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갈수록 삶이 팍팍해지고 있는 시대다 취직이 안 되고, 장사가 안되며, 경제적으로 곤궁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분들이 찾는 곳이 전당포이다. 그런데 그 전당포가 돈 아닌 시간을 빌려준다면? 이 소설은 전당포에서 과거 시간을 빌려준다는 흥미로운 판타지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전당포를 찾는 분들은 모두 현실에서 경제적으로 힘든 분이며, 삶의 막다른 벽에 다다른 분이나 다름없다. 그런데 이 소설의 타임 전당포는 삶이 힘든 분들에게 과거 시간을 대출해 준다. 이로써 대출자는 과거로 가서 현재의 난관을 만든 문제를 해결하는 소원을 이루게 된다. 그 결과 다시 현실에 돌아올 때는 원하는 현실을 맞이하게 된다. 전당포는 어둡고 차가운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이 소설에 나오는 전당포 사장님은 할머니이다. 전당포 할머니 사장님은 고객들과 따뜻한 대화를 나누면서, 위로와 용기를 전해주고 있다. 그러면서 시간과 삶의 소중함을 알려주고 있다. 시간을 대출해 주는 타임 전당포는 삶이 힘든 모든 분들이 찾고 있는 상상의 등불이지 않을까?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소설 당선과 동아인산문학상 수상, 「문학사상」 시 부문 신인상 수상 작가 고수유 이 책은「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소설「이교도」가 당선되어 동아인산문학상을 수상하는 것과 함께,「문학사상」 시 부문 신인상 수상한 고수유 작가의 판타지 장편소설이다. 저자는 오랫동안 삶과 죽음 그리고 우주와 시간에 대한 사색을 이어왔는데, 이를 어떻게 소설로 풀어낼까 많은 고민을 해왔다.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주제를 묵직하게 소설로 구현해내는 방식도 의미가 있겠지만, 이번에는 가벼우면서 잔잔한 미소를 머금게 하는 대중적 판타지 소설로 표현해 봤다. 한 소설을 문학적인 양식인가? 대중적 양식인가?라고 따지고 가치 우열을 매기는 일은 무의한 일이다. 대중적 양식으로도 순도 높은 문학예술의 정신을 담아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대중과 호흡할 수 있다. 『시간을 빌려주는 수상한 전당포』는 가볍게 읽히면서도,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애환과 보이지 않은 우주 시간의 질서에 대한 진중한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있다. 『어린왕자』, 『연금술사』가 이 소설을 쓰게 한 원동력이다 저자는 이 시대의 어른 동화를 세상에 내놓았다! 『어린왕자』, 『연금술사』는 이 시대의 어른 동화다. 동화적 양식에 생텍쥐페리와 코옐로는 우리 인간 삶의 진정한 가치와 비의를 고스란히 드러내 주었다. 전 세계인은 이 소설을 가슴에 품고 지고지순한 삶의 원리를 찾고자 한다. 저자 또한 동화적 서사를 빌려 시간을 빌려주는 전당포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편하게 이야기를 따라갈 수 있으며 그러는 동안 슬픔과 웃음과 비장함과 감동을 느낄 수 있다. 저자는 오랫동안 본격 문학 소설을 연마해온 내공을 갖고 있는데, 이번 소설에서는 어깨 힘을 풀고 술술 읽히는 소설을 집필했다. 저자는 많은 분들이 이 소설을 통해 내면의 영적인 목소리에 귀기울기를 바라고 있다. 살아있는 모든 생명의 최대 고통은 죽음이다! 그러나 이는 이 시대의 직선적인 시간관념에 따른 것일 뿐 니체, 아인슈타인은 직선적인 시간을 부정한다. 우리는 종말로 향해가는 시간의 기차를 타고 있다. 수천억을 번 기업가, 한 나라의 대통령,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하는 스타 연예인도 결국에는 평범한 사람들처럼 때가 되면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모든 사람들에게 종말의 시간 바늘이 돌아가고 있으며, 언제 시계 바늘이 멈출 줄 모른다. 한데 철학자 니체,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은 시간이 직선적으로 이어져서 생명이 죽는다는 것을 철저히 부정하고 있다. 우리 인간의 감각에 시간이 과거, 현재, 미래로 보이고 생명의 시간이 끝으로 달려가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우리 생명의 기차가 종말로 향하고 있다는 것은 과학이 아니며 이 시대를 지배하는 또 다른 관념이다. 『시간을 빌려주는 수상한 전당포』는 우리 인생과 우주의 시간에 대해 새롭게 곱씹어보는 계기를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