독여주는, 설문대할망의 손길 이 길을 걷노라면 가슴이 먹먹해져, ‘다크 올레’ 제주 자연의 비밀 정원, 곶자왈 낮잠 자기 좋은 섬, 가파도 5장 오늘, 내가 꾸는 ‘미친 꿈’ 올레 1호점, 대구올레 혼인지에서 결혼식을 올레길 주민들에게 바치는 선물 ‘1사 1올레’ 길 위의 학교, 올레 아카데미 오늘도 올레길은 올레스럽게 진화 중 세계를 향해, 올레 걷기 축제

Description

제주올레 이사장 서명숙의 신간 『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 대한민국에 ‘올레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장본인 걷는 길 내는 여자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이 전하는 제주올레를 만드는 사람들 이야기, 제주올레를 사랑한 올레꾼들 이야기, 날마다 올레스럽게 진화 중인 제주올레 이야기!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이 자신의 첫 번째 제주올레 책 『놀멍 쉬멍 걸으멍 제주 걷기 여행』(북하우스, 2008)에 이어 신간 『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을 출간했다. 『놀멍 쉬멍 걸으멍 제주 걷기 여행』에서는 23년 기자생활을 접고 홀연히 떠난 산티아고 길에서 고향 제주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평화로운 걷는 길을 만들리라는 꿈을 품게 되면서 제주올레길을 한 코스 한 코스 개척해가는 그녀의 열정과 제주올레 초창기 개척 과정이 유쾌하고 가슴 찡하게 펼쳐졌다면, 이번 신간 『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에서는 그녀의 ‘올레 스피릿’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들려준다. 예전에 제주 할망들은 서둘러 달려오다가 넘어지는 손주들에게 말하곤 했다. “재기재기 와리지 말앙 꼬닥꼬닥 걸으라게(빨리빨리 서둘지 말고 천천히 걸어라).” 대한민국은 너무도 속도가 빠른 나라다. 성적도, 승진도, 집을 넓혀가는 일도, 운동도, 걷기에서도 남보다 빠르기를 원한다. 빨리 가려다 보니 자빠지기도 하고 쓰러지기도 한다. 그런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저 옛날 제주 할망들의 지혜를. “꼬닥꼬닥 걸으라게.” 걷는 길만이 아니라 인생길에서도 마찬가지다. _ 『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 서문 중에서 올레 스피릿 1 안티 공구리 제주올레길을 내는 원칙 첫 번째는 ‘안티 공구리’이다. 기계를 사용해서 길을 내지 않는다,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길을 내지 않는다, 사람 한 명이 지날 수 있는 좁고 아늑한 길을 낸다, 제주의 속살을 보여주는 길을 낸다. 이를 위해 제주올레 탐사대는 ‘손으로’ 돌을 옮기고 땅을 고르고 흙을 다진다. 없는 길을 새로 만들고, 끊어진 길은 잇고, 잊힌 길을 불러낸다. 서동성 제주올레 탐사국장을 위시한 7인의 제주올레 탐사대원들은 폭우가 쏟아지든 와랑와랑(이글이글)한 태양이 작열하든 열흘이고 보름이고 합숙을 하면서 기어코 올레스러운 길을 내고야 만다. (1장 당신과 함께 걷기에 이 길이 더 아름다워 中 과 <동급최강 천하무적 7인의 올레 탐사대>) 제주다움을 보여주는 자연친화적인 길을 낸다는 올레 스피릿은 올레길 주변 마을 주민들의 인식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도로 확포장 공사가 숙원사업이고 아스팔트길이 최고인 줄 알던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잊힌 옛길을 복원하고 자연친화적인 길을 새롭게 제안하면서 제주올레길은 오늘도 올레스럽게 진화 중이다. (5장 오늘, 내가 꾸는 ‘미친 꿈’ 中 <오늘도 올레길은 올레스럽게 진화 중>) 올레 스피릿 2 잘 걷든 못 걷든, 느리든 빠르든, 각자의 속도대로! 제주올레길은 놀멍 쉬멍(놀며 쉬며) 걷는 길, 꼬닥꼬닥(느릿느릿 천천히) 걷는 길이다. 잘 걷든 못 걷든, 느리든 빠르든, 각자의 속도대로 걸으면서 사람들은 길 위에서 치유 받고, 위로 받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진정한 행복을 맛본다. 제주올레길에서 올레꾼들은 관계를 다시 되찾고, 서로 마음을 연다. 길 위에서 진정한 부부로 다시 만나게 된 부부들 이야기, 한 집에서 십몇 년 살면서 나눈 이야기보다 올레길 함께 걸으며 며칠 동안 나눈 이야기가 더 많다는 가족들 이야기 등 제주올레길은 ‘관계의 올레’ ‘사랑의 올레’이다. (2장 육지것, 제주올레를 하영 사랑햄수다 中 <사랑을 다시 만나다> ) 제주올레길은 몸과 마음이 아픈 이들이 걸으면서 치유를 받는 ‘치유의 올레’이다. 난생처음 걸어본다며 꽃처럼 웃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죽으려고 왔는데 아름다운 올레길을 걷다 보니 다시 살고 싶어졌다고 말하는 암환자의 이야기를 전하면서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은 말한다. 제주 자연의 여성성이 우리의 몸과 마음의 상처를 보듬고 쓰다듬고 다독여주는 것이라고. (4장 늦어도 괜찮다고 기다려주는 길, 아픈 상처를 보듬어주는 길 中 ) 제주올레에 반한 유명인사들 또한 일일이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데, 그중 한비야 월드비전 긴급구호 팀장, 조정래 작가, 우리 시대의 스승 리영희 선생과 여성학의 대모 이이효재 선생과 제주올레의 인연을 듣는 것도 특별하다. (2장 육지것, 제주올레를 하영 사랑햄수다 中 <바람의 섬을 사랑한 바람의 딸 한비야> <내 인생의 두 스승> <제주에 마음을 뺏긴 작가 조정래>) 올레길뿐만 아니라 인생길도 자신의 속도대로 꼬닥꼬닥 걸어가라는 올레 스피릿은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의 일상에도 깊숙이 침투하여, 그녀는 서귀포의 느린 삶에서 진정한 휴식과 치유를 느끼며, 빠른 자동차 대신 느린 걷기를 선택했듯 빠른 세탁기 대신 느린 두 손으로 손빨래를 하면서 명상을 한다. (3장 올레답게, 올레스럽게, 올레 스피릿! 中 <서귀포 시내를 어슬렁거리는 즐거움> <손빨래 명상의 즐거움>) 올레 스피릿 3 착한 여행, 공정 여행, 올레스러운 여행을 지향한다 제주올레는 착한 여행, 공정 여행을 지향한다. 지역 주민들과 올레꾼들이 모두 행복한 여행을 지향한다. ‘할망숙소’는 고향도 외갓집도 잃어버린 헛헛한 도시 올레꾼들에게 외갓집의 정취를 선사하면서 동시에 제주 할망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홀로 사는 할망들이 자신의 집에서 직접 민박을 한다는 아이디어를 실현한 것이다. 제주올레 마스코트인 조랑망 ‘간세’를 형상화한 ‘간세 인형’은 제주 여성들이 폐의류를 활용해 직접 만들 뿐 아니라 제주올레길을 걸으러 온 올레꾼들에게만 판매하는, 온라인 판매나 우편 판매가 불가한 탄소 제로 친환경 제품이다. 뿐만 아니라 ‘1사 1올레’는 1사 1촌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제주올레길의 마을과 기업들을 연결, 상생의 파트너십을 만들어가고 있다. (3장 올레답게, 올레스럽게, 올레 스피릿! 中 , 1장 당신과 함께 걷기에 이 길이 더 아름다워 中 ) 올레 스피릿 4 함께 꿈꾸는 ‘올레의 기적’ 기자생활에서 굳어진 가장 명백한 습관은 추상적인 서술을 싫어하고 구체적인 팩트를 중요시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쿨한’ 표현을 좋아하게 된다고나 할까. 그러나 제주올레의 지난 삼 년을 돌아보면, 쿨하기가 힘들어진다. 아니, 쿨해질 수가 없다. 제주올레에서 벌어진 일, 그 길에서 만난 사람들, 마을 사람들의 변화는 한마디로 말하자면 ‘기적’이었다. _ 『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 서문 중에서 지난 3년 제주올레에서 벌어진 일은 서이사장의 표현대로 ‘기적’과도 같았다. 대한민국에 ‘올레 신드롬’이 불고 ‘걷기 여행’ 열풍이 일어나면서 제주올레길을 찾은 사람들의 숫자나 지역 경제에 미친 영향만을 말하는 게 아니다. 숫자로 표현되는 기적은 올레길에서 나타난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