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Overture 제1부 혁명의 전주곡 1945년 이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의 세계 Prelude 김주열과 4·19혁명: 소년의 죽음, 대한민국의 1960년을 열다 비틀스: 네 명의 소년, 음악 혁명의 예언자가 되다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 우주에 선 청년, 푸른 지구를 보다 미일 신안보조약과 안보투쟁: 패전 15년, 도약과 우경화의 길에 다시 서다 베를린회담과 아프리카의 해: 청년 아프리카, 독립과 자유의 초원에 서다 요한 23세와 제2차 바티칸공의회: 보수적인 가톨릭교회, 청년 정신으로 대개혁 앞에 서다 캐서린 존슨과 로자 파크스: 흑인 여성’이라는 차별의 이름 앞에 실력으로 맞서다 마오쩌둥의 대약진운동 실패: 새로운 중국의 싹을 틔운 거목의 몰락 베트남의 독립과 분단: 해방 베트남, 마지막 고통을 준비하다 폴란드 저항과 헝가리혁명: 동유럽 위성국가, 자유의 바람을 품다 쿠바혁명 : 쿠바혁명, 미국의 턱밑을 위협하다 알제리전쟁: 제국주의 프랑스, 아프리카 지중해의 요충지를 잃다 백호주의와 애버리지니: 오스트레일리아, 고립주의 함정에 갇히다 OPEC과 다국적 석유회사: 에너지 전쟁의 서막이 열리다 뉴 레프트와 비트 문화: 젊은 좌파 뉴 레프트, 혁명의 시동을 걸다 드골과 프랑스 청년들: 위대한 프랑스 대신 진정한 자유를 달라 마거릿 생어와 경구피임약: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여성의 투쟁 미나마타병과 침묵의 봄: 환경재앙의 경고등이 켜지다 제2부 불멸의 환상곡 1960년대를 가로지르며 Interlude 장면 정부와 5·16군사쿠데타: 혁명 이후 분열, 쿠데타의 빌미를 주다 매카시와 케네디, 그리고 쿠바 사태: 케네디, 미국 격변의 중심에 서다 박정희와 케네디: 두 정상의 위험한 거래, 국민은 없었다 미국 청년문화와 비틀스: 네 명의 청년, 대중음악의 역사가 되다 마오쩌둥과 정적들: 개혁에 실패한 중국, 정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스탈린 사후 흐루쇼프의 약진: 기회와 위기 사이에 선 흐루쇼프 베트남 응오딘지엠의 몰락: 미국도 포기한 베트남의 첫 스텝 요한 23세의 개혁 드라이브: 시대정신의 바다에 몸을 던진 보수 가톨릭교회 해방 아프리카, 그리고 알제리와 콩고: 검은 피로 쟁취한 아프리카의 해방 드골과 ‘위대한’ 프랑스: 프랑스 전쟁 영웅, 절대 권력을 휘두르다 이집트와 중동전쟁: 이집트와 이스라엘, 세계 화약고에 불을 당기다 일본의 고도성장과 그림자: 진보의 몰락을 불러온 일본의 고도성장 흑인민권운동: 인종차별 철폐를 향한 행진은 멈추지 않는다 베티 프리던과 여성해방운동: 여성, 신화를 깨고 평등의 전선에 서다 레이첼 카슨과 국가환경정책법: 침묵의 봄, 세상을 깨우다 케네디 그리고 쿠바 사태와 통킹만: 케네디의 선택, 위기와 진보의 이중주 개혁가 흐루쇼프의 퇴장: 소련의 개혁 행진, 일단멈춤 킨제이보고서와 PLAYBOY: 누구나 궁금한 섹스를 묻기 시작하다 홍위병과 해서파관: 마오쩌둥의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