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와 나의 3천 엔

Hika Harada · Novel
34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2(12)
Rate
3.2
Average Rating
(12)
2021년 여름, 맛깔나는 음식과 술 이야기를 통해 일상의 행복을 그린 소설 『낮술』로 국내 독자들에게 사랑받은 작가 하라다 히카. 주로 여성의 삶을 주제로 한 그의 작품들 중 이번에 국내에 소개되는 소설 『할머니와 나의 3천 엔』은 2018년 4월 일본 현지에서 단행본이 출간되고, 2021년 8월 문고본으로 재출간된 이후, 두 달여 만에 6쇄를 찍고 판매량 10만 부를 돌파하며 기록적인 호응을 받고 있다. 『할머니와 나의 3천 엔』은 이십대 딸, 오십대 엄마, 칠십대 할머니로 이어지는 한 집안 여성 3대가 각자의 생애 단계에서 직면한 경제적 고민을 극히 현실적으로 그리며, 저마다의 이유로 절약과 저축을 결심한 이들을 위한 일상적이면서 요긴한 지침과 실용적인 팁까지 담은 소설이다. 누구나 살아가며 직면할 수밖에 없는 인생과 돈에 관한 고민들의 핵심을 사실적으로 그리며 폭넓은 공감을 이끌어낸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2(12)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4

Table of Contents

1장 3천 엔을 쓰는 방법 2장 일흔세 살의 일 찾기 3장 목표는 1천만 엔! 4장 비용 대 효과 5장 황혼이혼의 경제학 6장 절약가들 옮긴이의 말

Description

10만 부 돌파 일본 베스트셀러 『낮술』 하라다 히카 신작 “단숨에 읽었다. 너무나 현실적인 이야기라 멈출 수 없었다.” 신예희 작가 추천! 할머니는 말씀하셨다. “사람의 인생은 3천 엔을 어떻게 쓰는지에 달려 있단다.” “인생이 달려 있다뇨?” “그 정도의 소액으로 사는 것, 고르는 것, 하는 일이 쌓여서 그 사람의 인생을 만들어간다는 뜻이지.” 유기견 입양과 내 집 마련을 목표로 절약생활에 돌입한 나, 알뜰살뜰 살림하고 육아하며 1천만 엔을 모으려는 언니, 남편과 자식에게 휘둘리지 않고 이제는 주도적으로 살고 싶은 엄마, 고령이지만 여전히 일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싶은 할머니. 결국 우리 여자들에게 필요한 건…… 돈이었다! 절약과 저축의 고수인 할머니의 “사람의 인생은 3천 엔을 어떻게 쓰는지에 달려 있다”라는 말씀 아래, 저마다 고민을 지닌 여자들의 우여곡절 돈 모으기 일상이 시작된다! ★ 신예희 작가 추천(『돈지랄의 기쁨과 슬픔』 『지속가능한 반백수 생활을 위하여』) 단숨에 읽었다. 너무나 현실적인 이야기라 멈출 수 없었다. 생애 첫 월급과 독립생활을 누리는 사회 초년생 미호와 기혼 유자녀 경력단절 여성 마호, 평생 가정주부로 살아온 고령의 연금생활자 고토코의 시간은 각각 다른 속도로 흐른다. 젊고 잘나갈 때는 뭐가 그리 바쁜지 하루가 휙 지나가지만, 어디서도 불러주지 않게 되니 하루가 너무 길다. 여러 인물의 다양한 상황 속에서 자연스레 내 현재를 살피고 미래를 가늠하게 된다. 나는 지금 어디쯤일까? 어디로 가게 될까? 일을 그만둔다면 뭘 어떻게 해야 할까? 조금이라도 자산을 늘릴 순 없을까? 아니, 최소한 유지라도 할 수 있다면…… 생각이 많아질수록 불안해진다. 고토코의 말처럼 “저세상에 가져갈 수 없으니 써버리자”와 “돈은 아무리 많아도 불안하니 절약해야지” 사이에서 수없이 흔들린다. 하지만 어떻게든 해야 한다. 이 여자들이 할 수 있다면 내게도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나를 위한 맞춤 답을 찾아갈 것이다. 공감 연발! 돈 모으는 여자들의 일상을 그린 10만 부 일본 베스트셀러 하라다 히카, 『낮술』에 이어 한층 실감나는 현실 공감 스토리로 주목받는 화제작 2021년 여름, 맛깔나는 음식과 술 이야기를 통해 일상의 행복을 그린 소설 『낮술』로 국내 독자들에게 사랑받은 작가 하라다 히카. 주로 여성의 삶을 주제로 한 그의 작품들 중 이번에 국내에 소개되는 소설 『할머니와 나의 3천 엔』은 2018년 4월 일본 현지에서 단행본이 출간되고, 2021년 8월 문고본으로 재출간된 이후, 두 달여 만에 6쇄를 찍고 판매량 10만 부를 돌파하며 기록적인 호응을 받고 있다. 『할머니와 나의 3천 엔』은 이십대 딸, 오십대 엄마, 칠십대 할머니로 이어지는 한 집안 여성 3대가 각자의 생애 단계에서 직면한 경제적 고민을 극히 현실적으로 그리며, 저마다의 이유로 절약과 저축을 결심한 이들을 위한 일상적이면서 요긴한 지침과 실용적인 팁까지 담은 소설이다. “죽을 때까지 책꽂이 한쪽에 두고 자기 자신을 잃어갈 때마다 펼쳐볼 가치가 있는 책.”(가키야 미우, 『서른두 살 여자, 혼자 살 만합니다』 『우리 애가 결혼을 안 해서요』)이라는 호평을 받은 이 작품은 누구나 살아가며 직면할 수밖에 없는 인생과 돈에 관한 고민들의 핵심을 사실적으로 그리며 폭넓은 공감을 이끌어낸다. 결국 우리 여자들에게 필요한 건…… 돈! 이십대부터 칠십대까지, 여자들에게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고민들에 대하여 이십대 사회 초년생 미호는 학업도 취직도 연애도 독립생활도 비교적 자신의 바람대로 이뤄왔다고 자평하며 만족스러운 일상을 살고 있지만, 존경하던 유능한 회사 선배가 하루아침에 해고당하는 일을 목도한 뒤로 자신의 현재 위치와 앞일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한다. ‘고용 불안’ ‘당분간 결혼 계획 없음’ ‘더는 부모에게 의지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미호는 안정된 삶을 유지하려면 결국 돈을 모아둬야 한다는 실질적인 결론에 다다르지만 막상 실천하기가 막막하다. 우선은 ‘3천 엔 정도의 소액으로 사는 것, 고르는 것, 하는 일이 쌓여서 그 사람의 인생을 만들어간다’는 할머니의 말씀과 ‘월세 같은 고정비를 점검하고 충동 소비를 줄이라’는 언니의 말을 지침삼아 절약생활에 돌입하는데 예상 외로 포기할 것도, 참아야 할 것도 너무 많은 것만 같다. 과연 미호의 돈 모으기 일상은 순조롭게 흘러갈 수 있을까? 한편 미호의 엄마 오십대 도모코는 건강에 이상이 생겨 수술을 받은 일을 계기로 자신의 노후에 대한 고민에 빠진다. ‘갈수록 약해지는 체력’ ‘집안일을 전혀 못하는 남편’ ‘부부의 노후와 시어머니 간병을 위한 자금’에 대한 대책이 절실함을 느끼는 동시에, 더는 가족 뒷바라지를 일순위에 두지 않고 좀더 자신이 원하는 삶을 누리고픈 욕구도 강렬해진다. 이를 위해 넘어야 할 가장 큰 산은 바로 아내에게 무심하기 그지없는 남편! 이런 고민들에 갱년기장애까지 겹쳐 한숨과 짜증이 끊이지 않던 도모코는 다시금 일상을 정비하고 용기 내어 남편에게 자신이 원하는 바를 제대로 요구하고자 한다. 절약하겠다며 마트에서 식재료를 샀다. 회사에 도시락도 싸서 다니려고 잡화점에서 8천 엔이나 하는 천연 삼나무 소재의 도시락통까지 샀다. 하지만 도시락은 하루밖에 못 만들었고 식재료도 제대로 소비하지 못한 채 대부분 버렸다. 전기료를 아끼려고 난방을 하지 않고 목욕도 샤워로 대신했더니 몸이 차가워졌는지 결국 감기에 걸려 병원에 다니는 처지가 됐다. 식재료를 남겼다는 죄책감에 스트레스를 받아 외식이 늘었다. 직접 요리를 하는 건 자신한테 어려운 일 같다고 낙심했다. (49p) 황혼이혼 뒤 혼자가 된 여성의 예상 경제 시나리오는 가혹했다. 마치 남편에게 다소 불만이 있어도 참으라는 현실을 눈앞에 들이미는 것 같았다. 도모코는 이혼을 생각한 적도 없으면서 ‘절대로 못한다’는 걸 알게 되자 기분이 이상했다. 부부끼리 대화 한마디 없이 조용히 저녁밥을 먹을 때면 불만이 부글부글 끓어오른다. 왜 이 사람은 요리도 못하는 주제에 고맙다는 말도 없이 내가 만든 음식을 먹는 걸까. 주말에도 남편은 온종일 누워서 시간을 보내거나 가끔 친구와 유일한 취미인 골프를 치러 갈 뿐이다. 어느 쪽이든 도모코는 평일과 똑같이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식사를 준비해야 한다. 남편의 퇴직 후에도 계속 그렇게 살아야 할까. (248p) 미호의 할머니 칠십대 고토코는 평생 가계부를 쓰며 근검절약이 몸에 밴 세대이면서 평소 현명하게 소비하고 좋은 물건을 오래 사용함으로써 절약생활에 돌입한 손녀에게 귀감이 되는 인물이다. 남편이 죽고 남은 예금을 소액으로 운용하고 은퇴자를 위한 은행 상품도 부지런히 찾아다니며 연금으로 생활하는 평범한 노년의 삶을 살던 어느 날, 자신이 실은 원하는 건 ‘일자리’임을 깨닫는다. 큰돈을 바라는 게 아니다. 일터에 나가 사람들을 만나고, 가계부에 ‘연금’ 이외의 수입을 기입하고, 일하는 보람이라는 기분을 이 나이에도 느끼고 싶은 것이다. 걱정하고 만류할 아들 가족에게는 비밀로 하고, 고토코는 자신이 품기에 장대할 수도 있는 이 꿈을 위해 현실과 부딪혀보기로 한다. 나를 위한 ‘맞춤 답’을 찾아 ‘작은 안심’을 쌓는 방법 내가 발 딛고 선 자리가 흔들릴 때, 마음속 가장 위에 떠오른 목소리에 귀기울이기 각 생애 단계에서 경제적 고민에 직면한 이 여성들은 자산전문가나 주변인들로부터 실질적이고 유용한 팁을 전수받는 한편, 각자가 지닌 고민이 어디서 기인했는지, 즉 자신의 진짜 속마음과 대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함을 깨닫는다. 회사도, 오래 사귄 애인도, 부모님도 진정한 최후의 안식처가 아님을 실감한 미호는 자신이 꿈꿔왔던 유기견 입양과 내 집 마련을 목표로 세우고 훨씬 진지한 자세로 절약생활에 임한다. 오십대

Collections

2

Similar Tit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