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19 지은이의 말 25 옮긴이의 말 27 옮긴이 일러두기 33 프롤로그: 연금술의 황금으로부터 인조인간에 이르기까지: 인공과 자연이라는 문제 39 제1장 자연을 모방하기, 자연을 정복하기, 자연을 완전성으로 이끌기: 고대 유럽의 자연, 기예, 연금술 인간의 눈을 속이는 시각예술 55 미메시스의 의미 60 자연을 모방하는 기예와 자연을 완전성으로 이끄는 기예 65 자연을 정복하는 기예 71 고대 연금술의 등장 77 제2장 연금술과 기예-자연 논쟁의 역사 가지 뻗을 준비를 마친 연금술 93 연금술을 향한 아랍 철학자들의 공격 96 연금술을 향한 중세 스콜라주의의 공격 108 마법이라는 혐의를 뒤집어쓴 연금술 127 연금술을 향한 공격을 방어하는 연금술사들 139 속어(俗語) 문학으로 가지를 뻗는 연금술 161 종교와 제휴를 맺은 연금술 169 기예-자연 논쟁에 영향을 끼친 연금술 193 제3장 시각예술과 연금술의 경쟁 연금술사와 경쟁하는 예술가 221 다 빈치의 연금술 비판 228 비링구치오와 참된 연금술 239 바르키와 기예의 위계 247 팔리시와 현자의 돌 267 제4장 인공 생명과 호문쿨루스 인공 생명이라는 이슈 295 자연 발생과 유성 발생 298 조시모스의 은유적 호문쿨루스 306 살라만-압살 설화의 철학자 호문쿨루스 311 『암소의 서(書)』의 이성적 동물 315 자비르의 예언자 호문쿨루스 321 유대교의 골렘 324 의료 목적으로 활용되는 호문쿨루스 332 파라켈수스의 호문쿨루스 344 맨드레이크, 가짜 호문쿨루스 364 파라켈수스의 호문쿨루스가 가진 복잡성 376 호문쿨루스이 운명 383 호문쿨루스가 남긴 유산 393 제5장 기예-자연 논쟁이 실험과학에 끼친 영향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실험 409 테모와 ‘제작자의 지식’ 416 제네르트와 ‘고안된 경험’ 428 베이컨과 ‘괴롭힘당하는 자연’ 437 보일이 제거한 ‘실체적 형상’ 459 캐번디시, 최후의 반실험주의 479 에필로그: 기예-자연 논쟁으로부터 뻗어나간 더 많은 가지들, 다윈, 쾰로이터, 괴테, 그리고 우리 489 참고문헌 511 옮긴이 해제 541 옮긴이주와 옮긴이 해제를 위한 참고문헌 563 그림 및 도판 목록 569 문헌 찾아보기 571 인명 찾아보기 579 지몇 찾아보기 589 사항 찾아보기 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