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Part 1 북한의 문화사
식민지 시대, 1910~1945년
소련 점령, 1945~1948년
전쟁과 재건, 1948~1966년
문화혁명에서 김일성 사망까지, 1966~1944년
고난의 행군, 1994~1998년
해방기, 1998~2008년
위기에 처한 북한, 2008년 이후
Part 2 북한 선전을 통한 북한의 이해
1. 조국과 신화
2. 김일성과 신화
3. 김정일과 신화
4. 외부 세계와 신화
5. 남한과 신화
결론
주석
참고문헌
북한의 정치체제에 대해 명쾌하게 분석한 책.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공산주의, 유교, 그리고 전시용 주체사상 이론과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즉 ‘조선인들은 혈통이 지극히 순수하고, 따라서 매우 고결하기 때문에 어버이 같은 위대한 영도자 없이는 이 사악한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이다. 만약 인종에 기반을 둔 북한 세계관을 굳이 전통적인 좌우 스펙트럼상에 위치시켜야 한다면, 극좌보다는 극우 쪽에 가깝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 사실 하나만 이해해도 굶주림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들의 북한 정권에 대한 충성과 냉정시대 방식으로 북한의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서구 세계 정책의 헛됨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