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도덕교육의 파시즘 1. 도덕교육과 자유 2. 노예를 기르기 위한 도덕교육 3. 맺는말 제2장 국민윤리를 넘어서 1. 국가권력과 이데올로기 2. 근대적 공교육과 국가주의 3. 도덕과 국민윤리 4. 새마을 운동과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5. 학제 간 연구 6. 철학과 학제적 사유 7. 국민윤리 교육을 넘어서 8. 철학과 도덕교육 9. 도덕교육의 두 과제 제3장 윤리학이 철학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하여 1. 물음의 의미와 배경 2. 철학의 학문적 성격 3. 철학의 갈래들과 그 상호관계 4. 도덕교육과 철학교육의 공속성에 대하여 제4장 무엇을 위한 도덕교육인가 1. 도덕교육의 위기 2. 도덕과 서로주체성 3. 무엇을 위한 도덕교육인가 제5장 윤리적 인간의 탄생 1. 교육 일반의 이념에 입각한 도덕교육의 대원칙 2. 도덕교육의 정체성 3. 도덕교육 교과과정 수립을 위한 방법론 4. 도덕교육의 세 단계 5. 중학교 도덕교육의 교과과정에 대한 구체적 개관 책을 내면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