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을 묻는 방식

41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7)
0.5
3
3.5
5
Rate
3.5
Average Rating
(7)
Comment
More

2011년 「현대문학」에 평론을 발표하며 비평활동을 시작한 이래 여러 문학의 현장에서 누구보다 활발하게 활동해온 평론가 양경언이 첫번째 평론집 <안녕을 묻는 방식>을 묶어냈다. 양경언은 '현장에서 문학이 할 일'을 제시하듯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2014년 9월 20일 광화문광장에서 시작하여 2019년 12월까지 65회째 자리를 이어가고 있는 '304낭독회'에서 일꾼으로 활동했고 2016년 SNS에서 공론화된 ‘#문단_내_성폭력’ 운동 때에도 적극적으로 연대했다. 이번 평론집의 제목 '안녕을 묻는 방식'은 2010년대 초반 대학가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안녕 대자보' 현상과 젊은 시인들의 시에서 드러나는 언어의 특징을 연결해서 살핀 '작은 것들의 정치성'에서 쓴 표현으로, 삶에서든 문학에서든 누군가의 곁으로 다가가 안부를 묻는 일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편 이 책에 실린 '비평이 왜 중요한가'는 "촛불 이후 한국문학의 현장에서 비평이 해야 할 역할을 뚝심 있게 강조했다"라는 평을 들으며 2019년 제37회 신동엽문학상을 수상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5(7)
0.5
3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이제 되었다니. 그럴 리가 작은 것들의 정치성: 2010년대 시가 ‘안녕’을 묻는 방식 / 나는 거기에 있지 않다 / 이제 되었다니. 그럴 리가 / 최근 시에 나타난 젠더 ‘하기’(doing)와 ‘허물기’(undoing)에 대하여 / Quizas, Quizas, Quizas: 시와 운율, 거기에서 비롯되는 감정에 대한 메모 |제2부| 싸움과 희망 눈먼 자들의 귀 열기: 세월호 이후, 작가들의 공동 작업에 대한 기록 / 책에는 없는 이야기들 / 불가능을 옹호할 권리 / 폭탄보다 시끄러운(Louder than bombs) / 싸움과 희망 |제3부| 비평이 왜 중요한가 비평이 왜 중요한가: 촛불 이후, 문학비평이 혁명을 의미화하는 방식 / 참된 치욕의 서사 혹은 거짓된 영광의 시: 김민정론 / 기쁨은 어떻게 오는가: 배수연의 『조이와의 키스』에 대하여 / 결정들: 이영주 시에 관한 소고 / 누구에게 이것을 바칠까? (1) / 퍼포먼스 김승일: 김승일의 시를 생각함 / 그러니까 원더풀, 원더풀한 절망: 서효인의 시를 읽다 / 누구에게 이것을 바칠까? (2) / 쓴(bitter) 시를 쓰다: 다시, 김민정의 시를 꺼내 읽는다 |제4부| 허물기, 짓기 검은 새 한마리가 적막한 달을 향해 난다: 허수경의 시를 읽다 / 삶다움의 가능성을 믿는 시: 시가 전망을 그리는 방식에 대하여 / 36.5도의 노래: 유병록의 『목숨이 두근거릴 때마다』에 대하여 / 현재를 살다: 신용목의 시를 읽다 / 무엇이 거기에 있는가: 함기석의 시를 읽다 / 어째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이영광의 『나무는 간다』에 대하여 / ㄹ의 경우(輕雨): 신영배의 『물속의 피아노』에 대하여 / 큰 소리로, 훗!: 유계영의 『온갖 것들의 낮』에 대하여 / 빛을 믿어도 되나 발표지면 / 찾아보기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