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의 말 _ 지금은 경제력이 세계사를 좌지우지하는 시대!
프롤로그 _ 트럼프 2기의 경제정책 방향과 이것이 세계경제에 미칠 파장
1장 세계경제 질서, 어떻게 변해가고 있나
◈ 세계경제의 현재, 한눈에 들여다보기
세계 국가별 경제력 규모와 순위
세계 교역량 규모와 외환보유고 순위
개도국 지원과 공적개발원조(ODA) 정책
커지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의 영향력
◈ ‘팍스 아메리카나’ 경제의 부침과 위기
기술혁신 속에서 이루어진 ‘팍스 아메리카나’
팍스 아메리카나 시대에도 찾아온 몇 차례 위기
‘골디락스’ 이후 스태그플레이션에 처하다
◈ ‘팍스 시니카’ 시대는 과연 오는가
중국몽과 ‘팍스 시니카’ 구상
‘중국제조 2025’와 ‘일대일로’
‘팍스 시니카’의 시대가 도래할 수 있을까
불투명한 중국경제의 미래
◈ G2인 미국과 중국 간의 신냉전 체제
거침없이 확장되는 중국의 패권 행보
‘투키디데스 함정’과 미국의 대대적 반격
안보와 군사 등 전방위로 확산하는 양국의 갈등
◈ G7과 브릭스 간의 패권 경쟁
G7에서 G20으로 확대된 글로벌 경제 리더십
브릭스의 등장과 브릭스 플러스로 확대
브릭스의 공용 화폐 발행은 가능할까?
◈ 자국 이기주의 심화와 각자도생의 세계경제
국가 이기주의 성향의 강화와 사례
미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자국 우선주의
◈ 격랑의 파고를 헤쳐나갈 우리의 전략은?
한국경제에 위기이자 기회인 국제경제 질서
한국경제를 업그레이드하는 전략
시대의 구조적 변화에 대비하는 장기전략 필요
2장 무역 패권: 더욱 확산되고 심화되다
◈ GATT를 대신해 탄생한 WTO 체제도 와해중
GATT 체제의 구축과 우루과이라운드
WTO의 탄생과 무력화
◈ FTA 전쟁, CPTPP·IPEF와 RCEP의 대립
WTO 체제를 보완하는 FTA
일본 주도의 FTA, CPTPP
중국 견제 목적인 미국 주도의 FTA, IPEF
중국 주도의 FTA, RCEP
◈ 미국의 슈퍼 301조와 환율조작국 지정
슈퍼 301조란 무엇인가?
환율전쟁과 환율조작국 지정
◈ 더욱 격화되고 있는 미·중 무역분쟁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난 배경
미·중 무역전쟁의 진행 과정
제2차 미·중 무역전쟁
◈ ‘차이나 쇼크’와 글로벌 무역전쟁의 확산
‘차이나 쇼크’란 무엇인가?
2차 차이나 쇼크와 미국·유럽의 대응 전략
신흥국들의 차이나 쇼크 대응 전략
◈ 에너지 패권전쟁과 자원 패권전쟁
석유수출국기구와 석유파동
에너지에서 광물로 전환되는 자원전쟁 추세
자원공급의 안전망 구축 노력 강화
◈ 국가안보와도 연계된 글로벌 공급망 재편
‘오프쇼어링’에서 ‘온쇼어링’으로
‘디커플링’에서 ‘디리스킹’으로
미국 주도 아래 공급망 재편 가속화
3장 통화 패권: 전쟁의 핵심 도구는 '통화’
◈ 실물패권에서 금융패권으로
금융에 의한 세계경제 지배전략
금융자본주의의 부작용과 글로벌 금융위기
국제통화 질서와 체제 개편
◈ 기축통화로서 달러, 그 혜택과 어려움
기축통화의 개념과 역할
기축통화국의 혜택과 감내 비용
◈ ‘브레턴우즈 체제’의 탄생과 붕괴
달러의 기축통화를 공식화한 브레턴우즈 체제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 과정
◈ ‘페트로 달러’ 체제의 구축과 위기
‘페트로 달러’ 체제 구축과 달러 위상 강화
‘페트로 달러’ 체제의 균열
커지는 ‘페트로 위안’의 영향력
◈ 도전받고 있는 달러화의 위상 그러나…
달러의 시대는 저무는가?
달러 인덱스로 본 ‘킹달러’ 현상
고조되는 ‘탈(脫)달러’ 현상
여전히 건재하는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위상
◈ 위안화의 부상과 현실적인 한계
국제통화로 위상이 높아진 위안화
CIPS 발족과 위안화의 SDR 편입
위안화가 기축통화로 되기 어려운 이유
◈ 위상이 많이 위축된 유로화와 파운드
유로화와 유럽중앙은행(ECB)의 탄생
존재감 약한 2위 기축통화인 유로화
‘브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