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휴머니티의 편린
한 사람을 보길 희망하기 / 과잉 노출된, 그리고 결핍 노출된 / 말의 위험 / 언어 안에서 저항하기 / 얼굴, 다양성, 차이, 간극 / 휴머니티의 편린이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 이름 없는 자를 노출하기 / 인간적 양상의 ‘불결한 영역’ / 벌거벗은 얼굴, 태어난 얼굴, 강조된 얼굴
II. 그룹 초상
얼굴의 파토스 또는 장치의 로고스 / 휴머니즘에 관하여, 또는 주권적 인물 / 시민주의에 관하여, 또는 그룹 초상 / 군국주의에 관하여, 또는 패거리의 초상 / 임상의학에 관하여, 또는 관리 권력 / 프레임의 정치학: 다가서기의 몸짓 / 촉각으로 바라보기 / 작업장의 얼굴
III. 공동체의 나눔
문화의 모호성: 상처 입은 휴머니즘 / 공통의 밝힐 수 없는 장소 / 나눠진 노출 / 형태를 갖춘 나눔 / ‘가난하고 헐벗은 철학’ / 온 힘을 다하여 / “자유로운 인간은 그 누구라도 대리석보다 더 아름답다” / 살아남은 몸짓, 정치적 몸
IV. 민중들의 시
공장 밖으로, 화면 안으로 / 상상의 민중 / 단역 / 형상화, 리얼리즘, 정념 / 고증된 몸, 서정적 몸 / ‘형상적 섬광’ / 아브조이아, 행위시: 충돌의 춤을 추게 하기 / 지옥의 단역 / 잃어버린 민중들을 찾아서 / 경계하는 이미지
에필로그: 이름 없는 남자
구멍, 남자, 카메라. 시선을 따라가기 / 가난의 이미지인가? 또는 노동의 이미지인가? 죽은 나무, 공유재의 잔존 / 무에 가까운 것에서 수확하는 법을 배우기: 가난한 자의 기술과 존엄 / 사물들과 가까이: 프레이밍, 시간, 음향 /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형식의 섬세함 / 몇 가지 몸짓에 의해 일어난 ‘고요한 변형들’의 겸허한 이미지
주
옮긴이 후기
[해제] 디디-위베르만의 미술의 역사 다시 쓰기
인명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